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뭄도 비껴가는 미숭산과 기우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1452
한자 -美崇山-祈雨川
영어의미역 Misungsan Mountain And Giucheo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
집필자 남경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기우제 행위담
주요 등장인물 마을 아낙네들
관련지명 미숭산|기우천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미숭산에서 발원한 비 오기를 비는 시내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에서 미숭산기우천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가뭄도 비껴가는 미숭산과 기우천」고령군 쌍림면과 합천군 야로면의 경계에 위치한 미숭산으로부터 발원한 기우천(祈雨川)에서 키를 들고 비가 오기를 기원하는 행동을 했다는 기우제 행위담이다. 미숭산은 원래 상원산으로 불렸는데, 고려 말 안동장군 이미숭(李美崇)이성계(李成桂)[1335~1408]의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은 후에도 소환에 응하지 않고 이 산에서 순직하자 그때부터 이 산을 미숭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월막리는 마을 뒷산이 달과 같이 생겼다는 뜻에서, 혹은 달이 뜰 때면 뒷산의 모양이 막(幕)을 친 모양과 같다는 뜻에서 생겼다고 전한다. 월막리에는 미숭산에서 발원하여 마을 앞을 지나는 시냇물이 있는데 이름이 기우천이라고 한다.

[채록/수집상황]

2006년 김광순이 집필하고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편에 실려 있다. 이는 2000년 11월 17일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 주민 김순분[여, 82]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내용]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에는 미숭산에서 발원하여 마을 앞을 지나는 시냇물이 하나 있다. 동네 사람들은 이 시냇물을 ‘기우천’, 즉 ‘비 오기를 비는 시내’라고 부른다. 마을에 가뭄이 들어서 농사를 짓지 못할 정도가 되면 기우천 앞에 마을 아낙들이 아이 키만 한 ‘키’를 들고 모인다. 동네 아낙들이 모이기를 기다렸다가 다 모이면 아낙들은 키를 들고 기우천으로 들어간다. 기우천에 들어가서 다 말라가는 시내에서 키로 물을 떠내는 흉내를 하고, 또 그것을 머리 위에서 붓는 흉내를 낸다. 마을의 모든 아낙들이 그런 행위를 반나절 정도 하면 검은 비구름이 몰려 와서 비가 내린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모티프 분석]

「가뭄도 비껴가는 미숭산과 기우천」의 주요 모티프는 ‘미숭산에서 발원한 비 오기를 비는 시내’이다. 농경에 의존했던 전통 사회에서 기우제는 나라 전반의 중요한 사안이었으며, 그 형태도 다양하였다. 국왕이 사묘에 비는 방식, 산천에 제사를 지내는 방식, 죄수를 방면하고 백성을 구휼하는 방식, 여러 가지 금기를 행하는 방식, 동물을 희생으로 바치는 방식, 장시를 옮기는 방식, 무당이 굿을 하는 방식, 용을 그려 비를 기원하는 방식, 줄다리기를 하는 방식, 물병을 거꾸로 거는 방식, 부녀자들로 하여금 산천에 방뇨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고령 지역에서는 유교적 제의 절차에 따른 헌공축원형과 영험 있는 산 정상에서 불을 피우는 산상봉화형, 그리고 부녀자들이 냇가에서 물을 퍼내는 시늉을 하는 것이 기우제의 주된 방식이었다. 월막리 기우제는 고령 지역 기우제의 일반적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기우천에 들어가서 다 말라가는 시내에서 키로 물을 퍼내는 시늉과 그것을 머리 위에서 붓는 흉내는 고령 지역 주민들이 만들어 낸 일종의 ‘행위 예술 창조’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