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상화리 낭도 동쪽에 있는 섬. 섬의 모양이 닭 벼슬 같이 생긴 데서 유래되었다. 최고봉은 해발 61m이며, 해안은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만들어진 적색토가 넓게 분포한다.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화정면 낭도에서 남동...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조발리에 있는 섬. 섬의 모양이 멀리서 보았을 때, 수박이나 외처럼 둥그렇게 생긴 데서 유래되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간조 때는 둔병도와 연결되는 섬으로 주위에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였다. 섬 주변에는 상과도·오도 등 작은 섬이 분포한다.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만들어진 적색토...
-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유송리 송고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유송리 송고 동제는 매년 정월 초에 마을 뒷산의 상당과 마을 앞 소나무 숲에서 마을 공동으로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당산제’ 혹은 ‘당주 모신다’고 한다. 매년 섣달 그믐날에 택일을 하고 일진을 보아 당주 모시는 사람과 부당주를 선정한다. 당주를 모시면 사업이 잘 되고 복을 받으며,...
-
전라남도 여수시 둔덕동과 봉계동에 있는 호랑산의 산록에서 발원하여 낙포동 해안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도천은 전라남도 여수시 둔덕동과 상암동, 낙포동을 관류(貫流)하는 하천으로, 여수시 둔덕동 호랑산 산록 일대에서 발원하여 호명동 자내리마을 사근치(寺近峙)에서 발원하는 지류와 대동마을에서 합류한 뒤 여수시 낙포동 해안으로 유입되는 지방 하천이다.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삼일동 지역은 상...
-
전라남도 여수시 종화동에 있는 무인등대. 높이 10m의 하멜등대는 광양항과 여수항을 오가는 선박을 위해 만든 것으로, 해가 지면 자동으로 불을 밝히는 무인 등대이다. 하멜등대는 『하멜표류기』로 유명한 네덜란드인 핸드릭 하멜이 여수 지역에 머무르다가, 1666년(현종 7)에 일본을 거쳐 본국 네덜란드로 건너간 것을 기념하고자 국제로타리클럽이 추진하는 하멜기념사업과 연계하여 2004년...
-
전라남도 여수시 종화동에 있는 공원. 하멜수변공원은 종화동의 포구 자리인 물양장에서 하멜등대가 있는 여수구항 방파제까지 항만 기능 향상과 미관 개선을 통하여 미래 지향적인 항구 도시로 여수 지역이 거듭나고자 건립하였다. 하멜수변공원은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이 2005년 11월 25일부터 공사에 착공하여 2006년 6월 1일 하멜수변공원 조성을 완공하였다. 2006년 7월 20일부터는 여...
-
참장어를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 먹는 전라남도 여수시의 향토음식. 참장어는 뱀장어목 갯장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깊이 20~100m의 모래바닥이나 암초 근처에서 생활한다. 다른 장어류와 같이 영양소가 풍부한 보양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크기는 약 150~200㎝ 정도이며 6~11월이 제철이며 산란 시기는 5~7월이다. 서식장소는 깊이 20~100m 정도의 모래진흙 바닥이나 암초지대이...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장어로 만든 탕. 장어는 몸이 뱀처럼 긴 물고기를 뜻하며, 분류학적으로는 뱀장어목에 속하는 모든 종류가 포함된다. 장어는 고기 자체가 징그럽게 생겼고, 눈도 없고, 입은 있으나 씹지를 못하고, 모든 먹이를 흡입하여 뱃속에서 소화시키고 또한 더듬이로 먹이를 찾는다. 몸의 양 옆에 있는 180개 정도의 구멍에서 나오는 진으로 자기 몸을 보호한다. 그 때문에 대단...
-
참장어를 날것으로 먹는 전라남도 여수시의 향토음식. 참장어는 뱀장어목 갯장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깊이 20~100m의 모래바닥이나 암초 근처에서 생활한다. 다른 장어류와 같이 영양소가 풍부한 보양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크기는 약 150~200㎝ 정도이며 6~11월이 제철이며 산란 시기는 5~7월이다. 서식장소는 깊이 20~100m 정도의 모래진흙 바닥이나 암초지대이며 우리나라 남...
-
순천에서 국도 17호선 따라 여수 방향으로 내려오면 여수공항을 거쳐 오른쪽 방향으로 진입하는 지방도가 있다. 이 도로로 진입하게 되면 도로 양쪽에 상가가 연이어 있다. 좌측에 덕양시외버스정류장이 나오는데, 정류장 뒤편에 덕양역과 덕양장터가 있고 좌측편으로 상가와 공공시설물이 연이어 있는 곳이 바로 덕양리 하세동이다. 원래 이곳은 대포간척지가 조성되기 전에는 도로가 있는 곳까지 바...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곳. 여수시는 여수반도와 도서 지역이라는 지형적 여건으로 국가하천의 규모와 같은 큰 강은 발달할 수 없는 조건이다. 가장 긴 대포천(13.5㎞)과 하도천(12.5㎞)을 제외하고는 유로 10㎞ 이내의 소하천들이 발달해 있다. 이런 소하천들은 약 19개로 모두 지방2급 하천이거나 지역 하천이다. 여수시 둔덕동 호랑산[470m...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하화리에 있는 섬. 임진왜란 당시 인동장씨(仁同張氏)가 난을 피하기 위하여 이곳을 지나다가 동백꽃과 섬모초꽃이 만발하여 꽃섬이라 불렀으며, 두 개의 꽃섬 중 아래쪽에 있다하여 하화도라 부르게 되었다. 최고 지점은 118m이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섬 모양이 구두 모양을 하며, 남쪽 해안에는 높은 해식애가 발달되어...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하화리 하화도 일대에 조성된 둘레길. 하화도 꽃섬길은 바다를 벗 삼아 섬을 한 바퀴 도는 총 연장 5.7㎞[상화도 꽃섬길 4.4㎞]의 둘레길이다. 하화리의 화도(花島)는 소의 머리를 닮은 윗꽃섬 상화도와 복조리 모양의 아랫꽃섬 하화도가 야트막한 주황색 지붕 아래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형국이다. 임진왜란 중 인동 장씨(仁洞張氏)가 뗏목으로 가족과 피난을 하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백야도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섬 하화도에 있는 마을로, 섬 이름이 마을의 이름이 되었다. 하화도는 섬의 모양이 길게 꼬지 모양으로 생겨 ‘꼬치섬’이라 했다가, 음이 ‘꽃섬’으로 변했다. ‘화도(花島)’는 ‘꽃섬’을 한자로 표기한 땅이름이다. ‘아래꽃섬’을 하화도라 한다. 섬의 이름이 ‘꽃섬’인 관계로 선모초가 많이 피었다거나 진...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법정동. 마을 앞바다에 많은 학들이 떼를 지어 물 위를 수놓고 뒷산 또한 학의 형국인데다가, 왜가리와 학이 둥지를 틀어 서식하므로 학동이라고 했다 한다. 또는 입향조의 호가 ‘학남’이어서 ‘학’ 자를 따서 ‘학동’이라 했다는 설도 있다. 고려 초기 이 마을에는 특정 직업의 집단이 살았던 조수소(調水所)가 있었다. 1789년 『호구총수』에는 보이지 않다가 19...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수령이 280년 정도로 추정되는 팽나무.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교목으로 여수시를 비롯하여 전라남도에 흔하게 자생하는데, 정자나무 또는 노거수가 많다. 높이는 20m에 달하고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 베트남, 태국 등지에 분포한다. 마을 부근 및 낮은 산과 하천 주위의 비옥한 저습지에서 자생한다. 뿌리가 발달하여 강풍과 해풍에...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학부대신 이도재의 불망비. 이도재는 갑신정변 후 개화당과 가깝다는 이유로 신기선과 함께 고금도와 흥양현 여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그러다 갑오개혁 후 학부대신으로 등용되어 섬사람들만의 행정 구역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고 법부대신 신기선에게 제의하였다. 이에 따라 완도군, 지도군과 함께 돌산군이 창설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군...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서도리 서산사에 있는 일제강점기 선행을 베푼 김지옥의 불망비. 장방형의 비좌에 비신의 이수부가 없이 비신이 둥글게 마무리된 갈(碣)의 형태이다. 김지옥 불망비의 높이는 107㎝이고, 너비는 40㎝이다. 삼산면 서도리의 서산사 경내 오른쪽에 거문부사 김정태불망비인 철비와 같이 서있다. 비석에 "유망효의원시천진갑오계축연활촌인승기모훈시덕이인사창설시우휼궁린우승부훈경...
