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900660
한자 大坪里-遺蹟
영어의미역 Cup-Mark in Daepyeong-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 산 92|운수면 산 94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정동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암각화
양식 윷판형|별자리형
건립시기/연도 청동기시대
길이 650㎝[유적(1)]|420㎝[유적(2)]|340㎝[유적(3)]
너비 300㎝[유적(1)]|240㎝[유적(2)]|210㎝[유적(3)]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 산 92 지도보기 |운수면 산 94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바위구멍 유적.

[개설]

대평리 바위구멍 유적운수면 대평리의 자연 바위면 위에 새겨진 청동기시대의 별자리형과 윷판형 바위구멍 유적이다. 이곳에는 1개소의 별자리형 유적과 2개소의 윷판형 바위구멍 유적이 위치해 있다.

[위치]

운수면 봉평리에서 대가천 쪽으로 난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직진하다 보면 대평리 흑수마을이 나온다. 흑수마을은 대가천을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뱀처럼 길게 뻗어내린 뱀산[180m]의 능선이 끝나는 곳 남쪽 위치하고 있다. 마을 서쪽으로는 대가천이 흐르고, 동쪽으로는 대평리 안흑수마을에서 흘러내린 소하천이 마을 앞쪽에서 대가천과 합류한다.

[형태]

대평리 바위구멍 유적(1)은 흑수마을의 가장 북쪽 끝부분의 민가 바로 뒤 뱀산의 남쪽 산록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는 마을사람들의 통행을 위한 소로가 있고, 민가가 자리하고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철거된 상태이다. 바위구멍은 길이 650㎝, 너비 300㎝ 정도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비스듬한 바위면 위에 새겨져 있다. 바위면은 2단으로 이루어졌는데, 북서쪽이 높고, 남동쪽이 낮으며, 높이 차이는 대략 1m 정도 된다.

바위구멍은 바위면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70여 개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일부는 구멍 사이를 홈으로 연결시켜 놓았다. 그중 지름이 18㎝, 깊이가 3㎝ 정도 되는 대형 바위구멍도 있다. 바로 옆에는 5~6개의 구멍이 새겨진 두 개의 소형 바위가 위치해 있다.

대평리 바위구멍 유적(2)의 경우, 자연암반은 길이의 방향이 서남-동북 방향이며, 전체 규모는 길이 420㎝, 너비 240㎝ 정도이다. 바위는 북서쪽이 절벽부의 급경사면에 접하고 있다. 바위는 사질성이며, 표면은 현재 박락가 진행되고 있다. 약간 비스듬한 바위 윗면에 두 개의 윷판이 새겨져 있다. 바위의 북서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윷판은 지름 43㎝ 정도이며, 구멍 한 개의 지름은 3~5㎝, 깊이는 0.3~0.5㎝ 정도이다. 가운데의 ‘十(십)’자 모양은 북서-남동향을 하고 있다. 구멍은 모두 쪼아 파기 방식으로 새겨져 있으며, 5~7차례 쪼아 판 후 문질러 완성하였다.

바위면의 중앙부에 위치한 윷판은 지름 30㎝ 정도이며, 구멍 한 개의 지름은 1.5~3.5㎝, 깊이는 0.2~0.3㎝ 정도이다. 가운데의 ‘十(십)’자 모양은 역시 북서-남동향을 하고 있는데, 마모가 심한편이다. 이외에 바위면 위와 측면에는 지름 4~5㎝에 이르는 근래에 판 구멍이 다섯 개 정도 확인된다.

대평리 바위구멍 유적(3)은 대평리 바위구멍 유적(2)에서 다시 능선으로 난 산길을 따라 100m 정도 올라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자연암반은 길이의 방향이 북서-남동 방향이며, 전체의 규모는 길이 340㎝, 너비 210㎝ 정도이다. 바위는 서쪽이 절벽부의 급경사면에 접하고 있으며, 재질은 사암질이다. 비스듬한 바위 윗면에 부정형의 바위구멍이 새겨져 있다. 구멍 한 개의 크기는 2~3㎝ 내외이며 깊이는 0.1~0.2㎝ 정도로 매우 얕은 편이다. 구멍은 모두 쪼아 파기 방식으로 새겨져 있다. 대략적인 형태로 보아 미완성의 윷판으로 추측된다.

[의의와 평가]

대평리 바위구멍 유적은 중 1개소에는 별자리형 바위구멍이, 2개소에서는 윷판형 바위구멍 유적이 확인되었다. 윷판은 모두 세 개 정도이다. 산록의 능선 말단부에서 평지로 연결되는 지점의 것에 별자리형이, 산록의 5부 능선 위에 있는 것에 윷판형이 새겨져 있다. 특히 이 두 유적이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두 종류의 유적은 동일한 집단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