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중기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나대용은 전라좌수군절도사로 부임한 이순신 장군이 왜적 침입에 대비하여 병선 제작을 구상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종제인 나치용과 함께 고향인 순천에서 전라좌수영이 있던 여수 지역으로 내려왔다. 나대용은 이순신 장군으로부터 전라좌수영 수군의 전선을 건조하는 감조군관으로 임명을 받고 선소에서 전선을 제작하게 된다. 선소는 전라좌수영 본영...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평사리에 있는 식품 가공업체. 젓갈과 반찬의 전통 제조 방법을 발굴하여 국내에 공급하고, 젓갈과 반찬을 세계인들의 입맛으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1988년 3월 나래식품을 창업하였다. 1996년 2월 지금의 위치에 신사옥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나래식품은 젓갈과 김치, 반찬 등을 만들어 판매하며 해외에도 수출하고 있다. 가공 품목은 명란젓·어리굴젓·생굴무침·창란...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관광호텔. 2012여수세계박람회 지원시설구역으로 2010년 6월 지정·고시되고, 7월 23일 나르샤 관광호텔(대표 최무경)이 준공되었다. 박람회지원시설인 나르샤 관광호텔은 여수시 학동 선소 해변 앞 용기공원 인근에 확 트인 가막만과, 주변 야간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앞두고 박람회지원시설로서 국·내외 관광객 유...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원포리에 있는 섬. 본래 썰물이 되면 섬으로 건너다닐 수 있는 목이 생겨 목섬이라고 불렀으며, 한자로 표기하면서 소리 나는 대로 기록하여 나무 목(木) 자로 쓴 데서 유래되었다. 최고 지점은 해발 20m이며, 해안 주변으로 간석지가 발달하였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과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
-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두라리에 있는 섬. 1590년 경 장씨(張氏)가 맨 처음 입도하였다. 그 뒤 1760년 경 나주임씨(羅州林氏)와 의령남씨(宜寧南氏)가 들어와 마을을 이루었으며, 섬 모양이 나팔같이 생겼다고 하여 나발도라 부르게 되었다. 최고 지점 65m의 산지를 중심으로 남쪽 해안은 급사면이며, 북서해안 쪽으로는 완사면을 이룬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롭고 북서쪽과 북동쪽에 만...
-
나부를 시조로 하고 나도민과 나도흥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나주나씨의 시조는 고려 중엽 중국에서 건너온 나부(羅富)이다. 그는 고려 때 감문위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냈는데, 조선 초기 나득강(羅得康)이 기록에 나주인으로 명기된 것을 근거로 삼아 그의 후손들이 나주를 관향으로 삼았다. 1870년대에 나숭로의 5세손 나도민(羅燾玟)은 여수시 평여동 산본마을에,...
-
임비를 시조로 하고 임훈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나주임씨(羅州林氏)는 고려조에서 벼슬을 지내고 2등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후에 상장군에 오른 임비를 시조로 받든다. 그 후 시조의 9세손 임탁(林卓)이 고려 말에 해남감무를 역임한 후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이 되어 나주 회진으로 내려가 버렸다. 이에 따라 후손들은 나주를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이후 임탁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금의 나진마을은 화양면 면사무소 소재지로 지정되어 새로운 마을을 만들면서 큰 마을이 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의 화양면 지역의 중심 마을이었던 화동마을을 면소재지로 지정하려고 하자 감목관의 횡포를 경험하였던 주민들의 반대가 많아서 새로운 마을을 세워 면소재지로 하게 된 것이다. 화양면 지역에 장이 들어서게 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처음에는...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나진리 웅동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고인돌 상석은 대부분 무덤의 봉분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으나, 어떤 집단의 공동 무덤을 상징하는 묘표석 또는 종족이나 집단의 모임 장소나 의식을 행하는 제단 또는 기념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여수 지역의 고인돌은 남방식 고인돌이 변화된 것으로, 넓고 판판한 1매의 상석을...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나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이 즐거운 학생, 서로를 아끼고 배려하는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는 학생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40년 4월 30일 나진공립심상소학교로 인가 설립되어 1940년 5월 16일 1학급으로 문을 열었다. 1941년 4월 1일 나진공립국민학교, 1996년 3월 1일 나진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1999년 9월 1일 옥천...