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나무꾼 노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520
영어의미역 Wood Cutter's Song
이칭/별칭 낚싯대 노래,남도령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신기리 새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남녀 연정요|애정요
기능구분 비기능요
형식구분 독창

[정의]

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신기리에 전승되는 애정요.

[채록/수집상황]

1980년 8월 6일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가 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신기리 새마을에서 채록하였으며,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구비문학대계』8-4에 수록되었다. 구연자는 이영상(여, 당시 61세)이다.

[형식]

이 노래는 독창이나 제창으로 흔히 부르게 되는데, 가창하기보다 음영으로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사]

남산밑에 남도령아

오만나무 다베어도

금죽오죽 베지마라

올키우고 내년키아

후울라네

낚숫대나 후울라네

낚을라네

옥란처녀 낚을라네

잘낚으며 능사되고

못낚으며 상사되고

상사능사 고를매자

풀리도록 살아보자

[내용]

이 노래는 낚싯대를 매개로 하여 청춘 남녀 사이의 연정을 읊고 있다. 대체로 여성들 사이에 많이 불리는데, 특정한 일을 할 때 불리는 것은 아니다. 여성들이 놀 때나 심심풀이로 이 노래를 자주 불렀으며, 때에 따라 나무를 하거나 밭을 매는 등의 일을 하면서도 불렀다.

이 노래를 나무꾼 노래라 한 것은 노래 사설에서 나무하는 대목이 나오기 때문이며, 실제 나무를 할 때 불러서 붙인 명칭은 아니다. ‘낚싯대 노래’나 ‘남도령 노래’라 한 것도 노래 사설의 구절을 가지고 명칭을 붙인 것이다.

남산에 사는 남도령에게 다른 나무는 다 베어도 처녀를 낚을 대나무만은 남겨 두라고 하면서, 잘 낚으면 능사되고 못 낚으면 상사된다는 내용으로 사설이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