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0019
한자 姓氏
영어의미역 Native Family Name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집필자 김준옥

[정의]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 살고 있는 동일 인물을 조상으로 하는 혈족 집단.

[개설]

성씨는 혈연 관계를 나타내 주는 단위로,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의 고(高)씨, 백제의 시조 온조의 부여(夫餘)씨, 신라의 박(朴)·석(昔)·김(金)씨 등을 시발로 귀족 계급에서 먼저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성씨가 많이 늘어났고, 조선시대에는 일부 천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1895년 갑오경장 이후에는 모든 사람들이 성을 지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광복 이후 성씨에 대한 조사가 세 차례 이루어졌다. 1960년 국세조사, 1985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 등이 그것이다. 그 동안 귀화 외국인이 아닌 우리나라 사람은 임의로 새로운 성씨를 만들 수 없었고,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아버지 성을 따랐으며, 여성은 혼인을 해도 성을 그대로 썼다.

현대에 이르러 본관도 새로 만들어 쓸 수 있으며, 자녀가 생길 경우 어머니의 성을 따를 수도 있다. 부모를 알 수 없는 자는 법원의 허가를 얻어 성(姓)과 본(本)을 창설하고 일가를 창립할 수도 있다. 또, 재혼으로 인해 새로 구성된 가정에서는 새로운 아버지의 성으로 바꿀 수도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성씨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수의 성씨]

여수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많지 않다. 순천김씨의 경우, 시조 김총이 여수 적량에서 태어나 그곳의 성황신이 되었는데, 본관을 여수로 쓰지 아니하고 순천으로 쓴 것은 조선조 역사와 관련이 있다. 즉, 여수는 조선조에 폐현과 복현을 거듭하였기 때문에 여수 대신 순천을 관향으로 삼지 않았나 생각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여수에 거주한 토성(土姓)으로 박(朴)·신(辛)·백(白)이고, 도(陶)가 망성(亡姓)으로 나와 있다. 돌산의 토성으로 정(鄭)·윤(尹)·정(丁)·석(石)·노(盧)이고, 삼일포의 토성으로 박(朴)·전(田)과 인접 지역에 강(康), 율촌의 토성으로 김(金)·강(康)·박(朴)·차(車), 진례의 토성으로 전(田)·박(朴)·신(辛)이고, 망성 김(金)이다. 그리고 적량의 토성은 박(朴)·신(辛)이고, 소라의 토성은 박(朴)·백(白)이고, 망성은 전(田)·신(辛)이 있다.

1530년에 완성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여수 지역에 거주했던 성씨들이 나열되어 있다. 옛 여수에는 김(金)·박(朴)·신(辛)·임(林)·백(白)·도(陶)·김(金) 등 일곱 성씨가 가장 많이 살았다. 또, 돌산에는 정(鄭)·윤(尹)·정(鄭)·석(石)·노(盧) 등 5개 성씨, 삼일포에 박(朴)·전(田)·강(康)[경주]·이(李)[광산] 등 4개 성씨, 진례에는 김(金)·전(田)·박(朴)·신(辛) 등 4개 성씨, 적량에 현(玄)·정(鄭)·박(朴)·신(辛) 등 4개 성씨, 율촌에 김(金)·강(康)·박(朴)·차(車) 4개 성씨, 소라에 조(曺)·박(朴)·신(辛)·전(田)·백(白) 등 5개 성씨가 많이 살았다.

1881년에 간행된 『승평지(昇平誌)』에는 돌산에 김(金)·박(朴)·신(辛)·임(任)·백(白)·도(陶), 여수에는 박(朴)·전(田)·강(康)·이(李), 삼일에는 김(金)·전(田)·박(朴)·신(辛), 진례에 박(朴)·도(陶)·황(黃), 적량에 김(金)·강(康)·박(朴)·차(車), 율촌에 조(曺)·박(朴)·신(辛)·전(田)·백(白), 소라에 임(林) 씨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903년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여수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가 등장한다. 여수박씨를 비롯하여, 돌산노씨·돌산정(丁)씨·돌산윤씨·돌산정(鄭)씨·적량박씨·적량현씨·적량신(辛)씨·율촌강(康)씨·율촌김씨·율촌박씨·율촌차씨 등이다.