-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에서 발간했던 여수학생백일장 작품집. 『여수학생문예』는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에서 주관하는 여수학생백일장 입상 작품을 수록하여 학생들의 문학 동기를 유발시키고, 지역 문학 인재들을 조기에 발굴 육성하기 위해 창간되었다. 판형은 국판 변형이다. 『여수학생문예』 창간호에는 발간사와 함께 여수학생백일장에서 입상한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와 산문이 실려 있고, 끝에는...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법정동. 학용동은 학(鶴)이 많이 살았던 마을 ‘학동’과 용처럼 생긴 지형 때문에 ‘용터’라고 부르던 ‘용기마을’의 이름에서 한 자씩을 취해서 지어진 마을 이름이다. 1914년에 처음 만들어진 마을 이름이다. 옛 쌍봉면 시절부터 면의 중심 마을이던 곳이 여천시를 거쳐 통합 여수시청이 위치한 동으로 발전해왔다. 옛 지명들로 웃장·아랫장·가마등·마누등 등의 이름...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본관은 전주. 자는 동주(東冑), 호는 학전(鶴田). 아버지는 전주최씨 여수 입향조 최홍기(崔弘器)이다. 1590년(선조 23) 아버지 최홍기와 함께 여수 기전마을[현 여수시 신기동]에 자리 잡았다. 1592년(선조 25) 사복시정(司僕寺正) 재임 시 임진왜란을 당하여 이순신 장군 휘하로 들어갔다. 수문장, 우부장으로 동...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팔월 보름에 행하는 세시풍속. 추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가배(嘉俳)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곧, 서기 32년(유리왕 9) 신라 6부의 부녀자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6일부터 8월 보름까지 길쌈 내기를 해서 진 쪽에서 이긴 쪽을 대접하도록 하여 궁궐이나 민가 할 것 없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질탕하게 놀았는데 이를 가배(嘉俳)라 하였는...
-
소설가 문순태가 쓴 『성자의 지팡이』는 무등산 속 오두막에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단식 중인 최흥종[1880~1966] 목사를 대학교 2학년생 손자 최협이 찾아가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현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최협 교수가 눈 쌓인 무등산이 펼쳐진 연구실에서 할아버지의 삶을 회고한 것을 소설화한 것이다. 최흥종은 젊은 시절 ‘망치’란 이름으로 장터와 뒷골목을 주름잡던 주먹이었다. 여...
-
전라남도 여수시 화장동에 있는 한국가스안전공사 여수지역 지사. 한국가스안전공사 전남동부지사는 가스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가스 안전 기술개발과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가스안전공사는 1974년 1월 7일 당시 공업진흥청 산하 고압가스보안협회로 발족하고, 1995년 8월 가스안전연구개발원, 2002년 3월 가스안전교육원을 설립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장동에 있는 한국가스안전공사 여수지역 지사. 한국가스안전공사 전남동부지사는 가스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가스 안전 기술개발과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가스안전공사는 1974년 1월 7일 당시 공업진흥청 산하 고압가스보안협회로 발족하고, 1995년 8월 가스안전연구개발원, 2002년 3월 가스안전교육원을 설립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장동에 있는 한국가스안전공사 여수지역 지사. 한국가스안전공사 전남동부지사는 가스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가스 안전 기술개발과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가스안전공사는 1974년 1월 7일 당시 공업진흥청 산하 고압가스보안협회로 발족하고, 1995년 8월 가스안전연구개발원, 2002년 3월 가스안전교육원을 설립하...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에 위치한 한국공항공사 여수지역 지사. 한국공항공사 여수지사는 공항을 효율적으로 건설·관리·운영하도록 함으로써 항공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국가경제 발전과 국민복지 증진을 꾀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72년 5월 대한항공(주)의 여수~서울 노선이 개설되었으나 1976년 정기노선이 폐지되면서 휴항하였다. 곧이어 1977년 7월 정기노선 운항이 재개되어 여...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산하 여수지역 지부. 한국국악협회 여수지부는 여수 지역의 전통문화 활성화, 국악의 발전과 대중화,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복리 증진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1962년 정홍수, 서형식, 박창곤 등이 중심이 되어 한국국악협회 여수지부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같은 해 7월에 한국국악협회로부터 지부 설치를 인준 받았다. 초대지부장으로 정홍수를 선출하...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한국남동발전 여수발전본부. 여수화력 1호기는 이탈리아의 상업 차관으로 한국전력이 호남 지방 전력 수급을 위하여 건설하였다. 여수화력 1호기는 1969년 5월 착공하여 1975년 3월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여수화력 2호기는 1973년 6월 30일 착공하여 1977년 6월 준공하였다. 1975년 3월 200MW의 1호기 준공에 이어...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한국남동발전 여수발전본부. 여수화력 1호기는 이탈리아의 상업 차관으로 한국전력이 호남 지방 전력 수급을 위하여 건설하였다. 여수화력 1호기는 1969년 5월 착공하여 1975년 3월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여수화력 2호기는 1973년 6월 30일 착공하여 1977년 6월 준공하였다. 1975년 3월 200MW의 1호기 준공에 이어...
-
전라남도 여수시 선원동에 있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여수지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여수시지부는 현장의 힘을 조직화하고 극대화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강화하고 인간다운 삶과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노동 조건의 확보, 노동 기본권의 쟁취, 노동 현장의 비민주적 요소 척결, 산업 재해 추방, 남녀평등 실현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3월 29일 설립하였으며, 1998년 4월 2...
-
전라남도 여수시 선원동에 있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여수지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여수시지부는 현장의 힘을 조직화하고 극대화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강화하고 인간다운 삶과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노동 조건의 확보, 노동 기본권의 쟁취, 노동 현장의 비민주적 요소 척결, 산업 재해 추방, 남녀평등 실현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3월 29일 설립하였으며, 1998년 4월 2...
