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390 |
---|---|
한자 | 順天松廣寺下舍堂 |
영어공식명칭 | Hasadang Dormitory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영어음역 | Hasadang Dormitory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Hasadang Dormitory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남호현 |
건립 시기/일시 | 1461년 - 순천 송광사 하사당 건립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63년 1월 21일 - 순천 송광사 하사당 보물 제263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순천 송광사 하사당 보물 재지정 |
현 소재지 | 순천 송광사 하사당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
원소재지 | 순천 송광사 하사당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
성격 | 불전 |
양식 | 주심포 양식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3칸 |
소유자 | 순천 송광사 |
관리자 | 순천 송광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
[위치]
송광사의 가람은 대체로 대상(臺上)과 대하(臺下)로 구분되는데 이는 대웅전 뒤의 높은 축대를 기준으로 하여 생긴 이름이다. 순천 송광사 하사당은 대상, 즉 높은 축대 위에 있는 건물로서, 바로 옆에 있는 상사당(上舍堂)[삼일암(三日庵)]과 함께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순천 송광사 하사당은 1999년 보수공사 시 종도리 밑의 장여에서 1461년에 하사당을 건립하였고, 1669년과 1899년에 중수했다는 묵서의 상량문이 발견되었다..
[형태]
순천 송광사 하사당은 정면 3칸, 측면 전후퇴가 있는 1칸이며, ‘一’자집 평면을 하고 있다. 정면에서 보면 우측 한 칸은 부엌이며, 다른 두 칸은 방을 드려 방 앞에 툇마루를 두고 있는 형태다. 남쪽 퇴를 들어서면 방으로 들어가게 한 짝의 띠살 문양의 창호를 방에 각각 달았다. 부엌으로 들어가는 출입구는 두 짝 판장문을 달아 밖으로 여닫게 하였다. 순천 송광사 하사당 구조는 1고주5량이다. 온돌방의 천장은 종이로 마감하였고 부엌은 연등천장으로 내부 가구가 드러나 있다. 대들보는 툇마루와 방 사이에 세운 고주에서 뒷면의 평주에 걸쳐 통보로 걸렸다.
지붕은 맞배지붕[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지붕의 두 면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형상]인데, 본래 부엌 지붕 위로 네모난 구멍을 내고 그 위에 조그만 맞배지붕을 만든 환기공을 달아낸 형태를 하고 있다. 이것은 환기용 소슬지붕으로 다른 건물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건축양식이다. 공포는 원주 위에 짜인 주심포이며, 출목을 하나 두어 출목첨차로 외목도리를 받치고 있다. 주두 밑에는 헛첨차가 익공식으로 돌출하고 그 위에 비슷한 두공이 올려져 있는데 짧은 헛보와 같은 형태로 그 위의 툇보를 받고 있다. 툇보는 주심(柱心)을 초공(草拱)과 같이 받고 보머리에서 외목도리를 받치고 있다. 특이한 것은 대공인데, 측벽에서 보이는 대공은 소위 타봉형[낙타 등 모습] 또는 산형(山形)의 대공을 사용하고, 내부의 대공은 복화반형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첨차는 쌍S자형 첨차로 주심의 첨차 역시 같은 형이다.
[현황]
순천 송광사 하사당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6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