조금 앞서 1902년에 출간된 『여수읍지』에 기록된 성씨를 보면, 현내(縣內) 동서부 성씨로는 김(金)·이(李)·박(朴)·정(鄭)·최(崔)·장(張)·유(柳)·곽(郭)·여(呂)·임(林)·노(盧)·권(權)·한(韓)·강(姜)·연(延)·옥(玉)·유(劉)·명(明)·추(秋) 씨들로 나타나 있다. 여수면 지역에는 정(丁)·황(黃)·서(徐)·공(孔)·백(白)·정(鄭)·안(安)·한(韓)·이(李)·조(趙)·김(金)·천(千)·윤(尹)·유(柳)·장(張)·최(崔)·민(閔) 등의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살았다.

삼일면 지역에는 주(朱)·민(閔)·양(梁)·김(金)·홍(洪)·장(張)·신(申)·서(徐)·손(孫)·엄(嚴)·유(兪) 등의 성씨가 기록되어 있고, 소라면 지역에는 정(鄭)·유(柳)·임(任)·오(吳)·허(許)·이(李)·남(南)·차(車)·김(金)·장(張)·강(姜)·문(文)·박(朴)으로 나타나 있으며, 율촌면 지역에는 유(柳)·양(梁)·박(朴)·최(崔)·주(朱)·위(魏)·정(丁)·서(徐)·이(李)·정(鄭) 등이 있다.

1909년 「민적법(民籍法)」 이후 1924년에 발간한 『승평지』에는 1881년에 나타난 성씨보다 대폭 늘어난다. 율촌면에 유(柳)·양(梁)·박(朴)·위(魏)·주(朱)·이(李)·최(崔)·문(文)·한(韓)·지(池)·정(鄭)·김(金)·정(丁)·장(張)·서(徐)·기(奇)·고(高)·강(姜)·유(劉)·조(趙)·연(延)·천(千)·허(許), 소라에 정(鄭)·유(柳)·장(張)·박(朴)·임(任)·이(李)·김(金)·오(吳)·신(申)·서(徐)·남(南)·문(文)·유(劉)·차(車)·구(具)·여(呂)·백(白)·임(林)·강(姜)·최(崔)·맹(孟)·천(千), 여수면에 황(黃)·이(李)·안(安)·조(趙)·정(丁)·김(金)·장(張)·정(鄭)·공(孔)·박(朴)·한(韓)·주(朱)·최(崔)·권(權)·곽(郭)·천(千)·양(梁)·빈(賓)·표(表)·옥(玉)·서(徐)·유(兪)·남(南)·임(林)·백(白), 삼일에 신(申)·정(丁)·양(梁)·박(朴)·주(朱)·민(閔)·김(金)·강(姜)·배(裵)·황(黃)·안(安)·이(李)·홍(洪)·최(崔)·전(全)·남(南)·윤(尹)·서(徐)·허(許)·조(趙)·장(張) 등이다.

1952년에 발간된 『여수씨족세보(麗水氏族世譜)』에서는 여수에 거주했던 성씨로, 달성서씨·밀양박씨·경주이씨·전주이씨·전주최씨·이천서씨·경주정씨·밀양박씨·경주김씨·김해김씨·강릉유씨·광산김씨·옥천조씨·김녕김씨·전주최씨·청송심씨·수원백씨·진주강씨·장수황씨·영광정씨·충주지씨·천안전씨·영양천씨·여양진씨·창원황씨·청주한씨·탐진최씨·남평문씨·진양강씨·초계최씨·죽산안씨·함안조씨·파평윤씨·진주유씨·영산신씨·안동권씨·영월엄씨·고령신씨·성주배씨·의령남씨·제주고씨·하동정씨·동복오씨·은진송씨·남양홍씨·능성구씨·성주도씨·나주임씨·보성선씨·해주오씨·창녕조씨·인동장씨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보면 한국전쟁 후 여수에 거주했던 성씨는 52개 성씨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0.12.25 성씨 해방를 광복으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