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1348
한자 衣生活
영어의미역 Costum Lif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집필자 위은하

[정의]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몸에 걸치거나 입었던 의복이나 이와 관련된 생활 풍속.

[개설]

일정 지역의 의생활은 주로 지리·기후·지형과 같은 자연적 환경이나 경제·사회·문화와 같은 사회적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한 국가 경계 내에서도 이와 같은 환경의 차이에 따라 각 지역의 의생활은 조금씩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특히 일상복 보다는 의례복 관련 의생활에서 조금 더 두드러질 수 있다.

즉 관례복·혼례복·상례복·제례복·무복·농악복 등과 같은 특수 복식과 관련된 의생활이 지역별로 민속이나 금기 사항 등이 다름으로 인해 일상복 관련 의생활 보다 지역별 차이가 좀 더 두드러지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자연적 환경이나 사회적 환경의 지역차가 심하지 않아 예로부터 일상복이나 의례복 관련 의생활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크게 드러나지 않은 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업화로 인한 대중사회의 성립과 더불어 각종 의복의 대량 생산 체제가 확립된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서양식 의생활이 일반화되면서 지역에 따른 의생활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었다. 따라서 전라남도 여수 지방의 의생활도 우리나라 기본 복식을 따르고 있다.

[노동복]

1. 농업 노동복

예로부터 어업에 종사하는 전라남도 여수 지역 각 가정의 농사는 주로 여성들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으며 농사일을 할 때는 주로 생모시나 무명으로 된 저고리 또는 적삼에 바지나 고의를 입었던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흰색 옷의 착용을 제한하면서 소위 ‘몸뻬’ 바지를 권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일제강점기 후반에는 ‘몸뻬’ 바지에 현재와 비슷하게 스웨터, 블라우스, 가디건 등이나 남편들의 헌 옷이나 점퍼를 입고 일하기도 했다. 또한 혼례 때 혼수로 미리 준비하여 온 일상복을 입기도 했는데 대부분 일하기 편리하도록 색이 어두운 검정색이나 남색으로 된 통치마였다.

이와 같은 ‘몸뻬’ 바지에 스웨터, 블라우스, 가디건 등의 여성 노동복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나 치마는 거의 입지 않는다. 또한 과거의 버선 대신에는 양말을, 고무신 대신에는 운동화와 같은 편한 신발을 착용한다. 남성들이 모내기 등의 농사일을 할 때는 바지에 셔츠나 점퍼, 챙이 넓은 밀짚모자나 야구 모자에 장화를 주로 착용한다.

2. 어업 노동복

배를 타고 일을 할 때는 저고리에 바지를 주로 걷어 입고 짚신을 신었다. 그러나 1930년대 수산학교의 실습 사진에는 서양복 형태의 실습복 위에 장화를 신고 커다란 앞치마를 착용하였으며 모자를 쓰거나 하얀 띠 모양의 머리 수건을 앞에서 묶었던 모습이 많이 나타난다. 합성 섬유의 생산이 보편화된 이후로는 일반 바지와 나일론 점퍼에 장화를 주로 신었던 것으로 보인다.

1980년대 초의 어로 작업 사진에는 모자는 쓰고 있기도 하나 머리 수건은 보이지 않으며 가슴과 등을 덮는 점퍼 바지 형태의 장화 옷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 많이 등장한다. 반면 여성들의 경우 남성들이 잡아온 수산물을 가공하거나 시장에서 판매하는 일을 많이 담당하였는데 이때는 주로 ‘몸뻬’ 바지에 스웨터와 블라우스 등을 입었으며 이러한 복장은 현재에 이르러서도 크게 변화된 것이 없다.

[유아복]

유아복은 출생 직후부터 생후 1년까지 입는 배냇저고리, 백일 옷, 돌 옷 등으로 가정 형편이나 성별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1. 배냇저고리

목욕 후 처음 입히는 옷으로서 여수 지역에서는 배냇저고리를 ‘배냇저고리’, ‘이레안 옷’, ‘첫 옷’ 등으로 불렀으며 깃과 섶을 달지 않는 한복 저고리 형태로 재단하여 만들었다. 흰색의 고운 무명이나 융 등의 부드러운 감으로 만들고 또한 고름 대신 길게 실끈을 만들어 달아주며 무병장수를 기원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두렁치마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1950년대 이후로는 많이 사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모양은 비슷하나 길이가 길거나 짧기도 하며 실끈 대신 그냥 끈이 달린 기성의 배냇저고리를 착용한다.

2. 백일 옷

백일 옷은 아들·딸을 구분하지 않고 주로 흰색의 풍차바지에 저고리를 입혔다. 저고리는 깃과 섶이 달린 원형의 모양으로 만드는데 명주나 비단, 고운 무명, 다듬은 모시 등을 사용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누비옷·솜옷·겹옷으로 지어 주기도 하였다.

