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1664
한자 烽燧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이칭/별칭 봉화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김병호

[정의]

불과 연기를 이용한 전통 시대의 통신 수단.

[개설]

봉수제도는 봉(烽, 횃불)과 수(燧, 연기)로써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 수단이다. 서로 마주 볼 수 있는 일정한 간격의 산을 지정하여 밤에는 불빛으로, 낮에는 연기로 신호를 보낸다. 우리나라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설치된 봉수제도는 기록상 고려 후기인 12세기에 처음으로 보인다.

봉수는 역마(驛馬)나 인편(人便)보다 시간적으로 단축되었으며, 신속한 효율성을 발휘하여 지방의 급변하는 민정 상황이나 국경 지역의 적의 동태를 상급 기관인 병조에 연락하기에 용이한 수단이었다. 봉수는 이러한 본래의 임무 외에 적이 침입했을 때 현지에서 직접 전투를 담당한 군사적 고지(高地)이기도 했다. 적의 침입을 부근의 주민과 군사에게 즉시 알리는 역할도 하였다.

봉수는 횃불의 수로 신호를 보냈다. 각 지역과 상황에 따라 신호 규정이 달랐다. 그러나 구름이나 어지러운 바람때문에 불이나 연기로 신호가 불가능할 때는 봉수군이 차례로 달려서 보고하게 되어 있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봉수의 주요선인 직봉(直烽)은 함경도 경흥 서수라(西水羅), 경상도 동래 다대포(多大浦), 평안도 강계 만포진(滿浦鎭), 여수 돌산 방답(防踏) 등 5곳을 기점으로 하여 모두 서울의 남산[목멱산]을 종점으로 연결되었다. 중앙에 보고된 신호는 병조(兵曹)가 주관하여 승정원(承政院)에 통보하였다. 봉수는 직봉 외에도 직봉의 보조선인 간봉(間烽)이 조직되어 있었으며, 특히 국경 해안지대의 초소로부터 본진(本鎭)으로 보고하는 것도 있었다.

광주와 전라남도 지역에는 국경선이나 해안 최전선에 설치하여 기점이 된 연변 봉수로서 여천의 돌산도 봉수대 등이 있었으며, 해안의 경계 임무와 수비대의 역할을 하였다. 이 외에 내지 봉수는 경봉수와 연변 봉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여수시에 분포되어 있는 봉수 가운데 직봉에 해당하는 봉수는 돌산 방답진 봉수와 화양 백야곶 봉수가 있다. 간봉에 해당하는 봉수는 달암산 봉수·진례산 봉수·묘도 봉화산 봉수·종고산 북봉 연대, 만흥동 봉화산 봉수 등이 있다. 남면 금오도·안도·백야도·개도·손죽도 등에는 요망소인 해망(海望)이 있어 봉수로 방답진이나 좌수영에 상황을 보고하였다.

[직봉로]

직봉로는 여수시 돌산읍 금봉리 봉화산[381m]을 기점으로 여수시 화양면 백야곶 봉수대를 거쳐 남해안을 따라 서해로 이어져 전라북도 해안을 거쳐 충청도를 따라 서울로 전달되는 봉수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수시의 봉수는 지리적 특성상 연변 봉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모든 봉수대는 유사시에 중앙 봉수대와 연락하는 역할 외에도 군비를 갖추고 외적들과 싸워 지역을 지켜야 했다.

○ 직봉로의 코스

돌산도[순천]→백야곶[순천:화양면 봉화산]→팔전산[흥양:고흥]→마북산[흥양]→천등산[흥양]→장기산[흥양]→전일산[장흥]→천관산[장흥]→남원포[강진]→좌곡산[강진]→〈완도〉→갈두산〈달마산〉(영암)→관두산[해남]→점찰산[첨찰산]→여귀산[진도]

→ 황해[해남]

→유달산[무안]→군산[나주]→고림산[무안]→옹산[함평]→해제[함평]→차음산[영광]→고도도[영광]→흥농산[영광]→고리포[무장]→소응포[무장]→월고리[부안]-(중간생략)--→서울 목멱산[남산]

[간봉로]

간봉로는 전기와 후기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물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직봉과 간봉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전기와 후기에 봉수망이 꼭 같이 운영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면도 있다. 그러나 직봉과 간봉으로 구분되는 봉수는 전기와 후기 모두 비슷했을 것으로 보인다.

간봉으로 구분한 봉수 가운데 전기에 보이는 특별한 예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순천[현재 여수] 돌산도의 봉수는 전라남도 지역 봉수의 초발점으로 중앙에 연결되는 한편, 간봉을 통해 순천도호부에 연결되었다. 이는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를 통해 침략하는 왜구를 방비하기 위한 것으로, 좌수영 일대의 외적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간봉로의 코스: 순천 돌산도(직봉)→순천 진례산→광양 건대산→순천 성황당산→순천도호부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