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1607
한자 泰喬祠春秋享祭
영어의미역 Ritual Ceremony of Taegyosa Shrin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박경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교 제례
의례시기/일시 매년 봄[음력 3월 9일]|가을[음력 9월 15일]
의례장소 태교사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 있는 태교사에서 제향하는 유교 의례.

[연원 및 변천]

태교사는 1744년(영조 20)에 주응동이 안성에 거주하는 김문웅으로부터 주자의 영정을 기증받아 주씨 문중에서 문곡영당이라는 사당을 세운 것이 시초였다.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복구되면서 사당의 명칭을 태교사라 고치고 매년 춘추향제를 지내왔다.

[절차]

제관은 음성군수·부군수·운곡서원과 관련된 음성 유림 중에서 유덕한 인물로 한다. 제관으로는 초헌관·아헌관·종헌관·분헌관·알자·찬인·직일·집례·축관·봉향·봉로·사준·봉작·전작 등을 둔다. 제향은 홀기(笏記)에 의해 진행되는데 다음과 같다.

1. 행사(行事)

(제를 올릴 준비)

○집례는 집사를 인도하여 제사상 차림이 의식에 맞는지 살피시오. ○전사는 입실하여 음식이 제대로 갖추어졌는지 살피시오. ○집례, 알자는 헌관 이하 제 유생을 인도하여 문밖으로 나와 자리에 서시오. ○헌관은 앞줄에서 북을 향해 서쪽을 상위로 삼고 세우시오. ○제집사는 둘째 줄에 세우고 제생은 그 뒤에 세우시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문안으로 들어가 동계로 올라가 제수차림을 둘러 보시오. ○집례 알자 찬자 먼저 들어가시오. ○알자는 대축과 제집사를 인도하여 자리에 나가 북을 향해 서쪽을 상위로 삼고 절을 하시오. ○찬자는 배흥(拜·興)을 두 번 호창하시오. ○알자는 축관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손을 씻는 곳으로 나가 서시오. ○알자는 대축을 인도하여 손을 씻는 곳으로 나가 씻으시오. ○알자는 봉향·봉로를 인도하여 손을 씻는 곳으로 나가 씻으시오. ○다음으로 봉작·전작을 인도하여 손을 씻는 곳으로 나가 씻으시오. ○다음으로 사준을 인도하여 손을 씻는 곳으로 나가 씻으시오. ○알자는 대축을 인도하여 서쪽 계단으로 오르게 하시오. ○알자는 사준을 인도하여 서쪽 계단으로 오르게 하시고 남북방향으로 서게 하시오. ○알자는 봉작과 전작을 준소로 인도하시오. ○대축과 봉향은 주선생 신위 전 앞에 나가시오. ○상감과 독을 열고 이어 변과 두와 보와 궤를 여시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자리에 서시오. ○헌관과 제생은 모두 북쪽을 향하여 두 번 절하시오. ○알자는 초헌관 좌측에 나가 엎드려 행사를 청하시오.

2. 행전폐례(行奠幣禮)

(제를 올리는 시작의 예)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관세 위 남쪽에 서시오. ○주자선생 신위 전에 나가 북을 향해 꿇어앉으시오. ○봉향은 헌관 우측에 나가 향합을 만들고, 봉로는 헌관 좌측에 나가 향로를 받들고 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오. ○대축은 헌관에게 폐비을 드리시오. ○헌관은 폐백을 대축에게 주시오. ○대축은 폐백을 받아 신위 전에 드리시오.

3. 행초헌례(行初獻禮 )

(첫번째 잔을 올리는 예)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준소에 나가 서쪽을 향해 서시오. ○사준이 멱을 들고 잔에 술을 따르시오. ○봉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주선생 신위 전에 나가시오. ○봉작이 잔을 헌관에서 주시고, 헌관은 잔을 잡았다가 전작에게 주시오.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전 서쪽 제일 첫 자리에 드리시오. ○대축은 신위 우측으로 나가시오. ○대축은 축판을 들고 동을 향해 꿇어앉아 축을 읽으시오. ○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 물러나오시오.

4. 행아헌례(行亞獻禮)

(두번째 잔을 올리는 예)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가 서시고 세수하시오. ○아헌관은 준소 앞에 나가 서향해 서시오. ○사준은 멱을 들고 잔에 술을 부으시고, 봉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주선생 신위 전에 나가시오.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봉작은 잔을 아헌관에게 주시오. ○헌관은 잔을 잡았다가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전 둘째 번 자리에 드리시오. ○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 내려오시오.

5. 행종헌례(行終獻禮)

(세번째 잔을 올리는 예)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가 서시고 세수하시오.○종헌관은 준소 앞에 나가 서향해 서시오. ○사준은 멱을 들고 잔에 술을 부으시고, 봉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주자선생 신위 전에 나가시오.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봉작은 잔을 종헌관에게 주시오. ○헌관은 잔을 잡았다가 다시 전작에게 주시오.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전 둘째 번 자리에 드리시오. ○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 내려오시오.

6. 행분헌례(行分獻禮)

(잔을 나누어 올리는 예)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 남쪽에 서시오. ○초헌관은 주자선생 신위 전에 나가 북을 향해 꿇어앉으시오. ○봉향 향합을 만들고,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오. ○축관은 헌관 좌측으로 돌아가 꿇어앉으시고, 헌관은 폐백을 대축에게 주시오. ○축관은 폐백을 받아 신위전에 드리시고. 제자리에 돌아가시오. ○헌관은 일어나 준소에 나가 서쪽을 향해 서시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주자선생 신위 전에 나가시오. ○잔에 술을 따르고 전작은 잔으로 술을 받으시오.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전 둘 째 번 자리에 드리시오. ○봉작, 전작 다 내려오시오. ○헌관은 부복했다 일어나 내려오시오. ○모든 헌관은 다 재배하시오.

7. 행음복례(行飮福禮)

(음복을 하는 예)

○대축은 준소로 가서 잔으로 복주를 떠서 탁상 위에 올려놓으시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위에 나가 서쪽을 향해 꿇어앉으시오. ○대축은 잔을 들어 헌관에게 잔을 주시고, 헌관은 잔을 받아 마시오. ○대축은 빈잔을 받아 상에 놓고 조육 안주를 헌관에게 주시오. ○대축은 받아들고 동쪽 계단으로 내려와 종자에게 주시오. ○대축은 내려오고,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내려오시오. ○헌관은 재배하시오. ○대축은 들어가 변두를 조금씩 옮기시오. ○헌관 및 모든 제생들은 절을 하시오. ○ 대축과 봉향은 들어가 상감 문을 닫으시고, 이어 독을 닫으시고, 나오시오.

8. 행망료례(行望療禮 )

(축문과 폐비를 분축하는 예입니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료 위에 나가 남북향하여 서시오. ○축관은 주선생 앞에 폐비와 축판을 가지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와 폐비축문과 폐백을 태우시오. ○원 위치로 돌아오시오. ○알자는 초헌관 좌측에 나아가 제례의 마침을 알리시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나가시오. ○ 대축과 모든 집사들이 함께 양쪽 계단 배위에서 절을 하고 나가시오. ○집예 알자 찬자는 배위에 나가 함께 재배하고 나가시오. ○제사 책임자는 여러 집사를 인솔하고 다시 들어가 제물을 걷고 문을 닫고 나오시오.

[현황]

태교사에서는 음성 유림과 주씨 문중 주관으로 유림회원들과 음성군 관내 기관장들이 참여한 가운데 춘추향제를 지내는데, 봄에는 음력 3월 9일, 가을에는 음력 9월 15일에 지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