아기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기 시작하므로 저고리 겉깃 쪽 긴 고름을 가슴을 돌려 맬 수 있도록 길게 달아 주었으며 소매길이도 손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길게 만들어 입혔다. 그러나 현대에 가까워질수록 풍차바지위에 스웨터나 서양식 셔츠를 입기도 하였다.

4. 돌옷

돌옷의 기본 구성을 보면 남아 옷은 포(袍)류로 일습을 갖추고 여아 옷은 치마저고리로 일습을 갖추었으며 어른 옷의 기본 구조와 같았다. 이와 같은 돌옷 차림새는 1800년대 후반 또는 190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정착·일반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색동옷의 경우 어린 아이의 상징적인 표상이 되었으며 색동은 저고리 마고자 두루마기 등의 소매에 이용되었다. 색동이란 소매(동)를 여러 가지 색의 옷감으로 아름답게 배열한 것을 의미하며 색동 소매가 달린 옷을 색동을 수식어로 사용하여 색동두루마기, 색동마고자, 색동저고리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색동옷은 까치두루마기, 까치저고리 등으로 불려 지기도 한다.

[평상복]

여수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여름옷은 모시나 삼베를 이용하되 홑으로 하고, 겨울에는 명주나 무명을 겹이나 솜을 두고 누비거나 하였다. 가정형편이 넉넉한 집에서는 여름에는 등이나 대나무로 만든 등걸이 또는 손토시를 사용하여 더위를 이겨내거나, 겨울에는 솜이나 털로 만든 손토시를 끼고 머리, 귀, 얼굴에도 방한 요구를 사용하여 추위를 막아내기도 하였다.

이후 1900년대 전반에 이르러 전통복과 양복을 혼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젊은 남성들이 노인이나 아이들 또는 여성들보다 먼저 양복을 착용하였다. 1960년대 이후로 젊은이들의 복장은 서양복 일색이 되었으며 전통 한복은 명절이나 의례 시에만 착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여성 노인들의 경우 주로 한복을 착용하였으며 머리 모양도 긴 머리를 틀어 비녀를 꽂은 사람이 많았다.

그 이후로는 대부분 서양복을 착용하기 시작했으며 전통한복은 명절, 결혼, 칠순 등과 같은 특별한 날에만 착용하는 의례복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도 한복과 서양복을 혼용하는 노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의례복]

의례복은 크게 혼례복, 제례복, 상례복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지방이나 가문, 가정환경 등에 따라 명칭이나 종류에 다소간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1. 혼례복

일반적으로 남성은 머리에 사모를 쓰고 저고리 위에 단령포를 덧입었다. 색상은 보통 회색 바지에 옥색 저고리를, 단령포의 경우 검정색이나 남색을 주로 입었다. 또 허리에는 각띠를 하고 신발은 목화를 착용하였다.

여성은 속적삼 위에 분홍 저고리·노랑 저고리를 차례로 겹쳐 입고 아래는 속옷 바지·단속곳·청색치마·홍색치마를 입고난 후에 원삼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개화기 이후에는 여성의 혼례복 차림이 약소해지고 색상도 차이를 보였다.

현재는 대부분 예식장에서 혼례를 치루기 때문에 여성은 주로 서양식 드레스인 ‘웨딩드레스’에 ‘면사포’를 착용하며 남성은 바지에 턱시도 스타일의 예복인 ‘양복정장’을 착용한다. 그리고 본 예식 후 폐백을 드릴 때는 남·녀 모두 전통 혼례복을 착용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다.

2. 제례복

제례(祭禮) 때는 보통 바지와 저고리 위에 두루마기만 입었으나 기제(忌祭) 때는 두루마기 위에 다시 도포를 입고, 사대를 매고 유건을 쓴다. 여자는 제사를 지내지 않았지만 옥색 치마와 저고리를 정갈하게 입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남성은 첫 번째로 지내는 기제 때에만 제복을 착용하고 그 외의 제사에는 주로 양복 정장을 착용하며, 여성도 제사에 참여하며 정장을 입는다.

3. 상례복

상례(喪禮) 때에는 상주는 죄인이라 하여 가장 거친 삼베로 상복을 만들어 입었고, 사자(死者)는 혼례 때와 비슷한 최대의 치레로 명주로 수의를 마련해 입었다. 또한 일부는 ‘다른 세상으로 영원히 혼례를 한다’고 하여 혼례 때 입었던 옷을 간직했다가 수의로 입기도 했다. 현재에도 여수시 돌산읍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집에서 직접 만들어 입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상례 시에 장례식장 등에서 구입하며 전처럼 미리 준비해 두는 경우는 많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