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나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이 즐거운 학생, 서로를 아끼고 배려하는 학생, 꿈을 향해 도전하는 학생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40년 4월 30일 나진공립심상소학교로 인가 설립되어 1940년 5월 16일 1학급으로 문을 열었다. 1941년 4월 1일 나진공립국민학교, 1996년 3월 1일 나진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1999년 9월 1일 옥천...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용주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분교장. 교육 여건이 완비된 사랑이 감도는 학교, 자긍심을 가지고 열과 성의를 다하여 가르치는 교사, 새 시대의 주인이 될 슬기와 개성을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었다. 1962년 8월 31일 나진국민학교 용창분교장으로 설립 인가를 받은 뒤 1966년 1월 1일 용창국민학교로 문을 열었다. 1987년 3월 2일 용창국...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나진리에 있는 해수욕장. 전라남도 여수시 시가지에서 남서쪽으로 10분 거리에 있는 나진해수욕장은 나진마을 주민의 편의를 위해 최근에 조성되었으며, 규모는 작지만 청정 해역 가막만을 안은 아름다운 경관을 가지고 있다. 나진마을은 화양면사무소가 있는 마을이며, 나진마을 앞바다가 매립되면서 여름이면 주민들이 이용하던 해수욕장이 없어졌다. 따라서 나진마을 주민들은...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서도리에 있던 공립 초등학교 분교장. 바른 행동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예절),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을 익혀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실력), 남과 다른 나를 계발하여 특기를 가진 어린이(창의), 몸과 마음을 가꾸어 건강하고 끈기 있는 어린이(건강) 육성 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05년 11월 16일 김상순, 김용현, 김재윤이 세운 낙영학교가 모체...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법정동. 조선 초,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킨 공은(孔隱)의 죽음을 슬퍼한 기러기가 3일 동안 울다가 떨어져 죽어 낙포(洛浦)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비학동(飛鶴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래 여천군 삼일면 지역으로, 납개 또는 낙포라 하였다. 진례만호진 시절 전선(戰船)은 모두 이 지역 포구에 배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
향토음식은 전통음식이란 개념보다 협의의 개념으로, 오랜 옛날부터 그 지역에서만 생산되는 재료를 그 지역만의 독특한 요리법으로 만든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역 특유의 기후와 토질, 지리적 조건 등의 자연환경에 순응하며 개발된 음식으로, 지역민의 의식 구조와 생활 양식이 오롯하게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수의 향토음식은 해산물과 젓갈을 이용한 음식이 많은데, 특히...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면. 전라남도 여수시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남면이라고 불린다. 757년(경덕왕 16)에는 승평군 여산현 관할이었으며, 고려시대 995년(성종 14)에는 해양도 승주군 해군절도사 돌산현, 1010년(현종 9)에는 나주목 승주군 돌산현 관할이었다. 조선 전기 1396년(태조 5)에는 순천부 전라좌수사 돌산포진 관할이었으며, 1413년(태종 13)에는 전라도 순...
-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있는 총 7종의 보호수. 남면 보호수는 노거수로서 1982년 12월 3일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남면 보호수로는 소나무, 후박나무, 팽나무가 있다. 소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 35m에 이른다. 후박나무는 녹나무과의 상록 교목으로 높이 20m에 이르며, 산지에서 자생한다.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교목으로 높이 20m에 이르며, 마을 부근 및...
-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우학리에 있는 남면의 행정 업무를 맡아보는 기관.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7년 3월 1일 여수군 남면사무소가 설치되었고, 1949년 8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여천군 남면사무소로 바뀌었다. 1998년 4월 1일 여천시·여천군·여수시의 삼여통합으로 여수시 남면사무소가 설립되었다...
