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자료 ID GC018P5191
설명문 신라시대에 원효대사가 여기에 암자를 짓고 수도(修道)하였는데 매일 아침 저녁으로 바위구멍에서 쌀이 조금씩 나왔다 하여 이 곳을 천량암(天糧岩)이라 하고 마을 이름도 미고(米庫) 즉 쌀고라 하였는데 후에 발음이 변하여 살구 또는 내앞이라 부르고 있다.
소재지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행곡리
저작권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작 대경문화재연구원
제작일자 2008. 11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