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263
한자 土亭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720년연표보기 - 『토정유고』 간행
성격 시문집
저자 이지함
편자 이정익
간행자 이정억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4자
규격 32.1㎝[세로]|22.0㎝[가로]
어미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판심제 토정집(土亭集)

[정의]

조선 전기 학자 이지함의 시문집.

[개설]

『토정유고(土亭遺稿)』는 1672년(현종 13) 홍문관 응교 이선(李選)[1632~1692]의 『토정유고』와 가장(家狀) 초고본을 교정, 증보해서 1720년(숙종 46) 현손 이정억(李禎億)이 경상북도 경주에서 간행한 이지함(李之菡)[1517~1578]의 시문집이다.

[저자]

이지함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형중(馨仲), 호는 수산(水山)·토정(土亭)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6대손으로, 아버지는 현령 이치(李穉)[1477~1507]이다. 아버지를 여의고 맏형인 이지번(李之蕃)[1508~1575]에게 글을 배우고, 서경덕(徐敬德)[1489~1546]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수리·의학·복서·천문·지리·음양·술서 등에 통달하였고, 『토정비결(土亭秘訣)』, 『농아집(聾啞集)』 등을 저술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672년(현종 13) 홍문관 응교 이선이 이지함의 유고 한 질을 묶어 『토정유고(土亭遺稿)』라 이름 붙이고 교서관(校書館)에 두었다. 이 유고를 바탕으로 이지함의 현손 이정익(李禎翊)[1655~1726]이 가장 초고본을 교정, 증보한 뒤 외현손 조세환(趙世煥)과 함께 간행하기로 하였다. 이후 1720년(숙종 46) 이정익이 경주부윤으로 지내던 중 경주에서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토정유고』는 2권 1책의 목판본(木板本)으로,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반곽의 크기는 세로 21.8㎝, 가로 16.4㎝이다. 행자 수는 10행 24자,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며, 책 크기는 세로 32.1㎝, 가로 22.0㎝이다.

[구성/내용]

『토정유고』 권 1에는 권수 부분에 정호(鄭澔)[1648~1736)의 서문이 있으며, 「차송운장운(次宋雲長韻)」·「차도정절귀거래사(次陶靖節歸去來辭)」·「대인설(大人說)」·「이포천시상소(莅抱川時上疏)」와 같은 시(詩)·사(辭)·설(說)·소(疏)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 2에는 부록으로 이지함의 행적을 기록한 유사(遺事)와 제문(祭文)·묘갈명(墓碣銘)·시장(諡狀)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송시열(宋時烈)의 발문과, 1712년(숙종 38) 권상하(權尙夏)의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토정유고』토정 이지함의 시문집으로, 『토정비결』과 『농아집』에 담기지 않은 이지함의 학문 세계와 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토정유고(土亭遺稿)』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디지털 장서각(https://jsg.aks.ac.kr)
  • 한국고문헌종합목록(https://www.nl.go.kr/korcis)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