-
전라남도 여수시 월내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한국동서발전 호남발전소. 한국동서발전 신호남건설추진본부는 여수국가산업단지 및 호남 지역 공업 단지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호남전력이 건설하였다. 유연탄 및 중유 연소 겸용 발전소로 총 시설 용량은 50만㎾(25만㎾×2기)이다. 광양만 공유 수면을 매립하여 511,749㎡의 대지를 조성한 뒤 1969년 5월 발전소를 착공하여 1호기는...
-
전라남도 여수시 월내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한국동서발전 호남발전소. 한국동서발전 신호남건설추진본부는 여수국가산업단지 및 호남 지역 공업 단지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호남전력이 건설하였다. 유연탄 및 중유 연소 겸용 발전소로 총 시설 용량은 50만㎾(25만㎾×2기)이다. 광양만 공유 수면을 매립하여 511,749㎡의 대지를 조성한 뒤 1969년 5월 발전소를 착공하여 1호기는...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한국무용협회 산하 무용단체. 1940년대 여수는 무용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1949년 조용자의 무용발표회와 1953년 김소미자의 무용발표회는 당시 지역민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1959년 10월 김종남이 무용연구원을 개설하면서 여수 지역의 학생들이 무용인으로 양성되기 시작했으며, 1960년 신병식이 연출한 창작무용극 「에밀레종」이 무대에 오르면서...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문인협회 소속 여수지역 지부.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는 한국문학의 위상을 정립하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한편 회원의 권익을 옹호하며 창조적인 문학활동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는 1955년 박보운 시인을 중심으로 엄심호·김광회·서정선·허의령·곽진용·최경자·유금호·김정순·이환희·박종현·김민...
-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에서 1981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1967년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는 동인지인 『간솔』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이후 회원 상호 간 문예 창작력을 제고하고, 지역 문학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1981년 기관지 『여수문학』을 창간하였다. 창간호에는 박보운, 유홍석, 송명진, 김성영, 최성균, 양동초, 최경자, 진명화, 김정현 등의 회원 작품이 수록되었다. 『...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사단법인 한국예총 여수지부 산하 미술 단체. 1966년 2월 12명의 회원으로 여수미술협회를 창립하고 초대회장에 김용복을 선임하였다. 1967년 5월 창립 1주년 기념 제1회 여수미술협회전을 황실다실에서 개최하여 지부 인준 전까지 9회를 개최하였다. 여수 지역 회원 상호 간의 창작 교류와 친목을 도모하고 국내외 미술 교류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전라남도지회 산하 단체.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여수지부는 민족 예술을 지향하는 문화 예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우리 사회의 민주화와 민족통일 및 민중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고, 지역 예술 문화를 계승·발전시켜 민족문화 발전에 헌신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12월 23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을 설립하여 창립총회를...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전라남도지회 산하 단체.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여수지부는 민족 예술을 지향하는 문화 예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우리 사회의 민주화와 민족통일 및 민중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고, 지역 예술 문화를 계승·발전시켜 민족문화 발전에 헌신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12월 23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을 설립하여 창립총회를...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2로 여수국가산업단지에 있는 한국바스프의 석유화학품 제조 공장. 한국바스프(주)는 독일계 BASF Company Ltd와 한화가 50대 50으로 합작 투자한 글로벌 외국기업으로 국내에서는 서울 본사와 울산, 여수, 안산 등지에 5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여수공장은 다양한 생활용품 소재인 폴리우레탄의 원료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바스프 여수공...
-
전라남도 여수시 충무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사진 단체, 한국사진작가협회는 1961년 12월 17일 한국의 사진문화 발전과 향상에 공헌하며 국제간 문화교류에 기여하고 국내 사진작가들의 권익 옹호와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약칭 한국사협이라고도 한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여수지부는 전국의 사진작가 회원들과의 정보 교환, 사진 인구의 저변 확대, 여수 지역 사진 예...
-
전라남도 여수시 충무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사진 단체, 한국사진작가협회는 1961년 12월 17일 한국의 사진문화 발전과 향상에 공헌하며 국제간 문화교류에 기여하고 국내 사진작가들의 권익 옹호와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약칭 한국사협이라고도 한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여수지부는 전국의 사진작가 회원들과의 정보 교환, 사진 인구의 저변 확대, 여수 지역 사진 예...
-
전라남도 여수시 주삼동에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지역본부. 1964년 8월 한국수출산업공단이 발족하였고, 1996년 10월 「산업 집적 활성화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5개 국가산업단지관리공단을 통폐합하여 1997년 1월 한국산업단지공단을 설립하였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남지역본부는 국가 산업단지 개발 및 관리와 입주 기업체의 생산 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산하 지역 관리단. 공업용수와 생활용수의 안정적인 공급과 해면 매립을 통한 국토의 효율적 이용 및 국토 확장 등을 통하여 국민 생활 향상과 공공복지 증진을 꾀하고자 설립되었다. 1973년 10월 여천건설사무소로 개소하였다. 1980년 1월 여천용수관리사무소를 설치하였으며, 1982년 1월 여천건설사무소를 여천건설관리사무소로 개칭하였다. 1...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산하 연극 단체. 1976년경 여수YMCA 내 소인극 모임 단체인 아하극회의 「어둠을 뚫고」를 시발점으로 몇 차례의 자체 공연이 있었다. 공식적인 기록에 의하면 1981년 7월 21일 엑스트라극회를 발족하여 10월 17일 박희연의 연출로 유진 오닐의 「긴 귀항로」를 근로복지회관에서 공연했다. 1981년 9월 23일 한국연극협회로부터 인준을...
-
전라남도 여수시 봉강동에 있는 연예인들의 단체.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여수지부는 여수 지역에서 연예 활동을 하는 회원들의 권익신장 및 친목도모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4년 1월 사단법인 한국연예협회 여수지부가 창설되었고, 초대 지부장으로 김기석이 선출되었다. 1991년 7월 3일 봉강동 403[신월로 779-1]에서 광무동 454-4[한재로 170-2]로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19...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여수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여수지회는 지역의 문화 예술 발전 및 진흥, 문화 예술인 예술 창작 의욕 고취, 지역 문화 예술 단체의 행정적 지원, 지역 문화 예술을 시민과 향유하는 공연 기획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여수지부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초대 지부장 주종석을 선출하였다. 197...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한국외식업중앙회 산하 지부. 한국음식업중앙회 여수시지부는 국민 영양과 보건 향상, 식품 위생 수준 향상 및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 사업을 추진하며, 회원 간의 화합과 복리 및 권익 증진, 식문화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8년 11월 10일 대한요식업중앙회 전라남도지부 여수시조합을 창립하여, 1991년 5월 13일 대한요식업중앙회...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한국외식업중앙회 산하 지부. 한국음식업중앙회 여수시지부는 국민 영양과 보건 향상, 식품 위생 수준 향상 및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 사업을 추진하며, 회원 간의 화합과 복리 및 권익 증진, 식문화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8년 11월 10일 대한요식업중앙회 전라남도지부 여수시조합을 창립하여, 1991년 5월 13일 대한요식업중앙회...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한국외식업중앙회 산하 지부. 한국음식업중앙회 여수시지부는 국민 영양과 보건 향상, 식품 위생 수준 향상 및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 사업을 추진하며, 회원 간의 화합과 복리 및 권익 증진, 식문화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8년 11월 10일 대한요식업중앙회 전라남도지부 여수시조합을 창립하여, 1991년 5월 13일 대한요식업중앙회...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에 있는 한국음악협회 산하 여수지역 지부. 한국음악협회 여수지부는 지방 음악의 향상·발전과 지역 문화의 창달을 도모하고, 국제간 또는 중앙을 비롯한 국내 각 지부와의 음악 문화 교류를 통한 지방 음악인의 지위 향상과 권익 신장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4년 7월 한국음악협회의 정관에 의거하여 설립되었으며, 초대 지부장에 지정익, 부지부장에 김중배, 총무에...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산하 지사.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사는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설립되었다. 1976년 9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출장소를 개소하였다. 1985년 4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점으로 승격하였고, 2003년 6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30일 여서동의...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산하 지사.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사는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설립되었다. 1976년 9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출장소를 개소하였다. 1985년 4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점으로 승격하였고, 2003년 6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30일 여서동의...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 산하 지사.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사는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설립되었다. 1976년 9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출장소를 개소하였다. 1985년 4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점으로 승격하였고, 2003년 6월 1일 한국전기안전공사 여수지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0년 9월 30일 여서동의...
