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01171 |
---|---|
영어의미역 | Weaver's Song |
이칭/별칭 | 심중가,편지 사연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 |
집필자 | 정규식 |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에서 전승되는 베틀짜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개설]
베짜기는 오랜 시간 동안 앉아서 하는 노동이므로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길게 계속되는 노래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베짜는 소리’의 사설은 길게 이어지기 마련이다. 길게 이어지는 ‘베짜는 소리’의 사설을 성격에 따라 나누면 둘로 나눌 수 있다. 한 가지는 베틀과 베틀의 구성에 대해 하나하나 자세하게 나열하면서 베짜는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베틀과는 무관하게 여성의 삶의 고난과 애틋한 바램 등을 비극적으로 풀어나가는 방식이다. 전자는 교술적 사설이며 후자는 서사적 사설이다. 두 계열의 사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경우보다는 서로 유기적으로 엮여서 하나의 노래를 이루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채록/수집상황]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8-4의 채록 자료는 경상남도 진양군 대곡면 단목리 단목마을에서 1980년 8월 3일 조사자 정상박, 성재옥, 김현수에 의해 채록되었다.
제보자 이병현은 56세의 여성으로 대곡면 단목마을의 양반인 하씨 문중 부녀자의 한 사람이다. 진양군 대곡면 마진리(麻津里)에서 태어나서 17살 때에 이 마을 진양하씨 집안에 시집와서 줄곧 이 마을에서만 살았다. 택호를 마진댁(麻津宅)이라고 한다. 민요와 설화는 출생지에서 처녀 때에 들은 것이라 하고 모친에게서 한글을 배워 익혔다고 한다.
[가사]
좋은소래 둥실촌에
달이돋아 명랑한데
청산명월 앉은양에
달아달아 밝은달에
너의가산 우리동료
무슨일을 하실손가
미영잣고 베짜던가
침선방장 낙을붙여
세월간들 무얼할고
[내용]
베짜는 소리의 내용으로는 비교적 교훈적인 사설을 담고 있다. 노래가 끝까지 이어지지 못해 결말이 어떻게 나는지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