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8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권태응의 동요집. 『감자꽃』은 1948년 글벗집에 의해 처녀 출간된 권태응 시인의 동요를 묶은 동요집이자 그 안에 수록된 시의 제목이기도 하다. 1968년 충주시 탄금대공원에 감자꽃노래비가 세워졌으며, 이 때 등사판으로 동요집 『감자꽃』이 간행되었다. 1995년에 창작과비평사에서 다시 동요집으로 재간행되었다. 동요집 『감자꽃』...
-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충주를 노래한 한시.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덕무[1741~1793]는 본관 전주(全州)이고 자는 무관(懋官), 호 형암(炯庵)·아정(雅亭)·청장관(靑莊館)이다. 정종 별자(別子) 무림군(茂林君)의 후손으로, 정조가 규장각(奎章閣)을 설치하여 검서관(檢書官)을 등용할 때 박제가·유득공·서이수 등과 함께 뽑혀 여러 서적의 편찬 교감에 참여했다. 「...
-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에서 해마다 열고 있는 학생백일장. 한글날을 기념한 글짓기 행사인 한글백일장에서 출발하여, 1971년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 결성과 함께 동년 10월 15일 제1회 우륵문화제가 개최됨에 따라 우륵문화제 행사의 일환으로 기존의 한글백일장을 강수백일장으로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관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운문부와 산문부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시...
-
조선 전기 충주목사와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한 맹사성이 강호의 한가한 생활을 읊은 연시조. 맹사성(孟思誠)[1360~1438]은 세종 때의 명상(名相)으로 자는 자명(自明), 호는 고불(古佛)이다. 양촌에 사는 권근(權近) 문하에서 수업했으며 효자였다. 충주목사를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는 평시조로 된 연시조(連時調)이다. 강호(자연)에 봄...
-
1981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동화작가이자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박상규의 동화집. 『고향을 지키는 아이들』은 충주사범학교를 나와 충주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박상규의 동화집이다. 1937년 충청북도 제원군에서 태어난 박상규는 『충청일보』와 『서울신문』에 동화가 당선되어 작가로 활동하며, 그동안 『고향을 지키는 아이들』을 비롯하여 『바람을 헤치고 크는 아이』, 『...
-
1936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 시인 이흡이 고향에 대한 향수를 표현한 시. 고향인 충주시 신니면 신청리 신의실에 대한 향수를 서정적 정조에 담아 표현한 시이다. 발표 당시는 제목이 「고향의 노래」였으나, 1939년 재수록 당시는 「신의실」로 개제하였다. 「고향의 노래」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신의실(信義室)은 고요한 마을/신의실(信義室)은 나의 젖엄마!//꿈엔들 잊으랴...
-
민족문학작가회의 충주지부에서 항일 시인 권태응을 기리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문학제. 탄금대의 일원에서 진행되는 권태응 문학잔치는 민족문학작가회의 충주지부에서 1996년 제1회 권태응 선생의 문학제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고인의 문학세계를 조명하고, 동심의 맑은 정서를 함양하기 위해 개최하였는데, 최근에 권태응 문학잔치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권태응...
-
1984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시인이자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안병찬의 두 번째 시집. 『그믐달 한 조각을』은 충주에서 자라고, 현재 충주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안병찬 시인의 두 번째 시집으로 총 85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작품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1부는 그믐달 한 조각을, 2부는 꽃지는 봄에, 3부는 삶과 죽음 사이, 4부는 유혹으로 나누어져...
-
1983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수필가 윤송연의 수필집. 『기러기 울어예는』은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수필가 윤송연이 교음사에서 간행한 수필집이다. 윤송연은 이외에도 『음치의 영가』를 펴냈다. 『기러기 울어예는』은 총 224쪽으로 구성되어 있고, 70편의 수필 작품이 실려 있다. 1부 ‘한국인의 맥’, 2부 ‘기러기 울어예는’, 3부 ‘사색의 뒤안길’,...
-
고려 후기 문신 이색이 충주목사 김존성과 판관 김조에게 부쳐 올린 한시. 칠언절구의 한시로 모두 3수이다. 첫 수는 원(轅)·문(門)·원(原), 둘째 수는 량(凉)·망(茫)·방(房), 셋째 수는 분(奔)·번(繁)·곤(坤)으로 압운한 연작시이다. 장편 연작시 중 일부로, 충주목사 김존성과 판관 김조의 공적을 찬미한 것은 둘째 수이다. 첫 수에서는 목은(牧隱) 자신의 문생이 충주에 있...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김기태는 1938년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다불리에서 김종륜(金鍾倫)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수산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55년 충주사범학교 병설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58년 충주사범학교 졸업하고 나서 주덕초등학교에 발령받은 이후, 목행초등학교 등 충청북도 북부 지역의 여러 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에서 활동한 문인이며 서예가인 김구가 지은 평시조. 김구(金絿)[1488~1534]의 자는 대유(大柔), 호는 자암(自庵)이다. 예산이 고향으로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일찍부터 성리학 연구에 전념해 학문 실력이 조광조(趙光祖)·김식(金湜)과 겨눌 만했다 한다. 글씨에도 뛰어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서울 인수방(仁壽坊)...