-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우학리에 있는, 여수우체국 산하 우편·체신 금융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우체국을 관할하는 지방우정청과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우체국은...
-
전라남도 여수시 남산동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쇠북처럼 생겼다 하여 예암(隸巖)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산 전체의 경사가 완만한 편이다. 돌산대교 입구 쪽에 당머리라는 곶이 발달하였으며, 부근의 바다는 장군도심목이라 부르는 곳으로 조류가 매우 빠른 곳이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고온 다습한 기후 환경에서 만들어진...
-
전라남도 여수시 남산동에 있는 공원. 쾌적한 삶, 깨끗한 도시 이미지가 또 하나의 상징이 되도록 하고, 자연 친화적 공간 활용으로 푸른 여수를 조성하고자 건립하였다. 2015년 3월 11일 남산공원 1단계 조성 사업 계약 체결 및 착공에 들어갔다. 2016년 11월 14일 남산초등학교 앞 급경사지 사토 반출에 따라 공사가 일시 중지되었다. 급경사지 정비 사업과 연계하여 2017년...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법정동. 예암산의 다른 이름인 남산(南山)의 밑에 위치한다 하여 남산동(南山洞)이라 하였다. 본래 여수군 여수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봉서리·봉강리(鳳崗里)·국포리를 통합하여 구봉산 밑이 되므로 봉산리(鳳山里)라 하였다. 1953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산리를 3지구로 분할하여 그 일부가 남산동이 되었다. 남산동은 1998년 삼여통합...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에 있는 무료 노인 요양원. 남산요양원은 경로효친 사상을 계승·발전시키고 경제적·환경적 요인으로 가정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노인들에게 심신 건강 및 생활 안정에 도움을 주어 편안한 노후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1월 20일 사회복지법인 여수복지재단이 설립 인가되었다. 1989년 5월 15일 여수복지재단에서 남산요양원을 개...
-
전라남도 여수시 평여동에 있는 호랑산과 전봉산의 사면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에서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하천. 남수천은 전라남도 여수시 평여동 591-1번지를 기점으로 하여 여수시 월하동 21번지를 종점으로 하는 지방2급하천에 속한다.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이 하천이 위치한 과거 남수마을이라는 지역 명칭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에 중성화산암류...
-
방계홍을 시조로 하고 방명국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남양방씨는 고려 개국에 공을 세운 삼한벽상공신삼중대광보국(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輔國)에 오른 방계홍(房季弘)을 시조로 받든다. 방계홍은 당나라 8학사 중 한 사람인 방준(房俊)의 9세손이라 알려져 있다. 방준이 우리나라에 온 뒤 지금의 남양에 정착하였기 때문에 이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왔다. 여수...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일승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우리나라 남양홍씨는 639년(영류왕 22)에 당나라로부터 파견된 8학사 중 한 명인 홍천하(洪天河)를 선시조(先始祖)로 전해지고 있다. 홍천하는 당신(唐臣), 당성백(唐城伯), 덕산촌왕(德山村王) 등으로 후대를 받았는데, 그의 10세손 홍은열(洪殷悅)이 고려 개국 공신이 되면서 남양홍씨의 시조가 되었다. 남양...
-
양을나를 시조로 하고 양성호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남원양씨는 제주 삼성혈(三姓穴)에서 나와 탐라국을 세운 양을나를 시조로 받든다. 양탕(良宕)의 후손 양우량(梁友諒)이 신라에서 공을 세워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졌으므로 제주에서 분적하여 본관을 남원으로 하였다. 병부공파(兵部公派)와 용성군파(龍城君派)가 있다. 남원양씨 최초 입향자는 양성호(梁聖浩)이다. 그는...
-
문다성을 시조로 하고 문응지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여수시 세거 성씨. 남평문씨(南平文氏)는 신라 자비왕 때 사람인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한다. 문다성은 남평에서 태어나 고려 말 대장군을 거쳐 삼중대광벽상공신으로 남평백에 봉해졌다. 이에 따라 문다성의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받들고 관향을 남평으로 하게 되었다. 고려 문종 때 풍산군에 봉해진 문익(文翼)을 중시조로 하며, 문익점...
