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감영 선화당 회화나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926
한자 慶尙監營宣化堂-
영어공식명칭 Gyeongsang-gamyeong Seonhwa-dang Hoehwanamu|Gyeongsang-gamyeong Seonhwa-dang Pagoda Tree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시대 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집필자 한승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지역 출현 시기/일시 1720년 - 경상감영 선화당 회화나무 심었을 것으로 추정
지역 내 자생|재배지 선화당 -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경상감영공원지도보기
성격 낙엽활엽교목
학명 Sophora japonica L.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장미목〉콩과
원산지 중국
높이 9m
개화기 7~8월
결실기 9~10월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에 있는 수령 300년의 회화나무.

[개설]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포정동 21] 경상감영공원 내에 있는 경상감영 선화당 남쪽 마당에는 회화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수령 300년으로 추정되는 이 나무를 경상감영 선화당 회화나무라고 부른다.

[형태]

회화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주로 중국과 우리나라에 분포되어 있다. 공원이나 길가에 심어 기르는 콩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은행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왕버들나무와 더불어 우리나라 5대 거목이며, 우리나라 고삼속[Sophora] 식물 중에서는 유일한 큰키나무이다. 일반적으로 높이 15~25m, 지름 1~2m 정도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잔가지는 녹색이고 짧은 흰색 털이 빽빽하게 나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고 작은 잎은 7~15장이다.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황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서 나온 길이 15~30㎝의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9~10월에 익는 열매는 협과(莢果)이며, 염주처럼 잘록한 모양에 길이 5~8㎝ 정도의 갈색 씨앗이 1~4개 열린다.

경상감영 선화당 회화나무는 나무 높이 9m, 지름은 3.5m 정도이다.

[생태]

무더위가 한창일 때 황백색 꽃이 꽃대가 휘어질 정도로 나무 전체를 뒤덮는다. 열매는 채취하여 맨땅에 묻어 두었다가 이듬해에 파종하면 60%가 발아하는데 두 해 정도 키워 옮겨 심는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잘 자라지만 습기가 적어도 견디고 내한성, 내공해성, 병충해에 강한 편이라 기르기 쉽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선화당은 감영에서 관찰사가 업무를 보던 중요 건물인데, 경상감영뿐 아니라 전라감영 등 다른 지역 감영의 선화당 마당에도 회화나무가 심어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회화나무는 흔히 나뭇가지가 선비의 기상처럼 거침없이 자유롭게 뻗어 나간다 하여 선비의 나무, 학자의 나무라고도 불렸고 잡귀를 물리치는 나무라고도 하였기에, 조선시대 궁궐의 마당이나 출입구 부근에 많이 심었고 서원이나 향교 등 학생들이 공부하는 학당에도 회화나무를 심었다고 전해진다.

경상감영은 과거 경상도의 상주, 안동, 경주 등에 있었는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대구로 옮겨오게 되었다. 경상감영의 대구 이전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이는 체찰사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1561~1613]이다. 이덕형이 임금에게 보고하여 대구로 오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후 대구는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309년간 경상도 제일의 중심지로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

[현황]

경상감영 선화당 회화나무는 한때 밑둥이 썩어 위태로운 상태였으나, 치료·보존하여 2021년 현재는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