-
2000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공직 생활을 한 이철재의 회고록. 『나의 삶 나의 길』은 충주신문사 출판사업부에서 발행한 이철재의 회고록이다. 이철재는 1969년 10월 중원군 농촌지도소에 발령을 받은 후 6년여 동안 근무하였다. 그후 충주시청에서 10여 부서의 계장을 역임하고 행정사무관으로 승진하여 문화공보실장, 사회진흥과장, 문화관광담당관 사회과장, 농업정책...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난정서』 탁본집. 난정(蘭亭)은 동진(東晋)의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가 절강성(浙江省) 회계(會稽)의 산음(山陰)에 지은 정자이다. 353년(목제 9) 왕희지가 내사(內史)로 재직하고 있을 때 난정에서 뭇 인사들이 모여 연회를 열고 굽이굽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며 시를 지었다. 이때...
-
1972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 시인 박재륜이 충주에서의 삶을 노래한 창작시. 남한강 시인이라 불렸던 박재륜의 충주에서의 삶이 잘 드러나는 시이다. 1972년 시집 『전사통신(田舍通信)』에 수록된 창작시이며, 1993년 충주에 건립된 시비에도 새겨진 작품이다. "그 옛적 고려(高麗)와 남조선(南朝鮮)/뱃길이 발달하였다는 이 물줄기에/오늘은 다만 글자와 화상(畵像 뭉겨진 彫...
-
1972년 충청북도에서 활동하는 문인들이 지역 문학 발전을 위해 창립한 문학 동호회. 내륙문학동인회는 문학 창작, 문학 활동, 문학 교류, 문인 권익보호,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 등을 통해 한국문학 및 향토문학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1년 동인 활동을 통한 향토문학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내륙권(충청북도)의 문인들에 의해 발기되었다. 발기인은...
-
1974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시인 양채영의 처녀 시집. 양채영은 1965년 『문학춘추』와 『시문학』을 통해 데뷔하였다. 1985년 제3회 도천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2004년 제3회 시인들이 뽑는 시인상을 수상(『문학과 창작』, 문학아카데미)하기도 하였다. 양채영은 1977년 시문학사에서 시집 『선(善), 그눈』을, 1984년 문학예술사에서 시집 『...
-
1971년 시인 신경림이 충주시 노은면을 배경으로 하여 쓴 창작시. 「농무」는 신경림이1971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발표한 5편의 시 중 하나로, 1973년 월간문학사에서 같은 제목으로 시집 『농무』를 발간하였다. 작가의 출생지인 충주시 노은면이라는 작은 농촌 소재지의 장터를 배경으로 한 시이다. 충주의 작은 시골 장터 이미지와 유랑극 단원, 그리고...
-
1950년 소설가 이무영이 조선 후기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던 충주읍 미륵동을 배경으로 쓴 장편소설. 『농민』은 원래 5부작으로 계획되었으나 1부인 ‘농민’에 이어 2부 ‘농군(農軍)’, 3부 ‘노농(老農)’까지 집필되었다. 조선 후기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던 시기의 충주읍 미륵동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서술하고 있으며, 등장인물로 김승지·장쇠·박의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670년에 간행된 시집. 신라 말기 학자이자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857~?]을 기리고자 조선시대 문신이며 성리학자인 김수증(金壽增)[1624~1701]이 강원도 화천군에 ‘농수정(籠水亭)’을 짓자, 이를 기념하고 기리기 위하여 김수증의 동생인 김수항(金壽恒)[1629~1689]과 홍자회(洪子晦), 이중주...
-
1969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성장기를 보낸 시인 이상화의 첫번째 시집. 이상화(李相和)는 충청북도 음성에서 태어나 성장기를 충주에서 보내고, 줄곧 서울에서 생활하고 시작(詩作) 활동을 하다가 충주에 묻힌 시인이다. 1970년대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한 이상화 시인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기까지 『늪의 우화』, 『여름산』, 『석인상(石人像)』 등 3권의 시집을...
