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8273 |
---|---|
한자 | 鄕土會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성범 |
일제 강점기 대구 지역에 있었던 미술 단체.
향토회(鄕土會)는 1930년 설립되어 서동진(徐東辰), 박명조(朴命祚), 최화수(崔華秀), 김성암(金星岩), 이인성(李仁星), 배명학(裴命鶴) 등이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향토회는 일본인 미술 단체인 경북미술협회와의 경쟁 의식으로 영과회 회원들이 설립한 단체이다.
향토회는 1930년에 결성하여 조양회관 교육부의 주최로 창립전을 가졌다. 향토회의 창집전에는 이인성의 「가을의 어느 날」, 김성암의 「흰 벽 있는 풍경」, 박명조의 「풍경」, 서동진의 「성탑부근」, 김용조의 「정물」, 최화수의 「황포정물」 등 총 16명이 48점을 출품하였다. 1931년 제2회 향토회전은 서동진, 배명학, 김성암, 최화수, 이인성, 박명조 등이 참여하였다. 1932년 제3회 향토회전이 열렸으며 제4회는 1933년 열렸다. 『동아일보』의 기사[1933. 11. 12.]에 의하면 ‘대구로서는 근년래에 처음 보는 미술의 호화판’이라는 평이 있었다.
향토회는 대구 화단의 기반을 굳혔다는 점, 대구 미술이 발전할 수 있는 전초지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그러나 향토회의 전신인 영과회의 진보적인 미술인을 제외하였다는 점에서 프롤레타리아 미술 등 다양한 미술 세계를 포괄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