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539 |
---|---|
한자 | 旌善- |
영어의미역 | Arirang of Jeongseon |
이칭/별칭 | 「정선아라리」,「아리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 |
집필자 | 김기호 |
성격 | 민요|유희요 |
---|---|
기능구분 | 유희요 |
형식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윤병모[매화면 매화2리]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정선아리랑」은 경상북도 울진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5백여 유형이나 보고될 만큼 지역별로 각양이며 주제 또한 다양한 민요이다.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에서 채록된 「정선아리랑」은 다소 미완의 형식으로 ‘연정’을 형상화한 노래이다.
1991년 매화면 매화2리에 사는 윤병모[남, 75]가 부른 것을 울진군의 문화재조사연구단이 채록하여 1991년에 출간한 『울진의 문화재』에 수록하였다.
「정선아리랑」은 원래 기본형과 엮음형으로 분류하는데, 매화면 매화2리에서 채록한 「정선아리랑」은 기본형에 속한다. 후렴이 붙은 형식이란 점에서 가창 방식은 선후창이나, 후렴이 선행하며 3연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곡이 완성되지 못한 형태로 남게 되었다.
아리랑-쓰리랑 아라-리-요 아리랑-고개로 나를 넘겨주게/만철반 산중에다 새리야 진 장고 골개골개 우에 만나도 내 낭군 오리/아리랑-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고개로 나를 넘겨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