-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이 충주를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서거정[1420~1488]은 조선 전기의 학자로,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이다. 시화(詩話)의 백미(白眉)인 『동인시화(東人詩話)』와 『동문선(東文選)』 등을 남겨 한문학(漢文學)을 대성하게 하였다. 저서로는 『사가정집(四佳亭集)』, 『역대연표(歷代年表)』, 『태평한화(太平閑話)』, 『필원잡기(筆苑...
-
1978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정연덕이 달래강을 소재로 하여 지은 시. 「달래강」은 1978년 시문학사에서 발간한 정연덕의 시집 『달래강』에 실린 55편의 시 중 한편으로, 작가의 출생지인 충주를 흐르는 강인 달래강을 소재로 하였다. 시집 『달래강』에는 대표시인 「달래강」을 비롯해 「목로술집」·「머슴」·「물레방아」·「사발막걸리」·「깨금나무」·「문경새재」·「미륵리」...
-
조선 중기 충주 지역에서 유배 생활을 했던 노수신이 지은 시조. 단시조 형태의 평시조이다. 조선의 유학 이념을 바탕으로 한 시조로, 특히 『대학장구(大學章句)』의 명명덕(明明德)에서 지선(至善)에 이르는 길을 인생의 성의에 비유하였다. 명명덕 실은 수레 어드메 나가더이고(明明德 실은 수레 어드메나 더이고) 물격치 넘어들어 지지고개 지나더라(物格峙 넘어드러 知止고ㅣ 지...
-
1939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정호승의 창작 시집. 『모밀꽃』은 정호승의 유일한 간행 시집으로, 조선문학사에서 간행되었다 총 34편의 시가 실려 있으며, 본문 113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춘」, 「찔레꽃」, 「우울」, 「나는 탕아」, 「다시 한 번」, 「잡스러운 이 몸」, 「불안이 풀리든 날」, 「노래를 잊은 이 몸」, 「그 어떤 풍경」, 「뻐-ㄴ 이...
-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활동하는 문학인과 문학단체. 충주 문학의 역사는 길다. 신라의 외교 문서를 명문으로 썼다는 문장가 강수(强首)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충주에서 문학의 꽃을 피운 사람들을 모두 헤아릴 수는 없다. 여기서는 1910년 이후 충주 출신 또는 충주 인근의 출생으로 활동한 문인으로 한정하기로 한다. 1. 유재형(柳在衡) 호는 유촌(柳村)이다. 문학...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향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문향회는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문학인들이 문학 발전과 회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여성 문인의 권익을 옹호하며 타 지역 문학회와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만든 동인이다. 1991년 9월 각종 백일장에서 입선한 20명이 중심이 되어 창립하였으며, 각종 문화 행사와 문학 강연을 개최하였다....
-
1991년 충청북도 충주시에 거주하는 여성 문인들이 만든 문학 동호회. 문학의 발전과 회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여성문인의 권익을 응호하며, 다른 지역 문학회와 교류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또한 작품 발표회, 회지 발간, 문학 강연회, 문학 기행 등을 통해 회원 작품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1991년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에서 주관한 주부백일장 수상자 위주로 처음 문향회를 결...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박재륜은 1910년 현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10세 무렵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 집안에 내려오던 많은 서책을 가까이 하며 지냈으며, 어려서 돌아가신 아버지 대신 할아버지가 문학과 인격 수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남한강 지역의 수려한 풍광들 또한 시인이 되게 하는데 영향을 많이 미쳤다...
-
1999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이덕상의 창작 시집. 『밥통아 숙맥아』는 이덕상이 1999년 오늘의 문학사에서 펴낸 시집이다. 『문학세계』로 등단한 이덕상은 가요 「사모곡」의 작사가로 더 알려졌다. 1부 ‘어린 날을 붙들고’에는 「저녁노을」, 「그리운 장날」, 「고향 1」, 「고향 2」, 「고향 3」, 「고향 4」, 「밥통아」, 「숙맥아」, 「갈산마을 가는...
-
1996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교육자이자 향토사학자인 장기덕의 수상집. 저자가 교육자, 향토사학자로 활동하면서 그 동안 쓴 글을 모아 발간하였다. 판형은 국판이며 총 366쪽으로 모두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은 교단산고, 2편은 세월낙수, 3편은 민속고금, 4편은 향토방보, 5편은 기필자화상이다. 1편은 교육 일선에서 평생 동안 느끼고 생각했던 일들을 모았다. 2편은...
