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0671 |
---|---|
한자 | 新松里遺物散布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1277|신송리 1007 |
시대 | 고대/삼국 시대,조선/조선 |
집필자 | 이현석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7년 - 신송리 유물 산포지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
---|---|
소재지 | 신송리 유물 산포지 A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1277 |
소재지 | 신송리 유물 산포지 B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
소재지 | 신송리 유물 산포지 C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1007 |
성격 | 유물 산포지 |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개설]
신송리 일대에 자리하고 있는 유물 산포지로서 3개소가 확인되었으며, 기와, 토기, 옹기편 등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었다. 오랜 기간에 걸친 생활 유적이 자리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신송리 유물 산포지 A는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1277 일원, 신송리 내유곡 마을로 들어오는 안다리들에 자리하고 있다.
신송리 유물 산포지 B는 내유곡 마을에서 수침 마을로 들어가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바로 운봉사 옆에 있는 밭이 해당 장소이다.
신송리 유물 산포지 C가 자리하고 있는 지역은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1007 일원으로 내유곡 마을에서 큰골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4년 진안군·진안 문화원이 발간한 『진안군 향토 문화 백과사전』에서 유물 산포지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2007년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한 지표 조사에서 유물 산포지의 범위가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
지표 조사 당시 신송리 유물 산포지 A에서는 기와편, 토기편, 옹기편 등이 수습되었다. 또한 신송리 유물 산포지 B에서는 많은 양의 백자편과 토기편이, 신송리 유물 산포지 C에서는 토기편과 기와편이 수습되었다.
[현황]
신송리 유물 산포지는 세 지역 모두 밭으로 경작되어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경작하다가 수습된 유물 등으로 인하여 유물 산포지임이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지표 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물들은 신송리의 역사성을 밝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앞으로 정밀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지역성을 확인하는 값진 자료들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