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458 |
---|---|
한자 | 鳳山祠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광주광역시 서구 봉학길 63[용두동 산80]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한백 |
건립 시기/일시 | 1936년 - 봉산정사 건립 |
---|---|
훼철|철거 시기/일시 | 2016년 - 봉산사 폭우로 망실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64년 - 봉산정사에서 봉산사로 개칭 |
원소재지 | 봉산사 - 광주광역시 서구 봉학길 63[용두동 산80] |
성격 | 사우 |
양식 | 골기와 맞배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1칸 |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에 있던 개항기 사우.
[개설]
봉산사는 한말 유학자였던 고광선(高光善)[1855~1934]을 모신 사우였다. 고광선은 현재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북촌에서 태어났으며, 기정진(奇正鎭)[1798~1879]과 나도규(羅燾圭)[1826~1885]로부터 유학을 배웠으며, 명성이 널리 알려져 많은 이들이 제자가 되길 원하였다. 고광선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세상과 인연을 끊고, 현재의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의 봉화산으로 들어가 1906년 띠집을 만들고, 그 이름을 어지러운 세상에 귀를 닫아버리겠다는 의미로 '엄이재(掩耳齋)'로 하고, 후학들을 가르쳤다. 1934년 고광선이 죽자, 제자들이 1936년 엄이재 옆에 영당인 봉산정사를 짓고 고광선을 기리다가 1964년 봉산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6년 여름 폭우로 망실되었다.
[위치]
광주광역시 서구 봉학길 63[용두동 산80]에 자리하고 있었다.
[변천]
1936년 봉산정사로 건립, 1964년 봉산사로 개칭하였다. 이후 관리가 안 되어 훼손되고 허물어지다가 2016년 여름 폭우로 망실되었다.
[형태]
2016년 이전 조사 때에는 정면은 단청으로 단장하고 건물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1칸이고, 맞배지붕이었다.
[현황]
봉산사 주변에 엄이재가 있는데, 엄이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건물이다. 현재 보살이 운영하는 절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봉산사는 한말 유학자인 고광선의 행적을 살펴볼 수 있는 곳이나, 관리가 안 되어 사우는 망실되고, 엄이재는 성격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