-
2006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작가이자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이영두의 희곡집. 작가 이영두는 충주에서 오랫동안 교사 생활을 했으며, 신춘문예 당선 이후 동극, 동화 소설로 등단하였고, 충북숲속아동문학회를 발기하기도 하였다. 『배추흰나비들의 분노』는 이영두가 충주에서 교사 재직 시설 써왔던 희곡 작품들을 정리하여 정년퇴임 기념문집으로 간행한 것이다. 1권 1책이...
-
1947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 소설가 홍구범이 일제강점기의 서민 생활을 주제로 하여 발표한 단편소설.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소설가 홍구범의 등단 작품으로, 잡지 『백민』에 발표되었다. 주인공 순녀네 가족은 광복이 되자 간도에서 건너와 궁핍한 생활을 해나간다. 부모를 도와 가게 일을 보던 순녀는 어느 날 한 신사가 오징어 다섯 마리를 사가는 바람에 횡재를 맞았다고 기뻐한다...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람과 시 동인에서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사람과 시 동인은 충주 지역의 시문학 발전에 기여하며 동인의 문학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충주 지역의 시문학 발전에 기여하며 동인들의 문학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1995년 7월 사람과 시 동인에서 펴냈다. 30절판(가로 205㎜, 세로 125㎜)이다. 약...
-
1995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이 순수 시 창작을 위하여 발족한 문학 동호회.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가 발족한 지 20년 이상 되었으나 시 동인이 별도로 결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순수한 시 창작을 위해 정창수·임연규·김생수 등 8명이 발기하여 ‘사람과 시 동인’을 결성하였다. 순수 시 창작을 통하여 시의 저변을 확대하고, 시를 통한 각 동인회와 상호교류...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기탁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문인 김보근, 김조근 등의 시를 묶은 시첩 김보근(金補根), 김조근(金祖根) 등 조선 후기 관리들이 여러 지역을 유람하면서 읊은 시를 모아 엮은 책이다. 김보근[1803~1869]은 조선 후기의 척신(戚臣)으로 자는 중필(仲弼), 호는 삼송이다. 안동김씨 일파로서 병조판서, 경기도 관찰사 등...
-
1513년(중종 8)에 간행된 이승소(李承召)의 시와 산문 등을 엮은 문집. 이승소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는 삼탄이며,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1438년(세종 20) 진사시에 합격하고 1447년(세종 29)에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면서 집현전 부수찬이 되었다. 이후 예문관응교, 예조참의를 거치며 예조판서에 지경연사가 되었다. 여러 차례 과거를 주관하여 인재 등용에 힘...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기탁되어 있는 조선 후기 안동김씨 일가에서 오고간 서찰을 모아 엮은 서간첩. 둔제(鈍濟) 김이유(金履裕)가 아들 김난순(金蘭淳)에게 보낸 편지와 김난순이 충주목사를 지낸 형 김지순(金芝淳)에게 보낸 편지글 40여 편을 모아 서첩으로 만든 책이다. 조선 후기 안동김씨 김이유 일가에서 부자간, 형제간 오간 서찰을 모아...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중기 안동김씨 3인 사이에 오간 시문을 모은 시첩. 조선 중기에 안동김씨 선원 김상용(金尙容), 청음 김상헌(金尙憲), 수북 김광현(金光炫) 사이에 오간 시문을 모은 것이다. 1634년(인조 12)에 부제학 김광현이 사친추숭(私親追崇)을 하려는 인조에게 옳다고 한 대사간 유백증을 탄핵하다가 함경도 삼수(三水)로 유배...
