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882 |
---|---|
한자 | 濕地 |
영어의미역 | wet land |
이칭/별칭 | 습지초원(wet meadow),염습지(salt marsh),소택지(swamp),습원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승필 |
[정의]
얕은 물에 의해 잠겨 토양이 물로 포화되어 있는 습한 땅.
[개설]
습지를 나타내는 용어로는 습지초원(wet meadow), 염습지(salt marsh), 소택지(swamp), 저위이탄 습원(fen), 물이끼이탄 습원(bog), 고층습원(raised bog), 저층습원(low moor) 등이 있다.
습지는 육상 생태계와 수생 생태계 사이의 전이지대로서, 양 생태계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 공간이다. 습지의 정의나 범위는 습지가 갖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상으로 인해 다소 불분명하지만, 다음의 세 가지 속성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가져야 한다.
첫째, 물에서 생육 가능한 수생식물이 있는 지역. 둘째, 수분으로 포화된 토양, 즉 혐기 상태의 토양에서 생육할 수 있는 식물의 형태를 제한하는 상태의 토양이 있는 지역. 셋째, 일정 기간 얕은 물에 잠기거나 지하수 또는 지표수에 의해 물로 포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문학적 특성을 지닌 지역이다.
습지는 육상 생물계와 수생 생물계를 잇는 연결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식물종의 경우 습지는 습지식물과 육상식물이 다양하게 배치되어 양 식물간의 임계서식지를 제공해주고 있다. 따라서 습지는 육상과 수중생물계의 성격과 두 계의 상호작용에 의한 완충지대로서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어 종 다양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습지는 내륙성 습지와 해안성 습지로 분류할 수 있다. 내륙성 습지는 지형적인 원인에 의해 우기에 침수되어 형성되거나, 강 유역의 범람원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화산 폭발, 빙하, 조산운동의 결과로 형성되는 것들이 있다. 해안성 습지는 세계 대부분의 습지를 차지하는 것으로 강하구역, 삼각주 지역이나 해안 갯벌이 대표적이다.
습지의 주요 역할은 첫째, 먹이사슬을 통한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생산력의 보고이다. 셋째, 토양 속의 수분 조절과 토양 침식 방지, 홍수 조절 등 수문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넷째, 대기 중으로 탄소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해 주며, 국지적 기후 조절기능을 가진다. 다섯째, 수질 오염물질 제거 기능을 한다. 여섯째, 높은 경제적 가치와 경관적 가치가 있다.
전라남도 진도 본 섬과 일대 도서에는 내륙지역의 하천 유역이나 인공 저수지 같은 곳에 분포하는 내륙습지와 하천 하구역이나 해안의 조간대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습지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자연환경]
진도 본 섬과 그 일대에 발달한 하천은 대부분 유로가 짧고 하천 경사가 급한 경향을 보이지만, 하천이 바다로 유입되는 하구 부위에서는 해수와 접하면서 하천 경사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유속이 저하된다. 이러한 하구 부위에 퇴적작용이 활발해지면 습지식생이 정착되어 습지가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의 하구 일대에서 관찰된다. 또한 하천 하류부에서 하천변을 따라 발달하는 강변습지가 자주 관찰되며 배후성 습지가 간혹 관찰되기도 한다. 진도 일대의 해안에는 조간대 지형에 광대한 갯벌이 잘 발달하여 대규모의 해안습지들이 발달하여 있다(그림 1.). 진도 본 섬을 비롯한 부속 도서들은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진도 본 섬은 드나듦이 많고 깊은 만입지가 여러 곳에 발달해 있다. 쉬미방조제, 팽목방조제, 둔전방조제, 군내지구방조제 등에 의해 만입지의 입구가 현재는 막혀 있지만 이곳은 과거에 깊은 만입지가 형성되어 넓은 해안습지를 이루고 있던 곳이다(그림 1). 이러한 해안선의 드나듦이 많은 리아시스식 해안의 형성과정에는 해수면의 하강·상승운동 과정이 있었다. 지난 약 1만 년 전에 빙하기가 끝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지금보다 100여m 낮았던 해수면이 다시 상승하여 5,000~6,000년 전에 현재의 해수면에 도달하게 되었다. 빙하기 동안 해수면의 하강으로 침심곡을 이루었던 곳이 빙하기가 끝나면서 기후 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침수되었고 드나듦이 많은 해안선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만입지 지형의 입구가 샌드바(sand bar)와 같은 퇴적층에 의하여 막히어 석호지형이 발달하기도 하여 습지가 형성되었다(그림 2).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그림1]진도 군내호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그림2]관매도 습지
[현황]
전라남도 진도 본 섬과 상조도·하조도, 가사도 일대의 하구역과 해안지역의 넓은 조간대 지형에 발달한 습지들은 현재 대부분 간척되어 농경지로 바뀌었다. 현재 진도군에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표 1)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표1]습지보호지역 지정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