-
고려 말 정지의 함대가 관음포 앞바다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해전. 고려 우왕 초기 바다에서는 나세(羅世)·최무선(崔茂宣) 등의 진포대첩, 그리고 내륙에서는 이성계의 황산대첩으로 왜구의 기세가 일단 진압이 되었다고는 하나 바다를 넘어다보는 왜구는 쉽사리 근절되지 않았다. 1383년(우왕 9) 해도원수(海道元帥) 정지(鄭地)[1347~1391]는 그의 함대를 거느리고 나주·목포 일대...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에 있는 국립 해양 수산 자원 연구 기관. 남해 바다는 해안선의 굴곡이 많은 리아스식 해안과 2천여 개의 섬 그리고 넓은 대륙붕에 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해황(海況)을 주도하는 변화가 복잡한 대마난류가 흐르고 있고, 또한 다양한 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해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어업 규모가 크고 양식업이 발전된 남해 바다는 우리나라 수산물...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개최되는 생선 요리 경연 축제. 여수는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의 3박자가 잘 어우러진 아름다운 항도로서, 보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여수 사람들이 먹고 살아온 음식을 먹으며 여수만의 넉넉한 인심을 느낄 수 있다. 임금님의 수라상에까지 오른 가장 귀한 음식인 서대회를 비롯, 입 속에서 아삭아삭 씹히는 삼치회, 저렴한 가격으로 푸짐한 여수의 인심을 맛 볼 수 있...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남해안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2004년 『새여수신문』으로 창간하였고, 3주년을 맞아 2007년 『남해안신문』으로 제2 창간을 하였다. 2000년 이후 여수 지역에서 발간되던 『진남신문』(1999~2000), 『여수투데이』(2000~2002), 『여수신문』 등이 폐간과 창간을 거듭하였다. 당시 지역 신문들의 경영 상태는 좋지 못했고, 다매체...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1384[낙포동]에 있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회사. 남해화학은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방침에 따라 1974년에 설립되어 양질의 비료를 적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해서 주곡 자립화를 달성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4년 5월 8일 남해화학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1978년 3월 27일 본사 소재지가 이전되었다가, 1980년 12월 10일 본사가 낙포동...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동지로부터 세 번째 미일(未日)에 행하는 세시풍속. 납일(臘日)은 원래 중국에서 시작된 풍속으로 중국에서는 세 번째 술일(戌日), 또는 진일(辰日) 등으로 시대마다 달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에는 12월 인일(寅日)이었다. 고려 문종 때는 술일로 납일을 정했으나 이후 대체로 대한(大寒) 전후 진일로 납일을 삼았는데, 납일이 보편화된 조선시대에 와서 동지 뒤...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에 있는 섬. 섬의 모양이 이리를 닮았다고 하여 이리 낭(狼)자를 써서 낭도라 부르게 되었다. 낭도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신성리층이 분포하고 있으며, 신성리층은 여수반도를 중심으로 여수반도 서남측 낭도와 사도, 백야도, 하화도 일대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지층구성상 응회암질 사암과 적색사암, 역암, 셰일, 실트암, 유문암질 응회암, 안산암질 응회암 등...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의 낭도리[낭도]와 조발리[둔병도]를 연결하는 연도교. 낭도대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박스 거더교이다. 다리 길이는 640m, 너비는 11.5m이며, 왕복 2차선 도로로 만들어졌다. 교각과 교각 사이 길이인 경간장은 최대 170m로 국내에선 최장이다. 