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901146 |
---|---|
한자 | 靈淵書院 |
영어음역 | Yeongyeonseowon |
영어의미역 | Yeongyeon Confucian Academy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 350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수환 |
성격 | 서원 |
---|---|
건립시기/일시 | 1711년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 350 |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에 있었던 조선 후기 서원.
[개설]
영연서원은 신덕린(申德隣), 박은(朴誾), 정사현(鄭師賢) 3현을 향사(享祠)하였다. 그 후 운수면 운산리에 있는 운천서원과 합쳐지면서 홍익한(洪翼漢), 김수옹(金守雍)의 위패를 옮겨 함께 추향하였다.
신덕린은 여말선초의 서화가로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불고(不孤), 호는 순은(醇隱)이다.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성용(成用)의 4세손으로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지냈으며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와 친분이 있었다. 조선 개국 당시 광주(光州)에 은거하면서 지냈으며 해서·초서·예서에 모두 능하였고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八分體)로 많은 글을 썼다고 한다.
박은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해동강서파(海東江西派)의 대표적 시인으로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중열(仲說), 호는 읍취헌(挹翠軒)이다. 1495년(연산군 1) 진사에 합격하였고, 이듬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그 해 사가독서자(賜暇讀書者) 선발에 뽑혔다. 그 후 승문원권지(承文院權知)를 받고 홍문관에 선택되어 정자가 되었으며, 수찬에 있으면서 경연관을 지냈다.
1498년(연산군 4) 유자광(柳子光)과 성준(成俊)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모함을 받아 ‘사사부실(詐似不實)’이라는 죄목으로 파직되었다. 그 후 갑자사화로 인해 동래로 유배되었으며 의금부에 투옥되었다가 1504년(연산군 10)에 사형을 당하였다. 3년 뒤 다시 신원되었으며 도승지로 추증되었다. 박은의 친구인 이행(李荇)이 그의 시를 모아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를 냈다.
정사현의 본관은 진양(晋陽), 자는 희고(希古), 호는 월담(月潭)으로, 고령에 거주하였다. 1508년(중종 3) 고령 월기촌(月器村)에서 태어났으며 효심이 지극하여 아홉 살 되던 해에 부친의 병이 중해지자 지극정성으로 보살폈으며, 손가락을 깨물어서 피를 내어 먹였다고 한다. 부친이 돌아가시자 아침저녁으로 제찬을 직접 지어 바쳤으며 낮이면 묘 앞에 엎드려 있고 밤이면 영궤 옆에 엎드려 있을 정도로 효성이 대단하였다고 한다.
홍익한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병자 삼학사’의 한사람이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포(花浦)·운옹(雲翁)이다. 1615년(광해군 7) 생원진사에 합격하고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사서(司書)를 거쳐 1635년 장령이 되었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화의론(和議論)에 극구 반대하였다. 병자호란으로 가족과 사위가 모두 죽고 모친과 딸만 살아남았다고 한다. 이듬해 평양부서윤이 되었으나 청나라로부터 화친을 배척한 사람의 우두머리로 지목되어 오달제(吳達濟)·윤집(尹集)과 함께 청나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하였다.
사후에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 강화의 충렬사(忠烈祠), 평택의 포의사(褒義祠), 홍산의 창렬서원(彰烈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화포집(花浦集)』·『북행록(北行錄)』·『서정록(西征錄)』이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기재(棄齎) 김수옹은 1513년 고령 월기촌에서 출생하여 퇴계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1536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 후 예안현감으로 재직하는 동안 관인과 백성으로부터 존경과 추종을 한 몸에 받았다. 김수옹은 명종 즉위 후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으며, 김굉필과 정여창을 추모하는 삼수정이라는 학당을 짓자 많은 선비들이 모여들었다. 1559년 그가 세상을 떠나자 지방민들이 그의 유덕을 기리기 위하여 향림정을 건립하였다.
[위치]
고령군에서 회천교를 지나 국도 67호선을 타고 개진 방면으로 들어가 신안리와 경계하고 있는 곳이 사촌리이다. 사촌리에서 좌측으로 보이는 회천을 따라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마을이 사읍이며 마을에서 사촌교회로 가기 약 400m 전에 영연서원 묘정비가 있다.
[변천]
1711년(숙종 37)에 건립된 영연서원은 신덕린, 박은, 정사현 3현을 향사한 서원이다. 1788년(정종 12) 운수면 운산리에 있는 운천서원과 합쳐지면서 홍익한의 위판을 옮겨 영연서원에 함께 제향했으며 이 때 김수옹도 함께 추향되었다. 그러나 1868년(고종 5)에 전국적인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면서 현재는 영연서원 묘정비만 남아 있다.
[형태]
영연서원 묘정비는 사촌리 입구 좌측에 위치하는데 농대, 비신, 이수를 갖춘 전형적인 비의 모습으로 비각 안에 안치되어 있다. 규모는 농대가 108×71㎝, 비신이 162×61×28㎝, 이수가 89×64×45㎝이다. 비석에는 영조 때 이조판서를 지낸 서유방(徐有防)의 글이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