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603 |
---|---|
한자 | 仙皇里桂陽- |
이칭/별칭 | 선황리 계양 옹관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계양 마을 |
시대 | 고대/고대 |
집필자 | 장대훈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5년 9월 - 선황리 계양 옹관 무덤, 국립 광주 박물관 및 목포 대학교 박물관 지표 조사 중 확인된 옹관 수습 조사 |
---|---|
소재지 | 선황리 계양 옹관 무덤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계양 마을 |
성격 | 고분 |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계양 마을에 있는 고대의 독무덤.
[위치]
선황리(仙皇里) 계양(桂陽) 독무덤은 영암군 미암면 선황리 계양 마을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국립 광주 박물관이 옹관 유구 2기, 목포 대학교 박물관이 1기의 옹관(甕棺)을 수습 조사하였다. 영암군 고분 분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지표 조사 중에 확인된 옹관을 수습 조사한 것이다.
[형태]
목포대학교 박물관에서 수습한 1기는 전체 길이 150㎝, 폭 80㎝의 합구식(合口式) 옹관이며 옹관의 배치는 북동-남서 방향이었다. 국립 광주 박물관에서 수습한 옹관은 영산강 유역의 ‘U’자 형 전용 옹관이 아니고, 아가리[구연부(口緣部)]가 밖으로 벌어진 모양의 큰 항아리[대형호(大形壺)]에 가까웠다. 합구식인 옹관의 조합 방법을 보면 1기는 아가리를 서로 맞붙인 것이며, 다른 1기는 큰 옹기의 아가리 속에 작은 옹기의 아가리를 약간 집어넣은 것이었다. 2013년 현재는 봉분이 깎여 분구(墳丘)[봉분]의 식별이 어렵다.
[현황]
고분의 봉토 흔적은 확인할 수 없으며 옹관은 영산강 유역의 전용 옹관과는 다른 아가리가 항아리처럼 밖으로 벌어진 모양으로 전체 길이는 186㎝이다. 이 옹관은 대형 옹관에 앞선 시기로 추정되어 옹관 발달 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조사된 2기의 옹관은 서로 2.5m 거리를 두고 있었으며 동일 봉토 내의 유구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유적은 발굴 조사 후 완전히 유실되어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의의 및 평가]
영암 지역에는 영산강 주변으로 발달한 구릉들이 상당히 많이 있는데 고분들 또한 이러한 지형에 자리 잡고 있다. 선황리 계양 독무덤은 영암 지역의 옹관 고분들의 분포 범위와 출토 유물에 대한 유적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