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월성동 유적3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233
한자 大邱 月城洞 遺蹟三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로 59[월성동 1150-1]
시대 선사/청동기,조선/조선
집필자 김병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4년 6월 25일~8월 13일 - 대구 월성동 유적3 세종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현 소재지 대구 월성동 유적3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150-1 일원지도보기
원소재지 대구 월성동 유적3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150-1 일원
성격 생활 유적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유적 및 조선시대 생활 유적.

[개설]

대구 월성동 유적3은 청동기시대 무덤 유적 및 조선시대 생활 유적으로서, 조암중학교 신축과 관련하여 2014년 6월 25일부터 8월 13일까지 세종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돌널무덤[石築形石棺墓] 6기, 수혈 1기와 조선시대 수혈 12기, 기둥구멍 4개가 확인되었고, 유물은 민무늬토기[無文土器], 돌화살촉[石鏃], 백자, 큰항아리[大壺]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위치]

대구 월성동 유적3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150-1번지 일대에 있다. 진천천 하류부 북안에 넓게 펼쳐져 있는 월배 선상지의 선단부에 해당된다. 월배 선상지에는 상인동 지석묘, 상인동 입석, 월성동 지석묘군, 진천동 지석묘군, 진천동 입석[사적 제411호], 월암동 입석군 등이 알려져 있고, 청동기시대 마을과 무덤을 비롯하여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적이 발굴 조사되었다. 북쪽으로 인접하여 월성동 777-2유적, 월성동 1412유적, 동쪽으로 인접하여 월성동 지석묘Ⅰ, 월성동 498유적 등이 있다.

[형태]

대구 월성동 유적3에서는 청동기시대 석축형돌널무덤 6기가 확인되었는데, 고인돌의 하부 구조일 가능성도 있지만, 주변에서 고인돌 상석이나 지석 등의 상부 구조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리를 이루는 돌널무덤으로 보인다. 돌널무덤은 길이 200㎝ 이상의 대형, 100㎝~200㎝의 중형, 100㎝ 이하의 소형으로 구분된다. 돌널의 축조 방식은 깬돌[割石]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석축형돌널[石築形石棺], 깬돌과 널돌[板石]을 혼합하여 축조한 혼축형돌널[混築形石棺], 널돌만을 이용한 상자모양돌널[箱形石棺]로 분류된다. 무덤 바닥에는 납작한 깬돌을 깔거나 널돌을 깔아 시상(屍床)으로 이용하였다. 유물은 1호 돌널무덤에서 돌화살촉(石鏃) 9점이 출토되었고, 4호에서 인골이 확인되었다. 수혈은 부정형을 띠는데, 내부에서 화덕자리(爐址)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주거지로 이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수혈에서는 새김덧띠무늬토기[刻目突帶文土器] 조각과 민무늬토기 바리[無文土器鉢] 등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 수혈은 12기가 조사되었는데, 대부분 타원형과 원형이다. 규모는 길이 49~176㎝, 너비 3㎝~148㎝ 내외로 소형이다. 내부 시설은 확인되지 않았고, Ⅰ구역 4호에서 큰 항아리가 아가리 부분만 노출된 채 땅속에 묻힌 상태로 확인되어 저장용 수혈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물은 옹기 조각과 백자종지와 백자 바리가 출토되었다.

[현황]

대구 월성동 유적3은 발굴 조사 완료 후 조암중학교가 신축되었다. 주변 선상지 선단부 일대 대부분도 아파트, 도로, 근린생활시설 등이 조성되면서 원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의의와 평가]

돌널무덤군은 월배 선상지 선단부에 있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소규모 군집을 이루는 무덤군으로 파악된다. 수혈에서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새김덧띠무늬토기가 확인되었는데, 이와 같은 유물은 월성동 566유적, 월성동 777-2유적, 대천동 511-2유적에서도 확인되었다. 유적의 분포가 월배 선상지 선단부를 중심으로 남서-북동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동기시대 가장 이른 시기의 주거군은 월배 선상지 선단부를 중심으로 분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