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록」[나도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940
한자 瑞石錄-羅燾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26년 - 나도규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85년 - 나도규 사망
배경 지역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기행문
작가 나도규

[정의]

조선 후기 학자 나도규가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을 유람하고 지은 글.

[개설]

「서석록(瑞石錄)」을 지은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1826~1885]의 본관은 나주이며, 전라도 광산군[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촌면]에서 출생하였다. 기정진(奇正鎭)[1798~1879]의 제자로, 문집 『덕암만록(德巖漫錄)』 상·하 8권을 남겼는데, 「서석록」은 제7권에 수록되어 있다. 나도규는 43세가 되던 8월에 2박 3일간 고제극(高濟克)·고일주(高馹柱)·고긍재(高兢載)·정해기(鄭海琦)·고만주(高萬柱) 등과 함께 무등산을 등반하였다. 나도규는 평소 여행과 유람을 즐겼는데, 대표적으로 35세가 되던 해 2~3월에 유람한 서울 여행과 43세와 45세 때 두 차례의 무등산 유람을 들 수 있다. 서울 여행담은 『덕암만록』 제6권의 「서행일기(西行日記)」에 실려 있고, 두 차례의 무등산 유람에 대한 기록은 제7권의 「서석록(瑞石錄)」「서석속록(瑞石續錄)」 등에 실려 있다.

[구성]

「서석록」은 크게 유산의 시기, 동행자, 무등산의 형상을 설명한 내용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정은 증심사, 학수치, 사인봉, 백토현, 장불치, 입석대, 서석대, 상봉, 오공너덜, 석문, 광석대, 천제단, 백토현의 순서로 기록하였다.

[내용]

나도규「서석록」무등산을 오르게 된 동기를 확실히 언급하지 않아 알 수 없으나, 유산 시기와 동행자의 이름을 설명하고 있다. 증심사에 도착한 나도규는 학수치, 사인봉, 백토현, 장불치를 거쳐 입석대에 도착한다. 나도규입석대의 장관을 표현하면서 "선관(仙官)의 옥홀(玉笏)"과 "석불(釋佛)의 지팡이"인 듯하다고 하였다. 서석대에 가서는 "여산(廬山)[중국 장시성과 구강현 남쪽에 있는 산]의 안탕(鴈蕩)[저장성 낙청과 평양의 두 현 경내에 있는 산]의 일이 기억났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특징]

나도규「서석록」에서 증심사부터 백토현에 이르는 등반을 기록하며 무등산의 뛰어난 경치를 묘사하는 동시에 자신의 의견과 생각 등을 적고 있어 인상적이다. 나도규는 불교, 천제단에서 무작정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 무등산 석벽에 이름을 새기는 것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함께 무등산을 영험한 산으로 생각하는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나도규는 19세기 중후반을 살았던 정통 유학자이다. 나도규가 살았던 시기는 봉건사회에서 근대기로 향하는 변모의 시기로, 유산기를 통해서 이러한 상황을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 후기의 유산기가 대부분 단편으로 지어진 것과 달리 「서석록」은 장편에 해당하여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