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072
영어공식명칭 Maljae
이칭/별칭 말재고개,말티,마티,마치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남포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말재 - 충청남도 보령시
해당 지역 소재지 말재 -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남포면지도보기
성격 고개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에서 남포면으로 통하는 고개.

[개설]

고개는 일반적으로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을 말한다. 예로부터 고개를 통해 사람과 물자의 교통이 이루어졌다. 오늘날 고개의 대부분은 고개를 대체하는 도로, 교량, 터널 등이 건설되면서 고유의 교통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말재를 포함한 보령시 대부분의 고개도 마찬가지이다.

[명칭 유래]

고개의 지형이 말[馬]의 형상을 취하고 있어서 붙여진 것으로 전한다. ‘말재고개’, ‘말티’, ‘마티’, ‘마치(馬峙)’라고도 불렸다. ‘마치’는 ‘말재’의 한자 표기이다.

[자연환경]

말재성주면 개화리의 남서쪽에서 웅천읍과의 경계부에 인접해 있으며, 높이 200여 미터에 있다. 고개는 성주면 개화리남포면 창동리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옥마산(玉馬山)의 남서 방향 줄기를 가로지르고 있다. 고개의 서쪽 및 북쪽 방향으로는 큰 골짜기가 있는데, 골짜기의 입구는 좁고, 안은 넓은 부채꼴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현황]

과거에는 부여군과 미산면 쪽에서 남포면옥서리, 읍내리 등으로 통하는 큰길이었다. 고개 아래의 골짜기에는 성주면 개화리에 속한 말재밑, 말재골 등의 마을들이 있었다. 말재밑과 말재골은 고개 이름 ‘말재’를 따서 그렇게 불렀고, 특히 말재밑은 한자화하여 ‘마티하[마치하(馬峙下)]’라고도 불렀고, ‘하개(下介)’라고도 불렀다. 고개의 꼭대기에는 성황당이 있었는데, 신수(神樹)는 느티나무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