-
조선 전기 충주사록(忠州司錄)을 지낸 정도전이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개국에 대한 감회를 노래한 시조. 단시조 형태의 평시조로, 초장에서 변함없는 산천의 모습을, 중장에서 망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종장에서 새로운 왕조에 대한 애민 충정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선인교 내린 물이 자하동에 흐르니(仙人橋 나린 물이 紫霞洞에 흐르나니) 오백 년 왕업이 물소리뿐이로다(半千年 왕업이...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말기 문신 유중교의 문집초. 유중교가 관직을 사양하고 경기도 가평에 있는 옥계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하면서 지은 책이다. 1882년에 만들어진 문집초략으로 주된 내용은 유학과 관련된 것이다. 유중교(柳重敎)[1832~1893]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호는 성재로 김평묵(金平黙)과 함께 이항로(李恒老) 문...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이도의 시와 글씨를 묶어 만든 서첩. 김이도(金履度)[1750~1813]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자는 계근(季謹)이고, 아버지는 김탄행(金坦行)이다. 1800년 과거에 급제한 후 정언, 승지를 거쳐 예조판서·형조판서·공조판서를 역임하고 의정부좌참찬에 이르렀다. 김이도는 지조가 굳었으며 친하고 먼...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이도와 김지순 사이에 오간 편지글을 모은 서첩. 송원 김이도(金履度)가 조카인 김지순(金芝淳)에게 보낸 편지글 30여 편을 모아 엮은 책이다. 김이도[1750~1813]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자는 계근(季謹)이고, 아버지는 김탄행(金坦行)이다. 1800년 과거에 급제한 후 정언, 승지를 거쳐...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 전주유씨 전능부원군 종친회에서 보관하고 있는 조선 후기 영조가 경연에 참석한 세손과 신하들에게 내린 어제(御製)에 화답한 시를 묶은 서첩. 『어제갱진첩』은 당시 정7품직으로 있던 승정원 주서(注書)인 유익지(柳翼之)가 왕에게 하사받았다고 한다. 1770년경 영조가 세손인 정조, 신하 이조판서, 이조참판, 병조판서, 승정원 관리, 예문관...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 전주유씨 전능부원군 종친회에서 보관하고 있는 조선 후기 영조가 정사에 관하여 술회하면서 문답한 것을 필사한 서첩. 1770년 6월에 영조가 집경당(集慶堂)의 서연(書筵)에서 좌직승지에게 당시의 정사(政事)에 관하여 술회한 내용을 필사한 서첩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영조가 몇몇 신하들과 함께한 자리에서 문답한 내용을 처음 검토하고, 재차 교정을...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 전주유씨 전능부원군 종친회에서 보관하고 있는 조선 후기 영조가 신하들에게 어제(御製)를 내리고, 참석자들에게 화답하도록 한 시를 필사한 서첩. 1770년(영조 46) 6월 영조가 친임(親臨) 도목정사(都目政事)를 마치고 나서 동석하였던 신하들에게 어제를 내리고 화답(和答, 갱진)하도록 한 시를 필사한 것을 서첩으로 제작한 것이다. 도목정사는 인사관...
-
고려 전기 문신 정지상이 충주에 있던 영곡사의 절경을 읊은 한시. 정지상(鄭知常)[?~1135]은 서경 출생으로 호는 남호(南湖), 초명은 정지원(鄭之元)이다.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해 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사대적 성향이 강하던 개경 세력과 대립하였다. 정시상은 정치인으로서만이 아니라, 뛰어난 시인으로서 문학사에서 큰 비중을...
-
충청북도 충주시 봉방동 예성문화연구회에서 발행하고 있는 학술지. 1978년 9월 예성동호회(현 예성문화연구회)를 조직하여 충주 지역에 산재한 문화재를 보호하고 확인되지 않은 문화유적, 성곽, 절터, 고분 등을 찾아 답사한 발견기 또는 답사기 등을 모아 『예성문화』로 엮었다. 판형은 4×6배판(가로 188㎜, 세로 254㎜)이다. 제1호 50쪽으로 시작하여 제24호부터는...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임경업이 유비무환의 마음을 담아 지은 한시. 「용천검」은 서(書)·여(如)·부(夫)로 압운한 측기식 칠언절구이며, 「추련검」은 연(筵)·년(年)으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이다. 「용천검」은 임경업이 실전용 칼인 용천검을 얻고 지은 시로 하늘이 낸 대장부임을 천명하였고, 「추련검」에서는 대장부의 충성심을 읊었다. 「용천...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시인이자 교육자. 유재형은 1907년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서 태어났다. 1927년 청주공립학교를 졸업하고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의 서기 겸 기수로 임용됐다. 1931년 제천군 농회 기수를 지냈으며, 1934년부터 진천, 괴산, 충주 등지에서 근무하였다. 1946년 3월 충주중학교에서 교직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52년...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시인이자 교육자. 이상화는 1936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금석리에서 아버지 삼당(三堂) 이종연(李鍾淵)과 어머니 김금순(金琴順)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광산업을 하는 부친을 따라 충주에 정착하여 충주남산초등학교, 충주중학교, 충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스승이었던 시인 유촌(柳村) 유재형의 지도로 문학에 뜻을 두었...
-
조선 후기 학자 겸 문신인 정약용이 충주 하담에 있는 어머니와 이별하며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정약용이 충주 하담에 살고 있는 어머니와 이별하며 가흥역의 정경을 읊은 시이다. 사휴정하수연연(四休亭下水漣漣) : 사휴정 아래 물줄기 넘실넘실 흐르는데 객마비명상도선(客馬悲鳴上渡船) : 나그네의 말 슬피 울 제 나룻배에 올랐네 행도가흥강구망(行到嘉興江口望) : 가흥역 당도하여...