-
전라남도 여수시 미평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여수지사는 여수 지역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9년 9월 여수전등(주)으로 출발하였다. 1936년 10월 대흥전기(주)가 여수전등(주)을 합병하였다. 1945년 7월 남선전기 광주지점 여수출장소로 변경하였다. 1961년 7월 한국전력 광주지점 순천영업소 여수출...
-
전라남도 여수시 미평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산하 지사.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여수지사는 여수 지역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9년 9월 여수전등(주)으로 출발하였다. 1936년 10월 대흥전기(주)가 여수전등(주)을 합병하였다. 1945년 7월 남선전기 광주지점 여수출장소로 변경하였다. 1961년 7월 한국전력 광주지점 순천영업소 여수출...
-
전라남도 여수시 미평동에 있는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여수지역 지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전라남도협회 여수시지회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의 보장, 장애 발생의 예방과 치료, 교육, 직업재활, 생활환경 개선 등에 관한 지원사업 등을 통하여 장애인의 복지 증진과 사회활동 참여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3년 4월 29일 창립추진위원장에 오창호를 추대하고 1993년 6월 22일...
-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동에 있는 한국청소년광주·전남연맹의 여수지역 지회. 한국청소년광주·전남연맹 여수지역협의회는 청소년들에게 심신의 단련을 통해 올바른 국가관과 윤리관을 심어주고 우리의 전통 문화를 계승·발전시키며 세계로 뻗어가는 진취적 기상을 함양시킴으로써 민족의 통일과 국제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건전한 세대를 육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한국청소년연맹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1...
-
전라남도 여수시 신기동에 있는 한국청소년육성회 소속 여수지역 지부. 한국청소년육성회 여수지구회는 청소년 비행 예방 활동, 청소년 유해 환경의 정화 활동 및 청소년 관련 문화행사를 주도하는 등 청소년의 육성·보호·복지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시민정신을 함양하고 건전한 청소년을 육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4년 11월 17일 강용명 지구회장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2004년 12...
-
전라남도 여수시 충무동에 있는 한국투자상호저축은행 산하 지점. 한국투자상호저축은행 여수지점은 담보력과 신용도가 취약한 서민과 소규모 기업을 영위하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저축 증대 의욕 및 신용 질서를 확립하고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2년 12월 14일 고려상호신용금고가 설립되면서 여수지점도 같이 문을 열었다. 1996년 9월 14일 동원증권에서 인수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나진리에 있는 한국해양소년단의 전라남도 동부 지부. 한국해양소년단 전남동부연맹은 해양에 관한 교육훈련을 통하여 청소년들에게 해양사상을 고취시키고 투철한 국가관과 진취적인 기상을 함양하게 하여 해양 개발과 국가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6년 6월 28일 한국해양소년단 여수여천지부연맹 창립총회를 개최하면서 조직을 설립하였고 1987년 12월 한...
-
전라남도 여수시 월하동에 있는 TDI 제조 업체. 1978년 2월 서울에서 우레탄 산업의 원료인 TDI(Toluene D-isocyanate)를 생산하기 위하여 진양화인케미칼이 설립되어, 1979년 여수공장을 착공하였고, 1983년 12월 준공하여 국내 최초로 TDI를 생산하였다. 1983년 회사 이름을 한국화인케미칼로 변경하였다. 1990년 7월 기업 부설연구소 개설 인가를 받았...
-
전라남도 여수시 미평동에 있었던 한국BBS의 여수지역 지회. 한국BBS 광주전남연맹 여수지회는 불우 청소년, 문제·비행 청소년과의 1대1 결연을 통해 그들의 친구로서, 형으로서, 부모로서 그들을 도와주고 이끌어 주는 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04년 미국 뉴욕에서 BBS운동(Big Brothers and Sisters Movement)이 처음 시작된 이래 전 세계로 확...
-
전라남도 여수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와 광복 공간에서 활동한 정치인. 한학을 닦아 일제강점기에 도평의원을 지냈고, 동도보통학교를 설립하였다. 건국 후에는 줄곧 어협조합장, 면의회의장, 도교육위원 등 공직에서 활동하였다. 삼산면 동도리 출생으로 호는 귤산(橘山)이다. 한학을 닦아 일제강점기에 도 평의원을 지냈고, 1925년 거문도 동도리에 동도보통학교를 설립하였다. 건국 후에는 줄곧 어...
-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공화동을 관할하는 행정동. 한려해상국립공원인 오동도를 끼고 있는 행정동으로 한려동이라는 명칭은 한려수도에서 유래되었다. 1997년 7월 25일 삼여통합을 위한 동 통합시 법정동인 공화동과 수정동이 통합되어 오동동으로 개칭하였으나, 오동동이 주민 정서에 부합하지 않아 주민 여론에 따라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오동도를 연상시키면서 한려수도의 기점이라는 점과 관광여수...
-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에 있는 한려동의 행정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 전라남도 여수시 한려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들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7년 삼여통합을 위한 동 통합으로 수정동과 공화동을 통합하여 오동동사무소가 설치되었다. 1998년 주민들의 청원으로 행정동명을 오동동에서 한려동으로 개칭함에 따라 한려동사무소가 되었으며 지난 2007월 9월...
-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에 있는 한려동의 행정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 전라남도 여수시 한려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들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7년 삼여통합을 위한 동 통합으로 수정동과 공화동을 통합하여 오동동사무소가 설치되었다. 1998년 주민들의 청원으로 행정동명을 오동동에서 한려동으로 개칭함에 따라 한려동사무소가 되었으며 지난 2007월 9월...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상남도 거제시에 이르는 해상과 해안 일대의 공원.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사천시·거제시·통영시·하동군·남해군 등 2개 도, 4개 시, 2개 군에 걸쳐 있는 해상국립공원이다. 이곳에는 자연 경관이 수려한 오동도·다도해·비진도·한산도·거제해금강 등 해상관광이 풍부하다. 또한,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을 대파한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가 많아 역사의 산 현장으로 유명...
