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774 |
---|---|
한자 | 朴明榑 |
영어공식명칭 | Bark Myeongbu |
이칭/별칭 | 여승,지족당,영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신은제 |
출생 시기/일시 | 1571년 11월 11일 - 박명부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89년 - 박명부, 초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90년 - 박명부,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94년 - 박명부, 접반사 종군관으로 경상북도 성주에서 명나라 군대 위무 |
활동 시기/일시 | 1599년 - 박명부, 호남체찰사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605년 - 박명부, 사헌부지평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637년 - 박명부, 농월정 건립 |
몰년 시기/일시 | 1639년 9월 25일 - 박명부 사망 |
출생지 | 경상도 안의현 광풍리 |
거주|이주지 | 경상도 안의현 광풍리 |
부임|활동지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월림리 |
묘소|단소 | 박명부 신도비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월림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밀양 |
대표 관직 | 사헌부지평|홍문관부수찬|죽산도호부사|제주목사|형조참의|예조참판 |
[정의]
조선 후기 경상남도 함양 출신의 문신.
[가계]
박명부(朴明榑)[1571~1639]의 자는 여승(汝昇), 호는 지족당(知足堂)·영치(嶺癡)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승숙(朴承淑), 조부할아버지는 함안훈도였으며 좌승지로 추증된 박덕형(朴德馨)이다. 아버지는 박영(朴濚)이며, 호조참찬으로 추증되었다. 어머니는 문화유씨 유희필(柳希畢)의 딸이며, 정부인으로 추증되었다.
[활동 사항]
1590년(선조 23) 20세에 과거에 급제한 뒤 권지교서관부정자(權知校書館副正字)에 보임되었고, 같은 해에 상주김씨와 혼인하였다. 1591년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를 찾아가 스승의 예를 올렸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양군 안의현에서 의병을 모은 뒤 진주부로 가서 초유사(招諭使)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1538~1593]을 만나 왜적을 물리칠 계책을 논의하였다. 이어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1552~1617] 장군의 진영에 들어가 의병 모집 등을 도왔다. 박명부는 이후 서울로 가서 성균관 박사가 되었으며, 1594년(선조 27) 접반사 종군관이 되어 성주에서 명나라 군사들을 위무하였다. 1597년에는 체찰사(體察使)[조선 시대 임금의 명을 받들어서 지방에 파견되어 제반 군무(軍務)를 총괄하던 임시 벼슬]로 전란으로 피폐된 호남 지방을 진휼하였다.
전란이 끝난 후인 1599년 호조좌랑에 임명되었다가 곧 해주판관으로 나갔다. 1605년(선조 38)에는 임진왜란 때의 공으로 선무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었으며 곧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다.
광해군이 즉위한 뒤에는 합천군수에 임명되었으나 정인홍(鄭仁弘)[1535~1623]의 당여(黨與)[같은 편에 속하는 사람들. 즉 도당]와 불화하여 곧 파직되었다. 인조가 즉위하자 박명부는 홍문관 부수찬에 임명되었고 이후 죽산도호부사·제주목사·형조참의·예조참판 등 내외의 관직을 두루 거쳤다.
1637년(인조 15) 67세 때 함양 안의면에 농월정을 지었다. 1639년 향년 69세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한강 정구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말년에 고향에 내려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월림리에 종담서당(鍾潭書堂)을 건립하고 후학을 가르쳤다.
박명부의 문집으로는 『지족당선생문집(知足堂先生文集)』이 전한다.
[묘소]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판흘동(板屹洞)에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현재 정확한 위치는 확인할 수 없다.
[상훈과 추모]
1651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화천사에 배향되었다.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월림리 종담서당 뜰에 박명부의 신도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