-
충청북도 충주 출신 소설가 염재만이 방황하는 청년들의 자아세계를 다룬 단편소설. 「반노」의 작가로 알려져 있는 소설가 염재만은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작가이다. 「자기 상실」은 발표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그의 단편소설이다. 대표작인 「반노」는 한국문학사상 최초로 성(性) 묘사 수위에 대한 검열 논란에 휘말려 한때 화젯거리가 되기도 하였다. 작가는 이에 진정...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무신 김조근의 글씨를 모은 서첩. 김조근[1793~1844]은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백술(伯述), 호는 자오이다. 할아버지는 김이소(金履素)이고 아버지는 김지순(金芝淳)이다. 음보(蔭補)로 판관·승지를 지냈으며, 영돈녕부사(領敦寧 府使)에 이어 어영대장·호위대장·주사대장 등 무...
-
1998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 임연규의 처녀 시집. 『제비는 산으로 깃들지 않는다』는 충주에서 오랫동안 생활한 임연규 시인의 시집으로 「제비는 산으로 깃들지 않는다」를 비롯하여 「설해목」·「수국」·「파도」·「편지」 등 70여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작품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1부는 ‘갈대는 언제지는가’, 2부는 ‘콤마(,)...
-
조선 중기 문신 윤결이 충주를 노래한 오언율시의 한시. 윤결[1517~1548]은 문신으로, 자는 장원(長源), 호는 취부(醉夫) 혹은 성부(醒夫)로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윤결의 「제충주루헌」은 오언율시로 되어 있다. 중원이라, 예로운 명승지(中原古名勝) 물색마다 박눌재의 제영일세(物色訥齋餘). 나그네 누대에 올라보니(有客登樓處) 상큼한 가을 막...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중원문학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가 창립되었으나 지역에 문예지가 없는 것을 아쉬워하여1980년 3월 1일 중원문학회에서 창간하였다. 신국판(가로 152㎜, 세로 225㎜)이다. 중원문학회 소속 38명 회원들의 시, 수필, 소설을 싣고 특집으로 충주 출신 문인의 유고 작품을 발굴하여 소개하...
-
1980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활동하는 문인들이 만든 문학 동호회. 중원문학회는 1980년 3월 1일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인들을 중심으로 결성한 순수 문학동인으로, 문학의 순수성과 문학 인구의 저변 확대를 꾀하며 다른 지역의 문학동인 단체와 교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대 회장에 안병찬, 2대 회장에 양채영, 3대 회장에 김재명, 4대 회장에 최종진이 활동하였다....
-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매년 9~10월경 우륵문화제 기간에 열리는 전국 성인 백일장.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에서는 2006년 제17회까지 실시한 주부백일장을 중단하고, 새롭게 남녀 모두가 참석하여 문학 인구의 저변을 꾀할 수 있는 성인 백일장을 개최하기로 정관을 개정하였다. 시·산문 부문으로 나누어 2007년 제1회 중원백일장을 개최하였다. 중원백일장은 우륵문화제...
-
조선 중기 문신 유항이 충주시 중앙탑면 누암리 청금정의 정경을 노래한 한시. 유항은 우륵이 가야금을 타며 쉬어간 네 개의 정자 중 하나인 중앙탑면 누암리 청금정을 소재로 한시를 지었는데, 여기서 사휴정(四休亭)은 청금정 외에 금가면의 옥강정, 금가면 하담리 하소와 엄정면 목계리에 있던 정자를 함께 지칭하는 것이다. 대(臺)·고(古)·오(午)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로 이...
-
조선 중기 문신 이만영이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에 있던 청룡사에 들른 뒤 감회를 적은 한시. 유(幽)·유(流)의 압운을 사용한 측기식 오언절구로 이루어져 있다. 행도청룡사(行到靑龍寺) : 걸어서 청룡사에 이르니 사한승역유(寺閑僧亦幽) : 절은 한가롭고 스님 역시 조요롭구나 여하종부보(如何鍾不報) : 어찌하여 종소리마저 들리지 않는가 혹공세간류(或恐世間流) : 아마도 속인 세상일까 두...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 권근이 판관 김대소를 전송하며 지은 한시.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양촌리에서 태어나 성장한 권근(權近)[1352~1409]은 여말선초에 걸친 대학자이며 문신이다. 초명(初名)은 진(晋), 자는 가원(可遠)·사숙(思淑), 호는 양촌(陽村)이다. 「충주」는 「송김대소판관조부충주(送金大素判官肇赴忠州)」라고도 불린다. 「충주」는...
