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서석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934
한자 遊瑞石錄
이칭/별칭 고제봉유서석록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33년 - 고경명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92년 - 고경명 사망
배경 지역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기행문
작가 고경명

[정의]

조선 전기 문인이자 의병장인 고경명이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을 유람하고 지은 글.

[개설]

「유서석록(遊瑞石錄)」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1533~1592]이 1574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 동안 무등산을 등반하고 일기 형식으로 쓴 글이다. 고경명은 광주목사 갈천(葛川) 임훈(林薰)[1500~1584]과 일정을 함께하였는데, 임훈의 나이를 고려하여 증심사 승려 조선(祖禪)의 조언을 얻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한문으로 되어 있으며, 고경명의 문집 『제봉집(霽峰集)』에 실려 있다.

[구성]

「유서석록」은 목판본이며, 총 4,800여 자로 구성된 순한문 일기 형식의 글이다.

[내용]

「유서석록」은 1574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에 걸쳐 둘러본 산중의 경승(景勝)과 산사(山寺), 유적 등을 기록한 글이다. 그 여정은 증심사(證心寺) 취백루(翠栢樓) → 증각사(證覺寺) → 사인암(舍人巖) → 중령(中嶺) → 냉천정(冷泉亭) → 도솔사(兜率寺) → 입석암(立石菴) → 불사의사(不思議寺) → 염불암(念佛庵) → 덕산(德山)너덜 → 지공(指空)너덜 → 상원등사(上元燈寺) → 천왕봉(天王峰)비로봉(毘盧峰)반야봉(般若峯)서석대(瑞石臺) → 삼일암(三日菴) → 월대(月臺) → 금탑사(金塔寺) → 은적사(隱迹寺) → 석문사(石門寺) → 금석사(錦石寺) → 대자사(大慈寺) → 소은굴(小隱窟) → 광석대(廣石臺) → 삼존석(三尊石) → 문수암(文殊菴) → 자월암(慈月菴) → 풍혈대(風穴臺) → 장추대(藏秋臺) → 송하대(送下臺) → 방석보(方石洑) → 소쇄원(瀟灑園)식영정(息影亭)서하당(栖霞堂) 등으로 이어진다.

[특징]

「유서석록」의 제목은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1472년에 지은 「유두류록(遊頭流錄)」과 유사하다. 「유두류록」은 지리산을 오르고 쓴 최초의 본격 유산기로, 유람에 관한 세세한 기록이 특징이다. 이에 「유서석록」이 「유두류록」의 제목과 내용 기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의의와 평가]

고경명「유서석록」은 조선 전기 무등산의 모습부터 불교문화 등의 인문지리학적인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어 가치가 높다. 또한, 문장이 유려하여 문학 자료로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유람의 기간이 길고 다양한 곳을 다루어 무등산 관련 유산기 20여 편 중 대표작으로 꼽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