점증적 경간 구성[150m+170m+150m]으로 운전자 시점에서 수려한 다도해의 경관을 조망할...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도의 서쪽에 있는 낭도는 섬의 형상이 이리를 닮았기 때문에 ‘이리도’라 하였으며, 낭도(狼島)는 이리도의 한자 표기이다. 낭도의 가장 큰 마을인 여산리는 예부터 마을 뒤로 아름다운 산이 많다고 하여 1952년부터 낭도리라 부르던 곳의 명칭이 바뀐 것이다. 논이 많은 지역인 논골의 한자 이름인 ‘답동(沓洞)’과 멀리서 보면 탑처럼 보여서 불...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여산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화정면 낭도리 여산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자시에 공동으로 지내는 마을 제의이다. 그러나 마을에서는 당산제와 당제 두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수호신은 제일 처음 마을에 입도한 할아버지와 할머니이다. 마을의 대표자로서 당주 2명만 조용히 제를 모신다. 당주는 당산제를 성심성...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에 있는 산. 산 중앙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경사가 가파르다. 특히, 바다와 접한 동쪽 산기슭 해안 일대는 해식애가 발달하였으며,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산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식생은 동백나무를 비롯하여 상록 활엽수림이 주로 자라고 있다. 낭도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 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과거에는 주변의 상황을 봉수로 알리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낭도와 둔병도 사이에 있는 물길. 이 일대는 유속(流速)이 최고 1Kn 정도로 매우 느릴 뿐만 아니라, 평균수심은 20m 내외를 유지하며 최대 수심은 약 27m 정도이다. 수도의 폭은 넓은 곳에서 약 1㎞ 정도이며, 이 해역의 북쪽에 접한 둔병도 해안에는 암석해안이 발달되어 있다. 남쪽에 위치한 낭도에는 넓은 만과 간석지가 발달되어 있어 양식업의 적지가 되고...
-
전라남도 여수에서 즐겨먹는 생선찜의 한 종류. 양태는 횟대목, 양태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부레가 없고 머리가 납작하며 몸통이 가늘고 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수심 2~60m의 바다 밑바닥에서 산다. 바닥이 모래와 진흙이 섞인 곳에서 사는데, 겨울에는 몸을 바닥에 파묻고 월동한다. 5~7월 산란기를 전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데 이 시기에는 상당히 얕은 곳까지 접근하고 낮에는...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곳. 여수시는 여수반도와 도서 지역이라는 지형적 여건으로 국가하천의 규모와 같은 큰 강은 발달할 수 없는 조건이다. 가장 긴 대포천(13.5㎞)과 하도천(12.5㎞)을 제외하고는 유로 10㎞ 이내의 소하천들이 발달해 있다. 이런 소하천들은 약 19개로 모두 지방2급 하천이거나 지역 하천이다. 여수시 둔덕동 호랑산[470m...
-
전라남도 여수시 경호동 내동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한 해의 무사고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제사. 경호동 내동마을 당산제는 음력 12월 30일 자시에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제에서 모셔지는 신을 ‘당산’ 혹은 ‘할머니’, ‘우리당산’이라고 부른다. 당산제를 지내는 제관은 당주 1명과 부당주 1명으로, 음력 12월 29일에 2명을 선정한다. 당주는 제를 주관하는 사람이...
-
조선 전기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동에 있던 수군기지. 1396년 진례만호진이 설립되어 28년간 계속되어 왔으나 1423년(세종 5) 1월 전라감사가 “도내 진례량의 병선을 내례량으로 옮겨 경상도 우수영[거제도]의 서편을 관장하는 남해도, 평산포만호진의 병선과 마주 대하여 봉화로 서로 연락하는 방어선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는 장계를 조정에 올려 세종이 이를 윤허함으로써 진례만호진...
