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1286 |
---|---|
한자 | 益山木-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회선길 80-15[대선리 173-1] 회선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한정훈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3년 6월 30일 -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지정 |
---|---|
문화재 해지 일시 | 2005년 6월 12일 -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지정 해지 |
채록 시기/일시 | 2011년 8월 25일 -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 채록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2년 4월 27일 -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재지정 |
채록지 | 제보자 이증수 자택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회선길 80-15[대선리 173-1] 회선마을 |
성격 | 경기민요 |
기능 구분 | 유희요 |
박자 구조 | 굿거리장단 |
가창자/시연자 | 이증수 |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개설]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네 번째 노래이다. 특별한 의미나 기능을 지닌 독립적인 노래라기보다는 놀이판의 흥을 고조시키려고 부른 노래이기에, 굿거리장단에 맞춰 흥겹게 부른다. 지게 작대기로 목발[지겟다리]을 치며 부른 데에서 ‘작대기타령’이라는 제목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1973년 6월 30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익산목발노래」는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총 여섯 편의 민요를 모아 하나의 구성으로 묶은 것이다. 지게를 지고 나무하러 오갈 때 장단에 맞춰 작대기로 지겟다리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익산목발노래」는 보유자 박갑근의 사망 후 2005년 지정 해지되었으며, 2009년에 익산목발노래보존회가 결성되어 2012년 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익산목발노래」는 보유자 박갑근이 구성한 6편으로만 구성돼 있지만, 조사자나 지역에 따라 5편으로 구성되거나 9편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2011년 8월 25일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대선리 회선마을의 제보자 이증수에게서 채록된 「익산지게목발노래-작대기타령」의 노랫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은 특정한 기능을 갖고 불리는 민요가 아니다. 하나의 독립된 노래라기보다는 전체적으로 놀이판의 흥을 돋우고자 부르는 노래로,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경기민요인 「창부타령」의 일부분을 가져와서 부른다.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은 「익산목발노래」의 구성에서 네 번째에 배치되어 있다.
[내용]
회선마을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의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얼씨구나// 여보소 농부들 말 듣소 아나 초동아 말 들어/ 우리는 농부 우리는 초군 이 나라의 근본일세/ 만고 이래 천하각국이 위민위천을 허였으니/ 사람마다 벼실[벼슬]을 헌다면 어느 장부가 농사를 지으며/ 의원마다 병 고친다면 저 북망산천이 왜 생겼나/ 고대광실을 부러 마소 초가삼간 오막살이에도 인생 행락이 깃드느니/ 월출동령 저 보름달은 작대기 장단에 중천에 둥둥/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가 노던 달이냐/ 나하고도 짝을 지어 이 밤이 새도록 놀아 볼까//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얼씨구나 좋을씨구.”
[의의와 평가]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은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익산목발노래」 중 한 편이다. 「익산목발노래」는 1970년대 민요 전승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전통문화를 계승·보존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기존 전승민요들을 하나로 묶어 근현대적으로 편집한 민요군이다.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을 비롯한 「익산목발노래」는 민요 전승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통하여 익산 지역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