-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도에 이르는 물길. 1968년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자연 경관이 수려한 오동도·다도해·비진도·한산도 등 해상 관광이 풍부하고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을 대파한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가 많아 역사의 산 현장이다. 오동도에서 경상남도 남해군·사천시·충무시를 거쳐 통영시 한산도까지로 총 길이가 300리(약 120㎞)에 이르는 뱃길이...
-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항상 의문을 갖고 탐구하는 어린이, 남을 먼저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풍부한 정서를 가진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0년 9월 15일 여수한려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1년 3월 1일 2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4년 3월 1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했으며, 1996년 3월 1일 여수한려초등학교로...
-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항상 의문을 갖고 탐구하는 어린이, 남을 먼저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풍부한 정서를 가진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0년 9월 15일 여수한려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1년 3월 1일 29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4년 3월 1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했으며, 1996년 3월 1일 여수한려초등학교로...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상남도 거제시에 이르는 해상과 해안 일대의 공원.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사천시·거제시·통영시·하동군·남해군 등 2개 도, 4개 시, 2개 군에 걸쳐 있는 해상국립공원이다. 이곳에는 자연 경관이 수려한 오동도·다도해·비진도·한산도·거제해금강 등 해상관광이 풍부하다. 또한,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을 대파한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가 많아 역사의 산 현장으로 유명...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종고산과 한산도대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한산도대첩은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섬 앞바다에서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및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왜수군의 주력 부대를 무찌른 해전이다. 한산도대첩은 진주성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 대첩으로 부른다. 한산도대첩은 왜수군의 주력을 대부분...
-
전라남도 여수시 한산사에 있는 조선 후기 동종. 한산사는 구봉산(九鳳山)[388m] 중턱에 자리한 화엄사의 말사로 고려 명종 때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임진왜란 당시 수군과 의승군이 주둔하였던 호국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경내의 동쪽 바위 사이로 흐르는 약수는 시원하고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한산사에서는 1750년(영조 26) 한산사 종을 주조한 것으로...
-
고려 후기 보조국사 지눌이 전라남도 여수시 봉산동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 한산사의 창건 연대는 정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1880년의 「한산사중창서」에 의하면 보조국사 지눌이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데, “구봉산은 우리나라 여러 산 가운데 가장 영험한 곳으로 수목이 울창한데, 이러한 명산에 사찰이 없음을 안타까워 한 보조국사가 이에 절을 창건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전라남도 여수시 한산사에 있는 탱화. 대웅전 오른쪽 벽면에 있는 「한산사 지장시왕도」에는 지장보살이 육환장을 들고 높다란 6각의 대좌(臺座)에 앉아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대좌 앞에는 원 안에 연꽃을 들고 있는 이부동자(二府童子)가 연화대 위에 서 있고, 지장보살의 대좌 좌우에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시립하고 있다. 화면 전체에 명부의 시왕과 판관, 녹사 등이 배치되어 있고,...
-
전라남도 여수시 한산사에 있는 조선 후기 동종. 한산사는 구봉산(九鳳山)[388m] 중턱에 자리한 화엄사의 말사로 고려 명종 때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임진왜란 당시 수군과 의승군이 주둔하였던 호국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경내의 동쪽 바위 사이로 흐르는 약수는 시원하고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한산사에서는 1750년(영조 26) 한산사 종을 주조한 것으로...
-
전라남도 여수시 한산사에 있는 탱화. 대웅전 오른쪽 벽면에 있는 「한산사 지장시왕도」에는 지장보살이 육환장을 들고 높다란 6각의 대좌(臺座)에 앉아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대좌 앞에는 원 안에 연꽃을 들고 있는 이부동자(二府童子)가 연화대 위에 서 있고, 지장보살의 대좌 좌우에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시립하고 있다. 화면 전체에 명부의 시왕과 판관, 녹사 등이 배치되어 있고,...
-
전라남도 여수시 한산사 칠성각 내에 있는 칠성탱화 등의 불화. 「칠성탱화」는 아미타불 뒤에 걸린 괘불로, 중앙에 치성광여래를 배치하였다. 하단 왼쪽에는 일광보살이, 오른쪽에는 월광보살이 협시하고 있고, 이 보살들 옆으로 칠원성군을 두었다. 화면 중단에는 왼쪽에 넷, 오른쪽에 셋의 칠성여래가 서 있고, 그 위로는 칠성계(七星界)의 여러 성중을 표현하였다. 크기는 가로 230㎝, 세로...
-
전라남도 여수시 한산사 칠성각 내에 있는 칠성탱화 등의 불화. 「칠성탱화」는 아미타불 뒤에 걸린 괘불로, 중앙에 치성광여래를 배치하였다. 하단 왼쪽에는 일광보살이, 오른쪽에는 월광보살이 협시하고 있고, 이 보살들 옆으로 칠원성군을 두었다. 화면 중단에는 왼쪽에 넷, 오른쪽에 셋의 칠성여래가 서 있고, 그 위로는 칠성계(七星界)의 여러 성중을 표현하였다. 크기는 가로 230㎝, 세로...
-
1949년 말쯤 손양원 목사, 김정복 목사, 애양원교회 당회, 소록도교회 당회, 상애교회 당회, 대구애락교회 당회가 모여 한센 지도자 양성을 위해 한성신학교를 설립키로 하였다. 손양원 목사는 이를 위해 부흥 집회 때 받은 사례금을 적립해 왔으나 마무리 못하고 순교하였다. 남은 사람들이 유지를 받들어 1955년 4월 한성신학교를 설립했다. 그러나 1959년 3월 26일 제1회 졸업생...
-
한센병 환자들의 가족, 이웃들을 비롯한 많은 조력자들이 환자들을 도와주고 함께해 왔다. 포사이트 선교사가 길가에 쓰러진 한센병 환자를 치료한 정신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지금까지 가난하고 소외된 한센병 환자와 소아마비나 뇌성마비 등으로 불구가 된 이들을 저렴하게 치료하고 재활시켜 오고 있다. 또 가난하고 소외되고 나이 많은 불구 환자들과 한센병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복지 의료 사업...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민주시민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학교법인 봉헌학원이 설립 인가를 받아 1982년 5월 5일 김재호 초대 이사장이 취임했으며, 11월 30일 보통과 30학급으로 한영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3년 3월 10일 개교하였으며 1986년 제1회 졸업생 480명을 배출하였다. 1996년 6월 29일 제...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교. 지식과 덕성을 갖춘 참 인재양성, 산업현장을 주도하는 실무형 인재양성, 지역과 함께하는 사회친화적 인재양성, 세계화를 지향하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82년 4월 19일 학교법인 봉헌학원으로 설립을 인가받았다. 1991년 10월 29일 한영공업전문대학 설립 계획을 승인 받고 1992년 12월 11일 한영공업전문대학...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교. 지식과 덕성을 갖춘 참 인재양성, 산업현장을 주도하는 실무형 인재양성, 지역과 함께하는 사회친화적 인재양성, 세계화를 지향하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82년 4월 19일 학교법인 봉헌학원으로 설립을 인가받았다. 1991년 10월 29일 한영공업전문대학 설립 계획을 승인 받고 1992년 12월 11일 한영공업전문대학...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교. 지식과 덕성을 갖춘 참 인재양성, 산업현장을 주도하는 실무형 인재양성, 지역과 함께하는 사회친화적 인재양성, 세계화를 지향하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82년 4월 19일 학교법인 봉헌학원으로 설립을 인가받았다. 1991년 10월 29일 한영공업전문대학 설립 계획을 승인 받고 1992년 12월 11일 한영공업전문대학...