-
전라남도 여수시 여서동에 있는 옛 역원 터. 역원은 일종의 교통, 통신기관으로 나라의 명령과 공문서를 전달하거나 변경 지방에 긴급한 군사적 사태가 발생하면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외국 사신을 영접하고 물자를 전송하기도 하였다. 원나라의 참적(站赤)제도라는 것을 본떠 참(站)을 만들었다. 육지에 있는 것은 육참(陸站)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을 보통 역참으로 불렀고, 해상...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에 있는 섬. 안목섬을 한자화 해서 안 내(內) 자와 목 항(項) 자를 써서 부르게 되었다. 최고 지점이 110.8m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남쪽 해안 쪽은 급사면이며, 북서해안쪽으로는 완사면을 이루고 있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로우며, 남서쪽에는 만입이 발달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고온 다습한...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에 있는 섬. 안목섬을 한자화 해서 안 내(內) 자와 목 항(項) 자를 써서 부르게 되었다. 최고 지점이 110.8m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남쪽 해안 쪽은 급사면이며, 북서해안쪽으로는 완사면을 이루고 있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로우며, 남서쪽에는 만입이 발달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양은 신생대 제4기 고온 다습한...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냉천암 터에 고려시대 때 호국 도량을 목적으로 암자를 지었는데, 절터에서 여름철에는 찬물이 나오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물이 나오는 곳이라 하여 절 이름을 냉천암이라 지었다고 한다. 후에 이곳에 제당을 설치하고 음력 정월 14일 밤 자시에 산신제를 지냈다고 한다. 또 약 400여 년 전부터 정월 보름날이 되면 마을 정자인 느티나무...
-
전라남도 여수시 월호동에 있는 섬.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섬의 모양이 넓다는 뜻에서 유래되는 형태관련 지명이다. 한자어로는 광도(廣島)라고 한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고지점인 45m의 산지를 중심으로 ‘S’자 형태의 형상을 하고 있다. 대체로 섬의 북쪽지역이 높으며 남쪽지역은 낮고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
-
전라남도 여수시 월호동에 있는 섬.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섬의 모양이 넓다는 뜻에서 유래되는 형태관련 지명이다. 한자어로는 광도(廣島)라고 한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고지점인 45m의 산지를 중심으로 ‘S’자 형태의 형상을 하고 있다. 대체로 섬의 북쪽지역이 높으며 남쪽지역은 낮고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
-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신월동의 한국화약 여수공장이 들어선 부지의 바닷가 이름이다. 1940년대 초 일제는 이 지역에 있던 신근정마을, 봉양마을, 물꾸미마을을 강제로 이주하고 일본 해군의 수상비행장을 건설하였다. 비행장이 건설된 이 지역을 넙너리로 불렀다. 어원은 파도가 닿는 해변이란 뜻의 해안지명 너리와 넓다는 뜻이 결합된 말로 너븐너리가 줄어 넙너리가 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도를 중심으로 보성군·순천시·여수시·고흥군으로 둘러싸여 있는 내해. 여자만 내해는 굴곡이 심하며, 대여자도·소여자도·대운두도·소운두도 등을 비롯한 많은 섬들과 공진반도와 운두만(雲斗灣)이 있어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다. 고흥반도의 해창만은 우리나라 유수의 간척지로 농경지로 조성되었다. 여자만 바다에는 여자도·장도·달천도 등이 있으며 청정해역으로 전어·멸치·...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에 있는 섬. 본래는 넘자섬인데, 섬의 높이가 낮아서 파도가 섬을 넘어서 넘자가 되었다. 넘자란 말의 뜻을 한자화 한 이름으로 넘은 남이란 뜻을 가진 여(汝)로 해석하고 자는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여 자(自)로 하여 여자도가 되었다. 여자도 곁에 있는 송여자도는 작은 여자도란 뜻으로 본래 이름은 솔넘자였다. 여기서 ‘솔’ 자는 작다는 의미인데, 한자로...
-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신월동의 한국화약 여수공장이 들어선 부지의 바닷가 이름이다. 1940년대 초 일제는 이 지역에 있던 신근정마을, 봉양마을, 물꾸미마을을 강제로 이주하고 일본 해군의 수상비행장을 건설하였다. 비행장이 건설된 이 지역을 넙너리로 불렀다. 어원은 파도가 닿는 해변이란 뜻의 해안지명 너리와 넓다는 뜻이 결합된 말로 너븐너리가 줄어 넙너리가 되...
