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300536 |
---|---|
한자 | 麗水農樂- |
영어의미역 | Yeosu Courtyard Ritual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전라남도 여수시 |
집필자 | 김준옥 |
성격 | 마당굿 |
---|---|
의례시기/일시 | 정초 |
의례장소 | 여수시청 앞마당 |
여수 농악패가 정초에 여수시청 앞마당에서 펼쳤던 마당굿.
판굿은 의식을 떠나 순전히 구경꾼에게 보여주기 위한 순수 연희성의 농악이다. 그래서 당굿, 마당밟이, 두레굿 등 모든 농악의 기예를 동원하여 한 판 놀 수 있게 구성한다. 노는 순서는 고장에 따라 다르나 흔히 여러 가지 도형으로 도는 진놀이를 먼저 벌이고, 다양한 솜씨를 보여주는 개인놀이를 뒤에 벌인다.
여수는 지형적 조건으로 인해 노작농악(勞作農樂)이나 연예농악보다 축원(祝願)을 위한 농악에 능했다. 여수 농악판굿은 옛날 이 고장 신청사를 건립한 농악패들에 의하여 전승되었다.
여수 농악판굿은 정초에 집집마다 돌면서 마당밟이굿을 치고 저녁이면 넓은 시청 마당에서 쳤다. 향토축제인 영당풍어제와 당산제에 반드시 참여하여 신바람을 불러 일으켰다. 여수 판굿의 특징은 좌우도를 혼합한 중간굿으로 그 복색이 화려하고 동작이 기민하다. 가락은 활기차고, 다양하며 흥겹다. 판굿 순서는 인사굿 → 5채질굿 → 오방진굿 → 새끼풀이 → 허허굿 → 고사리꺾기 → 미지기 → 연풍대 → 구정놀이 → 허튼굿 → 인사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여수시청 앞마당에서는 치지 않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