-
조선 후기 문신 김수항이 충주 지역을 유람하던 중 지은 한시. 김수항(金壽恒)[1629~1689]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이다. 서인으로서 두 차례의 예송(禮訟) 때 남인과 대립했으며, 뒤에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리자 노론의 영수가 되었다. 저서에 『문곡집(文谷集)』과 「송강행장(松江行狀)」 등이 있다. 시문에 뛰어났고, 변려문(...
-
조선 전기 문신 김종직이 충주 지역에 있던 국원성의 경영루를 보고 지은 한시.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자(字)는 계온(季昷),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다. 성리학자로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며,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조(宗祖)로 추앙받고 있다. 저서로 『점필재집(佔畢齋集)』이 있다. 칠언율시로 구성되었다. 진한 천년의 국원성에(辰韓千載國原區) 다시 층루가 있어...
-
조선 전기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이승소가 충주 지역에 있던 국원성의 경영루에 오른 뒤 감회를 적은 한시. 구(區)·우(隅)·도(圖)·호(呼)·무(蕪)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율시이다. 1구와 2구는 충주의 아름다운 정경을, 3구와 4구는 내면에 면면히 흐르는 애상적 정서를, 5구와 6구는 두보의 시와 왕유의 「망천도」에 비겨 깨끗한 흥취를, 7구와 8구는 자연과 같이 즐기는 모습을 노래...
-
2004년 서예가 서동형이 충주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한시를 엮은 책. 충주에는 충주 출신의 위대한 유학자와 문인 및 예술가들이 충주에 관해 읊은 시가 많이 남아 있다. 또한 충주에서 생활했던 감사나 목사의 시와 남북 교통의 요충지였던 충주를 거쳐 간 많은 문인 명사들이 읊은 시들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작품은 개인 문집 등에 실려 있어 일반인들이 찾아보기란 쉽지...
-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에서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1971년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가 창립된 뒤 동인지가 없는 것을 안타까워하다가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에 소속된 문인들이 뜻을 모아 1983년 2월 10일 창간하였다. 크기는 신국판(가로 152㎜, 세로 225㎜)이다. 약 450쪽으로 펴내고 있다. 『충주문학』 창간호는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 회원들의 시, 소설...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2동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 충주문학관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볼 수 없었던 충주 문학과 관련한 귀한 작품과 서적 및 물품 등을 한 곳에 모아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전시하며, 관리 소홀로 사라져 가던 자료들을 보존하고, 충주 지역 문인들의 집필과 문학 활동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 지역 문학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건립되었다. 2...
-
조선 후기 학자 권상하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사망한 신립 장군을 회고하며 지은 한시. 운(雲)과 군(軍)으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이다. 황성고각가감문(荒城鼓角可堪聞) : 황폐한 성 북과 나팔 소리 즐겨 들을 만한데 고도공비일모운(古渡空飛日暮雲) : 옛 나루터 속절없이 저문 구름 날리네 인인강파유대원(咽咽江波猶帶怨) : 울어 예는 강여울 아직도 원기 띠었으니 부지하처조장군(不知何...
-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이 충주 탄금대에 올라 감회를 적은 한시. 황(荒)·량(凉)·장(場)·장(長)으로 압운한 측기식 오언율시이다. 1~4구는 우륵이 충주 탄금대에서 어스름 황혼에 홀로 선 심정을, 5구와 6구는 나그네가 임진왜란 때 전사한 8천 고혼을 조문하는 애국 충정을, 7구와 8구는 8천 고혼의 넋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노래하였다. 우륵탄금처(于勒彈...
-
조선 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박상이 충주 탄금대에 올라 감회를 읊은 한시. 탐(探)·남(藍)·암(庵)·삼(三)·참(慚)으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율시이다. 1구와 2구는 충주 탄금대에서 있었던 지난 일을 회고하고, 3구와 4구는 문장가 강수와 서예가 김생의 흔적 없음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4구와 5구는 무심한 자연의 운행을, 7구와 8구는 작자의 부끄러운 마음을 노래하였다...
-
조선 중기 문신 이소한이 충주 탄금대에 올라 감회를 읊은 한시. 대(臺)·회(回)·애(哀)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이다. 기구(起句)는 비오는 충주 탄금대 정경을, 승구(承句)는 술잔을 올려 호국 충혼을 조문하는 모습을, 전구(轉句)는 당시의 감회를 묻는 것으로, 결구(結句)는 물소리에 가슴을 에는 듯한 절절함을 노래하였다. 편운비우과금대(片雲飛雨過琴臺) : 조각구름 날리는 빗발은...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탄금문학회에서 발행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탄금문학』은 이영두 교사의 글짓기 지도를 받아 오던 탄금초등학교 자모회 회원들이 2003년 학교 이름을 딴 탄금문학회를 결성한 뒤 발간하였다. 2007년 현재 3집까지 발행하였다. 신국판(가로 152㎜, 세로 225㎜)이다. 약 158쪽으로 펴내고 있다. 『탄금문학』 제3집...