-
전라남도 여수시 월호동에 있는 섬.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섬의 모양이 넓다는 뜻에서 유래되는 형태관련 지명이다. 한자어로는 광도(廣島)라고 한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고지점인 45m의 산지를 중심으로 ‘S’자 형태의 형상을 하고 있다. 대체로 섬의 북쪽지역이 높으며 남쪽지역은 낮고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
-
전라남도 여수시 월호동에 있는 섬.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섬의 모양이 넓다는 뜻에서 유래되는 형태관련 지명이다. 한자어로는 광도(廣島)라고 한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고지점인 45m의 산지를 중심으로 ‘S’자 형태의 형상을 하고 있다. 대체로 섬의 북쪽지역이 높으며 남쪽지역은 낮고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논일이나 밭일, 또는 바다에서 고기잡이할 때 입는 옷. 여수는 예부터 농업과 어업이 함께 발달한 지역이었다. 해안선을 끼지 않은 농촌 지역의 경우 주로 농사일을 하는데, 벼나 보리·고구마·깨 등을 많이 심는다. 섬 지역인 돌산의 경우 농업보다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으나, 생선을 잡지 않을 때는 농사도 많이 지었다. 여수 지역의 경우 예부터 밭일이나 논일은 남...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노동요란 일반적으로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말하며, 오랫동안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전승되어 온 민요를 가리킨다. 작업요(作業謠)라고도 하는데, 지역적 여건과 작업의 형태에 따라 노래의 특징이 나타난다. 여수는 지역적으로 바다와 연해 있고 얼마간의 농경지가 있어서, 어업요와 농업요 그리고 아녀자들의 「베틀가」 등이 발견되고 있다....
-
전라남도 여수시의 노동자 계층이 자신의 생활 조건 유지·향상을 위해 전개하는 조직적인 운동. 노동운동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노동조합 운동이나 노동운동이 모두 노동조합 운동인 것은 아니다. 노동운동은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로 생산자로서의 임금 노동자들이 임금과 노동 시간 등 노동 조건의 유지·개선을 목적으로 벌이는 노동조합 운동이다. 둘째로 선거권을 가...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노래미에 갖은 야채를 넣어 끓인 향토음식. 노래미는 횟대목 쥐노래미과의 바닷물고기로, 지방에 따라 노르매·노랭이·놀래기·노래기·황석반어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는 30~60㎝이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며 가늘고 길며 머리는 뾰족하다. 꼬리지느러미 뒷부분의 끝은 가장자리가 둥글며, 옆줄은 한 개 뿐이다. 체색은 대체로 노란색을 띤 갈색으로 어두운 갈색...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여동리에 있던 섬. 1500년 경 장성에서 밀양박씨(密陽朴氏)가 처음으로 입도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며, 섬의 모양이 노루를 닮았다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 최고봉[88m]을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 편이고, 섬 주위에 간석지가 발달하였다. 섬 주변에는 송도·대륵도·소륵도 등 많은 섬이 산재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토양...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노루섬에 전해오는 왜적을 물리친 이야기.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 있는 왜교성(倭橋城)은 정유재란 당시 왜군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쌓은 일본식 성이다. 율촌면지발간추진위원회가 1998년 발간한 『율촌면지』, 여수·여천향토지편찬위원회가 1982년 발간한 『여수·여천향토지』, 여수문화원이 1992년 발간한 『여수·여천향토사』 등 여러 향토지에...
-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여수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병주는 1929년 11월 3일 전라남도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들과 일본인 학교인 광주중학교 학생들 간의 충돌 사건으로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이 학교 강당에서 향후의 행동 방침을 세우기 위해 열었던 집회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당시 5학년 대표였던 노병주(盧秉柱)는 이형우(李亨雨) 등의 제의를 받아들여 가두시위 투쟁을 결정하고 대오를 정비하...