-
전라남도 여수시 덕충동에 있는 숙박 시설. 국내에서는 세 번째로 한옥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 만든 한옥 호텔이다.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앞서 관람객들에게 숙박 시설 지원 및 전라남도 동남권 관광 숙박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12년 4월 전남개발공사에서 전통 한옥 형태로 건립하였다. 대지면적은 2만 7605㎡이다. 한옥의 특징을 살린 목조 구조로 전통 한옥의 멋을 느낄 수 있다...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해물 한정식 전문 음식점. 한일관은 1991년 10월 여수시 봉산동 봉산시장 내에서 한일식당이라는 상호로 정미화가 개업하였다. 1996년 10월 7일 여서동 현재 가게로 확장 이전하여 정미화·박영복 부부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1991년 1월 여수시 봉산동 봉산시장에서 한일식당으로 개업하여, 1996년 10월 7일 여서동[여서동 229-4번지]으로...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여수국가산업단지 안에 있는 화학 플랜트 시공 전문 업체. 한일기전은 1994년 창사 이래 21년간 기술력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무결점 안전 문화 정착을 사훈으로 전기, 계전 및 소방전문 시장 진입을 목표로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제품 개발과 전문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전기, 계전 프로세스(Process)의 고장 제로화를 위한 예방 정비 및 문제점...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여수국가산업단지 안에 있는 화학 플랜트 시공 전문 업체. 한일기전은 1994년 창사 이래 21년간 기술력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무결점 안전 문화 정착을 사훈으로 전기, 계전 및 소방전문 시장 진입을 목표로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제품 개발과 전문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전기, 계전 프로세스(Process)의 고장 제로화를 위한 예방 정비 및 문제점...
-
전라남도 여수시 봉강동과 여서동을 연결하는 고개.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이 고개가 과거 여수에서 쌍봉[현 여서동]으로 넘어가는 큰 재였기 때문에, 큰 재를 의미하는 우리말 한재에서 유래되었다. 대치는 한재를 한자어로 바꿔 부르게 된 이름이다. 해발 140m의 고개이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고, 장군산에서 구봉산으로 이어지는 산마루금의...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활동했던 한파문학회가 발간한 동인지. 1957년 여수문학의 산파역할을 한 한파문학회 회원들의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지역 문학 정서 함양과 회원들의 창작력을 드높이기 위해 창간되었다. 국판 변형판에 필사본이다. 회원들의 시와 수필을 게재하고 있다. 1957년 한파문학회가 동인지 『한파』1집을 발간한 후 1960년 한파문학회가 해산되고 문학동인 역우로 합류됨에 따라...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활동했던 문학 동인회. 한파문학회는 지역 문학의 활성화와 회원들의 문예 창작력을 제고하고 회원들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7년 여지랑·허의령 등의 시인이 한파문학회를 창립하여 동인 활동을 하다가 한파문학회 해산 후 1960년 역우문학회로 합류하였다. 1960년 『역우』 동인이 『시작』 동인으로 개칭되어 활동을 이어갔다. 회원들의 문예 작품 품평회...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3로 여수국가산업단지에 있는 한화솔루션 합성수지 및 기초 석유화학제품 제조 공장. 한화솔루션은 2020년 1월 한화케미칼의 변경된 상호이다. 한화솔루션은 한화그룹의 석유화학 제품 전문업체로 1965년 설립된 한국화성공업을 전신으로 한다. 1974년 한양화학, 1982년 한국다우케미칼을 인수하였고, 2010년 한화케미칼 상호로 변경되었다. 2016년 한화화인케...
-
전라남도 여수시 월하동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컴파운드는 여수국가산업단지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로서 전선용, 특수 컴파운드,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을 생산한다. 컴파운드 등의 제조 및 판매, 가공을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6월 25일 삼진알미늄으로 설립되었다. 1990년 5월 1일 종이 제품 생산...
-
전라남도 여수시 월하동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컴파운드는 여수국가산업단지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로서 전선용, 특수 컴파운드, 석유화학계 기초 제품을 생산한다. 컴파운드 등의 제조 및 판매, 가공을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6월 25일 삼진알미늄으로 설립되었다. 1990년 5월 1일 종이 제품 생산...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3로 여수국가산업단지에 있는 한화솔루션 합성수지 및 기초 석유화학제품 제조 공장. 한화솔루션은 2020년 1월 한화케미칼의 변경된 상호이다. 한화솔루션은 한화그룹의 석유화학 제품 전문업체로 1965년 설립된 한국화성공업을 전신으로 한다. 1974년 한양화학, 1982년 한국다우케미칼을 인수하였고, 2010년 한화케미칼 상호로 변경되었다. 2016년 한화화인케...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서촌리 봉오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당에 관한 이야기. 화양면 서촌리 남쪽에 있는 봉오마을의 옛 이름을 봉골이라고 불렀다. 봉화산에 있는 봉군(烽軍)들이 마을에 살면서 봉수대를 교대로 지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옛 기록에는 봉화 봉(烽)자를 쓴 봉오(烽梧)로 쓰다가 받들 봉(奉)자로 바뀌었고, 다시 봉새 봉(鳳)자를 써 봉오(鳳梧)마을이 됐다. 봉황새가 오동나...
-
조정을 시조로 하고 조중선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함안조씨(咸安趙氏) 시조는 고려 초 대장군을 지낸 조정(趙鼎)이다. 조정은 당나라에서 고려에 귀화하였으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으로 대장군에 올랐다. 조정의 후손이 함안에 대대로 살며 이곳 지명을 본관으로 삼고 세계를 이어 왔다. 함안조씨 여수 입향조는 조중선(趙重善)이...
-
여어매를 시조로 하고 여광률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함양여씨(咸陽呂氏)는 당나라 희종 때 신라에 건너와 창성한 여어매(呂御梅)를 시조로 삼는 성씨이다. 최초 정착한 곳이 함양(咸陽) 혹은 성산(星山)이라는 설로 인해 함양여씨와 성산여씨로 갈라진다. 시조 여어매는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여임청과 낭장을 지낸 여광유 두 아들을 두었는데, 함양여씨는 여임청의 세 아...