-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에 있는 시 낭송회 모임. 시를 사랑하고 시의 발전을 위하는 마음으로 충주시에서 활동하는 시인과 시민이 함께 모여 시 낭송을 하기 위해 2000년 설립하였다. 시낭송회와 시화전을 20여 차례 개최하였다. 충주시에서 활동하는 많은 시인들과 시민들이 시낭송회에 참여했으며, 타 지역의 저명 시인 및 시 낭송 단체들과도 활발한 시 낭송 교류를 하고 있다....
-
1978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강준희가 14편의 단편을 모아 발간한 소설집. 『하느님전상서』는 강준희가 그동안 각종 문예지 및 동인지에 발표한 단편을 모아 펴낸 작품집이다. 두 번째 단편의 제목을 책의 제목으로 하였는데,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과 재미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인 속물들의 가장 인간적인 면을 담고 있다. 단편 「하느님전상서」는 일개 촌부가 하느님께 소 한 마...
-
2006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 최종진의 창작 시집. 『하늘 가는 그 길이』는 충청북도 충주에서 자라고, 현재 충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최종진 시인의 세 번째 시집이다. 60여 편이 수록되어 있는 『하늘 가는 그 길이』는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제1부는 ‘달맞이꽃’, 제2부는 ‘당신에 대한 나의 사랑이’, 제3부는 ‘불꺼진 내 창에...
-
1974년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시인 김기태의 창작 시집. 김기태는 1938년 태어나 1977년 생을 마감하였다. 『한국일보』와 『사상계』에 입선한 기록이 있다. 시에 대한 열망으로 일생이 불행했지만 순수하게 살다간 시인으로 기억된다. 총 52쪽 분량에 시 26편과 산문이 실려 있다. 시집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하늘의 시’, 2부는 ‘땅의 시’라는 제목으...
-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문학 단체. 충주 지역 문학 발전과 더불어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와 작가의 권익 옹호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인협회 충주지부는 1971년 9월 8일 초대 지부장으로 박재륜을 선출하고, 부지부장 양채영, 사무국장 강준희 외 박종구·이인원·조봉래·김기태·여운채·이명동 등 회원 17여 명으로 발족하였다. 2007년 11월...
-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에 있는 문학 단체. 1987년 9월 17일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확대·개편되면서 참다운 민족문학과 사회 민주화, 문학인의 권익 보호, 국제 교류, 남북통일 등에 기여하기 위해 민족문학작가회의가 창립되었다. 현재 사단법인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산하 여러 위원회와 장르별 분과를 두고 있다. 1996년부터 전국적으로 지회 조직을 결성하였다. 근년 들어 회...
-
1939년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작가 지봉문이 일제강점기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발표한 단편소설. 「한탁」은 조선문학가동맹 문인이었던 소설가 지봉문이 1939년 『조선문학』지에 발표했던 단편소설이다. 지봉문의 이름이나 일생에 대해서는 확실한 기록이 없으나, 해방 전 이무영이 발행하던 『조선문학』을 이어받아 1939년까지 발행인으로 지냈다고 전한다. 소설 「한탁」의 배경은...
-
1977년에 간행된,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시인 조남두의 여섯 번째 시집. 1955년 제1시초인 「시시포스의 낭만」(초고 중 폐기)과 1963년 제2시초인 「바보 같은 소리」(교정 중 폐기), 1973년 제3시초인 「열병시대」(교정 중 폐기), 1976년 제4시초인 「두산가」, 제5시초인 「대춘부」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향가』는 자연이나 인간, 세상에 대한...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소설가. 홍구범은 용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 중동중학교를 중퇴하였다. 1946년 김동리, 조연현과 함께 청년문학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순수문학 계열의 소설 창작을 주로 했다. 1947년 『백민』 8호에 소설 「봄이 오면」으로 등단한 후, 1940년대 말 활발한 작품 활동을 벌여 화제작 제조기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1949년 모윤숙,...
-
1981년에 간행된, 충주 출신의 시인 박재륜의 다섯 번째 시집. 어머니를 여의고 70세를 넘어서면서 습작해 온 작품과 1958년 발표한 「궤짝 속의 왕자」, 1959년의 「메마른 언어」, 1972년의 「전사통신」, 1978년 「인생의 곁을 지나면서」를 묶어 간행하였다. 남한강변에서의 어린 시절과 서울에서 보낸 20~30대의 생활, 6·25전쟁 후 귀향하여 고향에서 보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