-
1587년(선조 20) 정기명이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도 해상에서 왜구와의 전투 중 순절한 이대원을 애도하며 지은 한시. 이대원(李大源)[1566~1587] 장군이 고흥 녹도만호(鹿島萬戶)로 있을 때인 1587년(선조 20) 2월, 남해안에 왜구가 나타나 양민을 괴롭히자 그들과 일전을 벌였다. 이대원 장군은 적장을 사로잡아 전라좌수사 심암(沈巖)에게 넘겼다. 그러나 전공을 자...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 내의 동도·서도·고도 사이에 있는 바다. 도내해는 서도·동도·고도 세 개의 섬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천연의 항만으로, 1918년에 개항되었다. 도내해는 수많은 선박들이 출·입항할 수 있는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남해안의 중요한 어업전진 기지였지만, 원거리 어장이 형성되고 어선이 대형화됨에 따라 전진 기지로서의 기능이 약화되었고, 도내해의 북쪽...
-
여수는 ‘여수팔경’이니 ‘거문도 삼호팔경(三湖八景)’이라고 하는 형승지가 예로부터 전래되고 있을 정도로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다. 여수반도에서 남쪽으로 103㎞ 정도 떨어져 있는 거문도 서도마을에는 거문도의 삼호팔경 중 오경이 있는 곳이다. 이곳을 가기 위해 전라남도 여수시 교동 여객선터미널에서 하루 두 차례 ‘오가고호(13:40 출항)’와 ‘거문도 사랑호(18:20 출항...
-
전라남도 여수시 광무동에 있는 놀이패 문화 단체. 놀이패 벅수골은 쏟아져 들어오는 외래문화 가운데 퇴폐적·향락적인 요소들을 배격하고 우리의 전통 속에 깃들어 있는 민중문화의 건강함을 배우며, 나아가 올바른 문화를 연구하고 이를 여수 지역에 널리 보급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놀이패 벅수골은 1988년에 여수·여천에서 만들어진 지역 최초의 문화패로서 여수 민·청 산하 문화공간으로 개...
-
조그마한 마을에 불과했던 덕양마을이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1930년 여수-광주간 철도가 개통되면서 덕양역이 설치되고 1933년 면 소재지가 옮겨오면서부터이다. 덕양은 이때부터 소라면의 중심지만 아니라 교통의 요지로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소라면에는 일제강점기 때 바다를 막아 조성한 농토가 있었는데 복산간척지가 446,283㎡, 관기...
-
전라남도 여수시 주삼동 봉계마을에서 질병을 막기 위하여 명절과 세시 때 행해온 농악. 여수시 주삼동 봉계마을은 전봉산 아래 봉강(鳳崗)마을과 호랑산 아래 계원(溪原)마을이 1914년부터 합해져 형성되었다. 이 마을에서는 예부터 설·보름·추석 등 명절과 세시 때마다 매구를 쳤다. 1995년 10월 23일 김용린[남, 63세, 상쇠]과 김균두[남, 55세] 등의 제보에 의해 이루어졌다...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경제 활동.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여 의식주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인간의 경제 활동 중 가장 기본이 되는 1차 산업이다. 농업은 유기적인 생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토지와 기후 등 자연 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그 방법과 내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
전라남도 여수시 교동에 있는 농협중앙회 여수 지역 지부. 농협중앙회 여수시지부는 농업 생산성을 높여서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꾀하며, 금융서비스를 제고하여 지역민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1년 8월 15일 농협중앙회 여천군지부를 개점하였다. 1989년 6월 2일 농협중앙회 여천군지부 사무실을 신축하였다. 1998년 4월 1일 시군...
-
전라남도 여수시 교동에 있는 농협중앙회 여수 지역 지부. 농협중앙회 여수시지부는 농업 생산성을 높여서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꾀하며, 금융서비스를 제고하여 지역민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1년 8월 15일 농협중앙회 여천군지부를 개점하였다. 1989년 6월 2일 농협중앙회 여천군지부 사무실을 신축하였다. 1998년 4월 1일 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