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0863
한자 - 沙果
영어공식명칭 Ice Valley Appl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특산물/특산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지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조(생산) 시기/일시 1972년연표보기 - 얼음골 사과 첫 재배
제조(생산) 시기/일시 1976년 - 얼음골 사과 첫 수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얼음골 사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지리적 표시품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7년 2월 22일 - 얼음골 사과 지리적 표시 단체 표장 특허청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얼음골 사과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농촌융복합산업[6차 산업] 지역단위 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 선정
체험장|전시처 밀양농협산지유통센터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산내로 253[송백리 1800-3]지도보기
체험장|전시처 밀양얼음골영농조합법인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산내로 1192[삼양리 1002-2]지도보기
체험장|전시처 산내과수영농조합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산내로 168[임고리 1906-1]지도보기
체험장|전시처 가원얼음골사과영농조합법인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산내로 559[가인리 1531]지도보기
체험장|전시처 농업회사법인 애플팜(주)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얼음골옛길 92-10[남명리 528]지도보기
성격 과실
용도 식용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생산되는 과실 특산품.

[연원 및 변천]

얼음골 사과는 1972년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김문섭 전 시의원이 왜성대목 M26을 심은 것이 재배의 시작이다. 4년 후인 1976년 첫 수확에 성공하였고,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2007년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밀양얼음골사과’라는 이름으로 지리적 표시품 등록이 되었다. 2017년 2월 22일에는 ‘지리적 표시 단체 표장’ 특허청 등록을 마치고, 얼음골 사과의 독자적 상표권을 획득하였다.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얼음골 사과밀양시 산내면 일대 1,300여 농가에서 재배하며, 재배 면적은 800㏊가 넘는다. 밀양시 산내면은 일교차가 크고 일조량이 풍부하여 천혜의 사과 재배 조건을 갖추고 있다. 얼음골 사과는 여름철에도 얼음이 어는 신비의 계곡 밀양 남명리 얼음골(密陽南明里얼음골)[1970년 4월 27일 천연기념물 지정]에서 재배되어 과즙이 많고 당도가 높으며 향기도 짙어 꿀사과로도 불린다. 또한, 재배지의 토양은 토양의 통기성 및 보비력, 보수력 면에서 사과나무 생장에 이상적인 사양토[12.96%]와 양토[80.11%]로 이루어져 있다. 사과의 품종으로는 후지[부사], 쓰가루[아오리], 홍로가 있으며 각 품종의 숙기[익는 시기]는 10월 하순, 8월 하순~9월 상순, 9월 상순이다.

[현황(관련 사업 포함)]

얼음골 사과의 생산량은 한 해 1만t이 넘는다. 얼음골 사과는 밀양농협산지유통센터, 밀양얼음골영농조합법인, 산내과수영농조합, 얼음골유통영농조합법인, 가원얼음골사과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애플팜 등에서 판매한다.

밀양얼음골사과발전협의회는 밀양 얼음골 사과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하여 매년 11월경 얼음골사과축제를 개최한다. 2018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의 공모 사업인 ‘2018 농촌융복합산업[6차 산업] 지역단위 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이로써 밀양 얼음골 사과를 중심으로 농가, 지자체, 가공업체 등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농가 소득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