-
이언을 시조로 하고 이지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함평이씨(咸平李氏)는 고려 광종 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을 지낸 이언(李彦)을 시조로 받드는 성씨이다. 이언은 후에 함풍군(咸豊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함평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잇고 있다. 함평이씨 여수 입향조는 이지성(李枝盛)이다. 이지성은 선무랑을 지냈는데, 현종 때 순천에서 여수로 이거했다. 여수...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활동한 전라남도 여수 출신의 무신. 1563년(명종 18)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에서 사마(司馬) 박준현(朴俊賢)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적 남명 조식(曺植)[1501~1572]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임진왜란 직전에 율촌 봉전마을로 옮겨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여수 지역에서 큰 공을 세웠다. 1597년(선조 30) 남원에 사는 최...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원포리에 있는 섬. 본래 썰물이 되면 섬으로 건너다닐 수 있는 목이 생겨 목섬이라고 불렀으며, 한자로 표기하면서 소리 나는 대로 기록하여 나무 목(木) 자로 쓴 데서 유래되었다. 최고 지점은 해발 20m이며, 해안 주변으로 간석지가 발달하였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선박의 출입이나 사람의 승·하선, 화물의 하역·보관 및 처리 등을 위한 시설이 구비된 장소. 항만에는 지정항만과 지방항만이 있으며, 지정항만은 대통령령으로 그 명칭·위치 및 구역이 지정된 항만으로서 무역항과 연안항으로 나뉜다. 지방항만은 시장이나 도지사가 지정하는 곳으로, 여수 지역에는 지방항만이 없다. 무역항은 주로 원양 구역을 항행하는 선박이 입·출항하는 항...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년 시문학 동인회. 해맥(海貘)은 바다에 사는 모든 악령을 먹고산다는 상징적인 동물인데, 동인들이 추구하는 시문학에서 해맥처럼 거짓 없이 진실과 순수함을 추구하자는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1982년 2월 21일 최성균, 김양호, 강성재, 박양규 등 여수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 시인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되었다. 여수시의 유일한 청년 문학동인으로 결성...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에 있는 섬. 조선 전기에는 거문도를 고도(孤島) 또는 초도를 포함하여 고초도(孤草島)라 하였는데, 『조선왕조실록』에는 1424년(세종 5)에 고도에 관한 기록과 세종 6년에 고초에 관한 기록이 처음 나타난다. 거문도를 고도라고 한 것은 왜인들이 고기잡이를 위해 살았기 때문에 왜 섬이라고 한 것을 왜와 음이 비슷한 ‘외’ 섬으로 해석하고 이를 한자로 표...
-
덕양에 장이 개설된 기간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장터가 해방 이후에도 존속했다. 오일장은 1·6, 2·7, 3·8, 4·9, 5·10과 같이 매월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개시되는 정기시의 성격을 가졌다. 덕양장도 열흘에 두 번 열리는 오일장이었다. 덕양의 오일장이 일회적·불규칙적 시장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오일장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아 덕양은 상품의 공급과 수요가 있었던 것으...
-
전라남도 여수시 종화동에 있는 공원. 하멜수변공원은 종화동의 포구 자리인 물양장에서 하멜등대가 있는 여수구항 방파제까지 항만 기능 향상과 미관 개선을 통하여 미래 지향적인 항구 도시로 여수 지역이 거듭나고자 건립하였다. 하멜수변공원은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이 2005년 11월 25일부터 공사에 착공하여 2006년 6월 1일 하멜수변공원 조성을 완공하였다. 2006년 7월 20일부터는 여...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활동한 의료인이자 문예발전에 기여한 인물. 1931년 광주 출신으로 광주의대를 나와 안과의사가 된 그는 1964년 여천보건소장으로 부임한 것이 여수와의 인연의 시작이었다. 부임하자 자신의 전공을 살려 무료 개안수술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개안센터를 개설 운영, 장님이라 치부하던 많은 사람들의 눈을 고쳐주는 등의 인술을 베풀었다. 1965년 여수 지정익안과 개...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법정동. 해산동에는 해지(蟹旨)마을·오산(烏山)마을·대평(大坪)마을·기동(基洞)마을·고막(古莫)마을이 있어, 해지마을과 오산마을에서 ‘해산’이라는 이름을 만들게 되었다. 해지마을은 마을의 지형이 바다에 사는 게 모양의 형상이라 하여 이름이 유래되었다. 많은 주민들이 게머리재와 같이 마을의 지형과 게의 형상을 일치시킨 다음, 풍수지리를 곁들인 마을 유래를 전해...
-
전라남도 여수시 주삼동에 있는 저수지. 해산저수지는 1970년 여수시 주삼동 지역의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축조되었다. 몽리면적은 0.154㎢, 유역면적은 0.08㎢, 수혜면적은 0.144㎢이다. 해산저수지의 길이는 120m, 폭은 2.5m, 높이는 4m이다. 저수량은 9.3천 톤으로 소규모이다. 해산저수지는 여수시 주삼동 일대의 유수(流水)를 저장하여 물의 과다 또는 과소를 조...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배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일. 바다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나 활동과 관련된 제반 사항이 해상교통이며, 무엇보다도 선박의 발달 과정과 깊은 관계가 있다. 여수 지역 해상운송은 처음 통나무, 갈대 잎, 가죽 등을 이용한 원시적인 방법에서 바람을 이용한 돛단배[풍선]로 발전하였을 개연성이 크다. 이어 산업혁명...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젓새우 등을 잡는 데 쓰는 무동력 배. 멍텅구리배는 해선망 또는 부선저인망이라 부르는 젓새우잡이 무동력 선박이다. 그물의 설치에 따라 중선·꽁댕이배·옆치기배 등의 3종류로 나뉘는데, 중선이 가장 오래되고 널리 알려졌다.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여수 지역에서 새우잡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860년대 이전부터 중선을 이용한 어구 어법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어민들은 말...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서식하고 있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소나무보다 잎이 억세 곰솔이라고 부르며,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이라고도 한다. 또한 나무껍질의 색깔이 소나무보다 검어서 흑송이라고도 한다. 높이 20m, 지름 1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거북의 등처럼 갈라져서 조각으로 떨어진다. 겨울눈은 흰색이고 언저리에 부드러운 흰색 털이 난...
-
전라남도 여수 지역 어촌에서 물고기가 많이 잡히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용왕제는 용왕신이 거처하는 우물에서 지내는 경우와 바다에서 지내는 경우가 있다. 바다에서 지내는 경우에는 해신제(海神祭)라고도 한다. 물을 관장하는 신을 용신 혹은 용왕신이라고 하는데, 바다가 생존의 터전이었던 여수 사람들에게 바다에서 지내는 용왕제는 신앙생활과 마찬가지였다. 용왕제의 연원에 대해서는 알 길...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바다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지형. 여수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파랑 에너지가 적어 육지부에서는 해식애 발달이 미약한 편이나,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특히 연근해보다는 외해로 나갈수록 해식애와 해식동이 잘 발달되어 있다. 특히 외해는 파랑의 침식 에너지가 강해 시스택과 여(礖)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여수반도는 지구조운동에 의한...
-
전라남도 여수시 오천동에 있는 해양 경찰 전문 교육 기관. 국가에 충성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해양 경찰,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해양 경찰, 세계 최고 수준의 미래 지향적 해양 경찰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4년 1월 29일에 대통령령 제18260호의 공포로 해양 경찰 학교 직제를 마련하였다. 2004년 2월 16일에 해양 경찰 학교 신설 준비단이 발족하여, 200...
-
전라남도 여수시 오천동에 있는 해양 경찰 전문 교육 기관. 국가에 충성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해양 경찰,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해양 경찰, 세계 최고 수준의 미래 지향적 해양 경찰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4년 1월 29일에 대통령령 제18260호의 공포로 해양 경찰 학교 직제를 마련하였다. 2004년 2월 16일에 해양 경찰 학교 신설 준비단이 발족하여, 200...
