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416
한자 無等山國立公園
영어공식명칭 Mudeungsan National Park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현기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3년 3월 4일연표보기 - 무등산국립공원 개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5월 22일 - 무등산도립공원으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2월연표보기 - 무등산국립공원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4월연표보기 - 무등산국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최초 설립지 무등산국립공원 - 광주광역시 북구|동구|전라남도 화순군|담양군지도보기
성격 국립공원
면적 75.425㎢
전화 062-227-1187

[정의]

광주광역시의 북구동구, 전라남도의 담양군과 화순군에 걸쳐 있는 공원.

[건립 경위]

무등산국립공원무등산의 우수한 자연생태계와 자연·문화경관을 보전하고 국민의 보건, 휴양 및 정서 함양에 기여하기 위하여 2012년 12월 우리나라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13년 3월 4일 개장하였다.

[변천]

1972년 5월 22일 우리나라의 네 번째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도립공원 지정 당시 면적은 30.23㎢로 광주광역시가 27 ㎢, 전라남도 화순군이 2.4㎢, 담양군이 0.8㎢를 차지하였다. 1987년 9월 무등산공원관리사무소가 설치되었고, 1998년 9월 무등산 보존과 이용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001년 12월에는 기본 계획 변경을 고시하였다. 2010년 12월 광주광역시의 무등산 도립공원 승격지정 건의에 따라, 환경부는 2011년 10월부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에 착수하였고, 2012년 12월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을 최종 심의·확정하였다. 무등산도립공원은 면적이 협소[30.23㎢]하고 산 정상부로 구역 경계가 설정되어 있어 공원구역이 생태계 연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면적이 2.5배 규모로 확대되어 완충 공간을 확보하였다. 광주광역시는 2014년 12월 무등산이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하였고, 2018년 4월 제204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무등산권 지질공원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구성]

무등산국립공원의 총면적은 75.425㎢로 행정구역상 광주광역시가 총 면적의 63%, 전라남도가 37%를 차지하고 있다. 자원 유형별로 볼 때, 산악형 국립공원인 무등산국립공원은 산봉, 기암, 계곡, 폭포, 약수 등의 경관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으로는 보물, 사적, 중요민속문화재, 천연기념물, 시·도유형문화재, 시·도기념물, 문화재 자료 등이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 자원이 분포한다.

[현황]

무등산국립공원은 광주광역시 중심에서 동쪽으로 약 10km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경위도상으로는 동경 126°56′~127°03′, 북위 35°04′~35°11′에 걸쳐 있다. 2018년 지질학적 가치와 생태,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137번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무등산국립공원의 대표적인 지형 경관은 해발 1,187m의 무등산 정상인 천왕봉 일대에 자리하는 무등산 주상절리대[서석대, 입석대, 광석대]와 중턱에 분포하는 암괴류 너덜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의 대표 지형인 서석대, 입석대, 광석대와 규봉암 및 덕산너덜은 2016년 국립공원 100경에 추가 선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에는 멸종 위기종 19종, 천연기념물 11종, 한반도 고유종 51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8개의 탐방코스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