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321 |
---|---|
한자 | 禹載岳 |
영어공식명칭 | Woo Jaeak |
이칭/별칭 | 탁중(卓中),인촌(仁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병호 |
출생 시기/일시 | 1734년![]() |
---|---|
활동 시기/일시 | 1796년 - 우재악 정조 알현하고 질문에 답함 |
몰년 시기/일시 | 1814년![]() |
출생지 | 월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 |
거주|이주지 | 월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 |
묘소|단소 | 우재악 묘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 |
성격 | 학자 |
성별 | 남성 |
본관 | 단양(丹陽) |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우재악(禹載岳)[1734~1814]의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자는 탁중, 호는 인촌(仁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석규(禹錫珪)이고, 할아버지는 우홍수(禹洪受)이다. 아버지는 우명집(禹命集)이고, 어머니는 김일(金溢)의 딸 김해김씨이다. 부인은 성이문(成爾汶)의 딸 창녕성씨(昌寧成氏)이며,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우재악은 1734년(영조 10) 대구 월촌(月村)[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서 태어났다. 다섯 살 때부터 경서(經書)를 외우기 시작하였고, 중년에는 명성이 도내에 자자하였다. 1764년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을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봉안할 때 『소학(小學)』을 강의하였고, 1775년 노강서원(老江書院)에 배향할 때는 『중용(中庸)』과 『대학(大學)』을 강론하기도 하였다. 1784년(정조 8) 원공(原功) 우현보(禹玄寶)[1333~1400]를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에 제향할 때는 개성의 명승을 유람하고 「천마산기(天磨山記)」를 남겼다.
우재악은 1795년 정조가 오경(五經) 중에서 백선(百選)을 정하여 경상감영에 보내 교정케 하였을 때 초빙되어 교정한 공으로 『시전(詩傳)』, 『맹자(孟子)』, 『주서백선(朱書百選)』 등의 서책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1796년 정조와의 문답에서 『중용』과 『대학』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성경(誠敬)’의 근간임을 밝혀 칭찬을 받았다. 1814년(순조 14) 사망하였다.
우재악의 저술로는 『인촌선생문집(仁村先生文集)』 6권 3책이 전한다. 경와(敬窩) 이헌영(李𨯶永)이 문집의 발문을 써서 우재악의 학덕을 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