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0953
한자 鄭逑
영어음역 Jeong Gu
이칭/별칭 도가(道可),한강(寒岡)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종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성주군
성별
생년 1543년연표보기
몰년 1620년연표보기
본관 청주
대표관직 강원도관찰사

[정의]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며, 아버지는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부사맹(副司猛) 정사중(鄭思中)이다.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활동사항]

1555년(명종 10) 13세에 덕계(德溪) 오건(吳健)을 스승으로 모셨고, 겸하여 퇴계(退溪) 이황(李滉)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배웠다. 정구(鄭逑)는 어릴 때 오건의 소개서를 가지고 예안(禮安)으로 이황을 찾아갔는데, 이황오건에게 답한 편지에 “이 사람은 후대에 견줄 사람이 없을 것이다. 다만, 실속은 없이 겉만 화려하고 경솔한 하자가 있을까 우려될 뿐이다”라고 하였다. 정구가 늙어서 항상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노선생(이황)이 병증(病證)에 대해 따끔하게 경계하신 한 말씀을 종신토록 갈고 닦았으나 제대로 고쳐지지 않았구나”라고 하였다.

본래 서울에 살던 사족이었는데 부친 정사중이 경상북도 성주(星州)에 장가들면서 그대로 성주에 살았으며 정구도 성주 지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정구는 젊어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예(禮)에 전념하였다. 한번 과장에 나와 시험을 보고 물러난 뒤로는 다시는 과거에 응하지 않고 글방을 열고 학문을 강론하니 주위 시골 사람들이 추대하여 스승으로 삼았다.

정구는 1578년(선조 11)에 사포서사포(司圃署司圃)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하였다. 1580년(선조 13)에 창녕현감에 제수되니 이때 비로소 현감으로 부임하였다. 1584년(선조 17)에 동복현감이 되었으며, 1591년(선조 24년)에는 통천군수로 부임하였다.

통천군수로 재직하면서 임진왜란을 맞아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며, 1593년(선조 26) 선조의 형인 하릉군(河陵君)의 시신을 찾아 장사를 지낸 공으로 통정대부에 가자(加資)되고, 1594년(선조 27) 동부승지, 1595년(선조 28) 좌·우부승지,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 1596년(선조 29) 1월에는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으며, 12월에 형조참의, 1597년(선조 30) 우부승지, 성천부사, 1601년(선조 34) 영월군수, 1602년(선조 35)에 충주목사가 되어,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운곡서원(雲谷書院)을 창건하였다.

1603년(선조 36) 홍주목사, 1604년(선조 37) 공조참판, 1606년(선조 39) 광주목사, 1607년(선조 40) 안동부사로 있다가,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대사헌에 제수되었으나, 임해군 역모 사건의 관련자들을 용서하라는 소(疏)를 올린 후에 사직하고 귀향하였다.

정구는 몸단속을 매우 엄하게 하였으며 예학(禮學)에 힘써 명성이 날로 드러났다. 1613년(광해군 5)에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나 영창대군을 서인으로 폐하여 강화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을 때, 정구가 봉사(封事)를 올렸는데, 『춘추(春秋)』를 인용하기를, “왕자 영부가 죽자 공자가 쓰기를 ‘천왕이 그 아우 영부를 죽이다’라고 하였는데, 그의 죽음이 애당초 경왕(景王)이 한 것은 아니지만 다만, 금지하지 못해서였습니다. 이에 대해 좌씨(左氏)는 ‘죄가 왕에게 있다’라고 하였으며, 곡량자(穀梁子)는 심하다고 하였으며, 두예(杜預)는 ‘골육을 잔상(殘傷)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영창대군이 어리고 몽매하여 아는 것이 없으니, 비단 영부가 알지 못했던 것 정도일 뿐만이 아닙니다. 그런데 조정의 의논이 그치질 않아 반드시 처치하고자 하고 있으니, 또한 경왕이 금하지 못한 것보다 심합니다”라고 하였다.

봉사의 말이 수천 자나 되었는데, 말의 뜻이 명백하고 절실하여 정구 주위의 사람들은 이를 위태롭고 두렵게 여겼다. 그때 정구의 아들 정장(鄭樟)이 서울에 있었는데, 시의(時議)가 날로 험해지는 것을 보고 화를 당할까 두려워하여 마침내 그 상소를 숨기고 올리지 않았다.

그러자 정구가 또 상소하였는데 말이 더욱 절실하였으며, 전에 쓴 상소도 아울러 함께 올렸다. 정구는 본디 정인홍(鄭仁弘)과 동문수학한 처지로 사이가 좋았었는데, 이 일로 서로를 두려워하고 미워하여 정인홍을 피해 거처를 옮겼다. 그 후 세인들은 정구한강 선생이라고 하였다. 정구는 백매원(百梅園)을 돌보면서 행실을 편안하고 곧게 하여 후학들을 지도하며 여생을 보냈다.

[저술 및 작품]

저서가 매우 많았으나 화재로 대부분 소실되었고, 오직 『심경발휘(心經發揮)』,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 『심의제도(深衣制度)』 등이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어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을 찬하였는데, 늙어 병이 위독한 지경에 이르러서도 오히려 상고(詳考)와 교열을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금산리 산 57-17에 있으며,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회연서원에 정구의 신도비가 있다.

[상훈과 추모]

인조반정 뒤에는 관리를 보내 제사를 지내어 주고, 이조판서에 추증하였다. 1625년(인조 3) 문목(文穆)이라 시호하고, 영의정에 추증하였다. 음성의 운곡서원, 목천의 도동서원, 동복의 도원서원, 성주의 천곡서원, 창원의 회원서원, 대구의 연경서원, 칠곡의 사양서원, 함안의 도림서원, 현풍의 도동서원, 창령의 관산서원, 언양의 반구서원, 성천의 학령서원 등에서 정구를 배향하고 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12.24 [묘소] 수정 <변경 전> 묘소는 경상남도 사천에 있으며, <변경 후> 묘소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금산리 산 57-17에 있으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