-
전라남도 여수시 오천동에 있는 해양 경찰 전문 교육 기관. 국가에 충성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해양 경찰,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해양 경찰, 세계 최고 수준의 미래 지향적 해양 경찰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4년 1월 29일에 대통령령 제18260호의 공포로 해양 경찰 학교 직제를 마련하였다. 2004년 2월 16일에 해양 경찰 학교 신설 준비단이 발족하여, 200...
-
전라남도 여수시 종화동에 있는 공원. 하멜수변공원은 종화동의 포구 자리인 물양장에서 하멜등대가 있는 여수구항 방파제까지 항만 기능 향상과 미관 개선을 통하여 미래 지향적인 항구 도시로 여수 지역이 거듭나고자 건립하였다. 하멜수변공원은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이 2005년 11월 25일부터 공사에 착공하여 2006년 6월 1일 하멜수변공원 조성을 완공하였다. 2006년 7월 20일부터는 여...
-
여수의 선박은 민가의 어선뿐만 아니라 전함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예부터 여수가 어항이면서 조선 초기에 설진된 진례만호진·돌산포만호진·내례만호진, 성종 때 설진된 전라좌수영, 중종 때 설진된 방답첨사진의 관방이 있었고, 여수 근해에 풍부한 어장과 수많은 섬들이 흩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여수에서 본격적으로 여객선이 운행된 것은 1950년대부터이며, 여수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기 시...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평사리에 있는 바다 홍보 전시관. 해양수산과학관은 해양 수산 문화를 전승·보전하고, 수산과학을 발전시키며, 청소년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1993년 12월 29일 착공하여 1998년 2월 14일 준공하였다. 해양수산과학관은 1998년 5월 16일 해양수산종합관으로 개관하여 같은 해 9월 11일 과학관으로 등록하였다. 2005년 12월 1일 해양수산과학관...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평사리에 있는 바다 홍보 전시관. 해양수산과학관은 해양 수산 문화를 전승·보전하고, 수산과학을 발전시키며, 청소년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1993년 12월 29일 착공하여 1998년 2월 14일 준공하였다. 해양수산과학관은 1998년 5월 16일 해양수산종합관으로 개관하여 같은 해 9월 11일 과학관으로 등록하였다. 2005년 12월 1일 해양수산과학관...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해양환경공단의 여수 지사. 해양환경공단 여수지사는 해양에 배출된 기름 등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와 그에 관한 교육훈련 및 기술개발을 통하여 방제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해양환경을 보전하고자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10일 해양오염방지법 개정으로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 설립 근거가 마련됨으로써 같은 해 11월 13일 특별 법인으로 출범하였다. 12월...
-
통일신라시대 전라남도 여수 지역의 행정구역 명칭.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확대된 영토를 통치하는 데 있어 자연히 지방행정 구획의 재편성을 단행하였다. 지방 행정조직 개편은 677년(문무왕 17) 무렵 당의 세력을 밀어낸 후 687년(신문왕 7)에 걸쳐 완성되었다. 9주(九州) 5소경(五小京)의 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제도는 신라가 단일정부로서 중앙에서 백제·고구려의 옛 영...
-
오인유를 시조로 하고 오흔인과 오시창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해주오씨는 오인유(吳仁裕)와 오현보(吳賢輔)를 각각 시조로 삼은 두 경우가 있다. 오인유는 본래 중국 송나라 학사로 984년 고려에 들어와 검교군기감을 역임하였는데, 황해도 해주에 정착하여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해주를 본관으로 삼고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또, 오현보는 고려 고종 때 거란을 토벌한 공...
-
최온을 시조로 하고 최치남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해주최씨(海州崔氏)는 여러 대에 걸쳐 목민관(牧民官)을 지낸 후 해주의 수양산(首陽山) 아래서 세거(世居)하였다 하여 최온(崔溫)을 시조로 받드는 씨족이다. 해주최씨 여수 입향조는 최치남(崔致南)이다. 최치남은 문헌공(文憲公) 최충(崔冲)의 후손이며, 자헌대부에 올랐던 인물로 숙종 때 화순에서 여수시 화양면으로...
-
조선시대 전라좌수영 내에 있던 공창. 1664년(현종 5)에 세워진 건물로 수용군에게서 수취한 액수와 사용처를 적어 놓았다. 해현창은 17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전라좌수영 남북의 동선 동측에 위치하고 있었다....
-
조선 중기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활동하다 귀국하여 조선을 서양에 소개한 네덜란드 선원. 헨드릭 하멜(Hendrick Hamel)[1630~1692]은 우리나라를 최초로 서방에 소개한 인물로 네덜란드 호르큼 사람이다. 17세기 전반에 네덜란드는 열대 농작물과 동남아산 향료, 차, 칠기, 비단, 도자기, 면직물을 거래하려고, 인도나 일본, 대만 등지에 거래처를 둔 동인도회사(VOC)...
-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 말기 돌산군수 조동훈의 영세불망비. 여수가 한창 복군(復郡) 운동에 열을 올리고 있을 때 초대 돌산군수로 임명된 조동훈이 종포에 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지방 유지들은 조동훈에게 돌산을 돌산군에 편입시켜 여수에서부터 돌산까지 다스려 달라고 청원하였다. 이에 조동훈은 조정에 여수 네 개 면(面)을 돌산군에 편입시켜 줄 것을 건의하는 한편, 주민들...
-
오후 늦을 무렵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하세동 경로당 옆을 유병길 할머니가 농기구를 유모차에 싣고 밀면서 걸어가고 있었다. ‘어디 가시냐’고 물었더니 대뜸 ‘오늘도 밭에 가서 일해야 한다.’며 대답하면서 걸음을 재촉하고 있었다. 요즈음은 행상 안하시냐고 했더니 행상 안한 지가 몇 년 되었다고 한다. “할머니 오랜만에 뵈었는데 경로당에 가서 행상했던 이야기 좀 들려주세요.” 했더니...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이루어지는 정치권력, 즉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일반적으로 근대국가 성립 이후 190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행정의 주된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질서 유지에 있었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
-
전라남도 여수시 지역에서 정치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국가의 영역을 행정상으로 나눈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관할에서 행정의 편의, 재원 배분 등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적정 규모의 행정 구역을 설정하게 된다. 여수시는 1998년 4월 1일 여수시·여천시·여천군이 주민 발의에 의하여 전국 최초로 도·농 통합을 이루어 명실 공히 전라남도 제1의 도시가 되었다. 여수 지...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에 창건된 신라시대 사찰. 향일암의 건립에 관한 자료는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다만 신라시대의 원효대사와 의상대사, 고려시대의 윤필거사 등이 이곳에서 수도했다는 전설이 있어 그 단초를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1949년 발간된 『여수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책육암(策六庵)의 옛 이름은 금오암(金鰲庵)이니, 금오산의 동쪽 기슭에 있다. 옛 이름...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향일암에 있는 대자대비를 상징하는 불상. 관음전 내부에 1991년에 조성한 향일암 관음전 관음보살입상이 있다. 향일암에는 두 곳에 관음전이 있는데, 향일암 관음전 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