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질이차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465
영어의미역 Folk Play of Kick the Can
이칭/별칭 깡통차기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집필자 여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연중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깡통을 발로 차며 노는 남녀 아이들의 놀이.

[개설]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놀이로서 깡통차기라고도 한다. 소리가 잘 나는 찌그러진 빈 깡통을 차며 즐길 수 있는 놀이이다.

[연원]

숨바꼭질과 같은 구조의 놀이이다. 대개 겨울철 빈 공터나 넓은 집 마당에 깡통을 갖다놓고 이를 진으로 삼는다. 숨어 있던 아이가 술래 몰래 깡통을 먼저 걷어차면 먼저 잡혔던 아이들도 다시 살아난다. 이때 술래는 깡통을 제자리에 가져다 놓고 다시 아이들을 찾는다.

[놀이도구 및 장소]

마을의 빈 공터에서 행하며, 특별한 놀이도구 없이 빈 깡통만 있으면 된다.

[놀이방법]

빈 깡통에 조그만 돌을 넣고 입구 부분을 발로 밟아 눌러 막아 둔다. 마당이나 공터에 지름 50㎝ 정도의 원을 그리고 원안에 깡통을 세운 후 가위 바위 보로 술래를 정한다. 술래가 정해지면 술래가 아닌 아이 중 한 명이 원 안에 세워 놓은 깡통을 멀리 차는데, 술래는 이 깡통을 주워 원 안에 세워야 한다. 다른 아이들은 이 틈을 타 모두 숨는다.

술래가 숨은 아이를 찾고 그 아이의 이름을 부르며 원 안에 달려와 깡통을 발로 찍으면, 그 아이는 놀이가 끝날 때까지 참여하지 못하고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술래가 숨은 다른 아이를 찾는 동안 숨어 있던 아이 가운데 한 아이가 원 안에 세워둔 깡통을 차게 되면 이전에 죽어서 대기하고 있던 아이는 다시 살아나게 된다. 이 과정을 거쳐 술래가 모든 아이를 찾게 되면 놀이는 끝나게 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깡통이 우리나라에 유입된 근대 이후에 형성된 놀이로서, 생활민속적으로 직접 관련된 내용을 찾기는 힘들다.

[현황]

강질이차기는 아이들이 유쾌하게 놀면서 지혜와 용감성을 발휘하는 재미있는 놀이이다. 그런데 농민 이탈 및 도시 집중화로 인한 농촌 인구의 감소에 따라 이제는 농촌에서도 밖에서 노는 아이들을 보기가 힘들다. 지금은 아이들조차도 주로 컴퓨터 게임 등을 하고 논다. 강질이차기는 단지 마을 어른들의 기억 속에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