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277
한자 油谷洞
영어공식명칭 Yugok-dong
이칭/별칭 지름골,유음곡리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유곡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진원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자인군 서면 유곡동을 경산군 압량면 유곡동으로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87년 1월 1일 - 경산군 압량면 유곡동에서 경산군 경산읍 유곡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9년 1월 1일 - 경산군 경산읍 유곡동에서 경산시 유곡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2,317,857㎡
가구수 84가구
인구[남/여] 150명[83명/67명]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유곡동(油谷洞)은 경산시의 중서부에 위치해 있다. 동의 행정은 동부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명칭 유래]

유곡동은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로 물이 기름처럼 귀해 ‘지름골’, ‘유음곡리’ 또는 ‘유곡’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 한다.

[형성 및 변천]

유곡동은 본래 자인군 서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산군 압량면 유곡동으로 개설되었다. 1987년 1월 1일 경산읍에 편입되어 경산군 경산읍 유곡동이 되었다. 1989년 1월 1일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어 경산시 유곡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유곡동의 남서쪽에는 백자산(栢紫山)[486.5m]이 솟아 있으며, 산 정상의 동쪽 능선에서 산줄기가 북쪽으로 길게 뻗어 내려와 유곡동의 북부 지역까지 이른다.

[현황]

2020년 5월 31일을 기준으로 유곡동의 면적은 2,317,857㎡이며, 인구는 84가구, 150명[남자 83명, 여자 67명, 외국인 제외]이다. 유곡동의 동쪽은 여천동, 서쪽은 점촌동, 남쪽은 남천면 송백리·남산면 상대리, 북쪽은 신천동, 북동쪽은 내동과 접한다.

유곡동은 경산시 시가화 지역과 가까운 농촌 지역이다. 유곡동은 산줄기를 따라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산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넓다. 교통로는 삼성현로가 유곡동 북부의 중앙을 동서 방향으로 통과하여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남산면을 연결하며, 한의대로가 삼성현로와 교차한다.

삼성현로 북쪽은 구릉지의 기슭과 얕은 골짜기에 농경지와 유곡마을 등 자연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농경지에서는 포도 등 과수재배와 밭농사가 행해지며 신지 등 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삼성현로 남쪽은 유곡동점촌동에 걸쳐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가 위치해 있으며, 대구한의대학교 입구에는 원룸촌이 형성되어 있다.

대구한의대학교 남쪽은 산지가 넓게 분포하며, 유곡지와 불광사, 초개사가 위치해 있다. 초개사는 『삼국유사(三國遺事)』「원효불기(元曉不羈)」에 따르면 원효가 자신이 살던 집을 희사하여 지은 사찰이라고 하며, 현재 삼층석탑 부재가 남아 있다. 또한 유곡동에 전하는 전설에 의하면 설총이 이곳에서 태어나 골안 절에서 공부를 했다고 한다.

유곡동의 남쪽 경계 지점 산지에는 삼성사가 있고, 지방도 제925호가 통과하여 남천면남산면, 자인면, 진량읍으로 연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