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0461
한자 李舜臣
영어음역 Yi Sunsin
이칭/별칭 여해,충무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준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신
출신지 서울
성별
생년 1545년(인종 1)연표보기
몰년 1598년(선조 31)연표보기
본관 덕수
대표관직 삼도수군통제사

[정의]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전투를 지휘한 무신.

[가계]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아버지는 이정(李貞)이고, 어머니는 초계변씨(草溪卞氏)이다. 이순신은 1545년(인종 1) 서울 건천동에서 4남 중 3남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이백록(李百祿)이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당한 후로 가세가 기울어 충청남도 아산 외가로 옮겨 살았다.

[활동사항]

1576년(선조 9) 무과에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 함경도의 동구비보권관(董仇非堡權管),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 훈련원참군, 사복시주부를 거쳤다. 조산보만호겸녹도둔전사의(造山堡萬戶兼鹿島屯田事宜)로 있을 때 오랑캐의 침입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잠시 해임되었다가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에게 발탁되어 전라도의 조방장(助防將) 등을 지냈다.

1589년(선조 22)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고사리첨사(高沙里僉使)로 승진되어 절충장군으로 만포첨사(滿浦僉使) 등을 거쳐 1591년(선조 24)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어 여수로 부임했다. 이순신은 왜침을 예상하고 미리부터 군사를 훈련하고 장비를 갖추었는데, 특히 전라좌수영 본영 선소로 추정되는 곳에서 거북선을 건조하여 여수 종포에서 점고(點考)와 포사격 시험까지 마치고 돌산과 소포(沼浦)[현 여수시 종화동 종포] 사이 수중에 철쇄(鐵鎖)를 설치하는 등 전쟁을 대비하고 있었다.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가장 먼저 전라좌수영 본영 및 관하 5관(순천·낙안·보성·광양·흥양) 5포(방답·사도·여도·본포·녹도)의 수령 장졸 및 전선을 여수 전라좌수영에 집결시켜 전라좌수영 함대를 편성하였다. 이 대선단을 이끌고 옥포(玉浦), 당포(唐浦), 한산도 등에서 차례로 대첩을 거두었으며, 이 공으로 이순신은 정헌대부에 올랐다.

1593년(선조 26) 이순신은 부산 등지에 있던 일본 수군을 소탕하고 한산도로 진을 옮겨 남해안 일대의 해상권을 장악, 최초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1596년(선조 29) 원균 일파의 상소로 인하여 서울로 압송되어 영어(囹圄)의 생활을 하던 중, 우의정 정탁(鄭琢)의 도움을 받아 목숨을 건진 뒤 도원수 권율(權慄)의 막하로 들어가 백의종군하였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이순신은 12척의 배로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 1598년(선조 31) 명나라 진린(陳璘) 제독을 설득하여 함께 여수 묘도와 남해 노량 앞바다에서 순천 왜교성으로부터 후퇴하던 왜적들과 싸우다 적탄에 맞아 전사했다.

이 같은 사실로 인해 여수에는 충무공과 관련된 사실(史實)이 많다. 전라좌수영성진남관을 중심으로 위치하고 있었고, 웅천동 송현마을 정대수 장군의 초당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뒤 77살의 노모 변씨 부인을 5년 동안이나 모셨던 곳이다. 각종 병선을 제작하고 수리한 선소가 세 곳이나 있다.

흥국사는 승군을 양성하던 사찰이었고, 군장(軍藏), 적량(積糧), 둔전(屯田), 배무시, 망마산(望馬山), 둔병도(屯兵島), 꽃섬[현 여수시 화정면 상화도·하화도], 종고산(鐘鼓山), 역의암(易依巖), 안심산, 무슬목, 피내 등은 모두 이순신 장군과 관련 있는 지명이다.

[저술 및 작품]

『난중일기(亂中日記)』와 유고집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가 있다.

[묘소]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송곡리 현충사에 묘소가 있다.

[상훈과 추모]

이순신 장군을 배향한 사당은 전국에 걸쳐 많은데, 특히 여수에는 1601년(선조 34) 우의정 이항복이 사당 건립을 제안하여 삼도수군통제사 이시언(李時言)의 주관 아래 충민사가 건립되었고, 영당에도 영정이 모셔져 있다. 1603년(선조 36) 부하들이 이순신 장군의 덕을 추모하여 세운 타루비(墮淚碑)가 있다.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에 녹훈되었고, 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여수 고소대 비각에는 1615년(광해군 7) 삼도수군통제영이 있었던 여수에 이순신 장군의 공훈을 영원히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한 통제이공수군대첩비가 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