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1029
한자 集姓村
영어의미역 Single-Clan Village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집필자 김준옥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이 모여 사는 촌락.

[개설]

집성촌이란 동성동본(同姓同本)의 성씨 집단이 한 마을에 대대로 거주하면서 마을의 인적 구성뿐만 아니라 운영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동족 마을을 말한다. 집성촌의 구성원들은 동조(同祖) 의식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족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직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과거와 같은 집성촌을 찾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특정 성씨가 과반수이거나 1/3 이상으로 문중 제각을 소유하고 있는 마을을 집성촌으로 보고 있다.

[입지 조건]

집성촌의 입지 조건은 일반적으로 넓은 평야나 교통의 요지 등 외부에 잘 노출되는 곳보다는 아늑한 분지나 계곡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이 경제적으로 일정 정도의 자급자족을 가능하게 해주며, 사회·문화적으로도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아 고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동족 마을은 주로 동족 구성원 중 관직이 높거나 학문이 높은 조상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도서 지역에서는 마을 형성의 기본이 되는 높은 관직이나 학문이 높은 선조가 아닌 직계 조상 중 ‘최초의 섬 개척자’인 입도조(入島祖)나 입향조(入鄕祖)를 중심으로 집성촌이 형성된 경우가 많다. 즉 입지 조건이 일반적인 집성촌 형성 조건과 유사하지만 내륙에 비해 생계 문제와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전라남도 여수 지역은 도서가 많은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해 특정 조상을 정점으로 하는 구심력이 내륙의 집성촌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도서 지역의 집성촌이 규모나 외형상으로는 내륙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큰 마을이 존재하지만 족적 기반의 취약, 문중 구심력의 부재, 문중 경제력의 취약 등의 문제로 인해 동족 의식이 취약한 편이기 때문이다.

[현황]

전라남도 여수시의 주요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는 성씨로는 웅천동 송현마을창원정씨(昌原丁氏), 호명동 호명마을의 남양홍씨(南陽洪氏), 호명동 내동마을의 장수황씨(長水黃氏), 돌산읍 금성리 성두마을의 신안주씨(新安朱氏), 돌산읍 평사리 평사마을의 밀양박씨(密陽朴氏), 소라면 복산리 마산마을의 해주오씨(海州吳氏), 소라면 현천리경주정씨(慶州鄭氏), 율촌면 산수리 봉두마을장흥위씨(長興魏氏), 율촌면 신풍리 구암마을의 연안차씨(延安車氏)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율촌면 조화리 조화마을의 달성서씨(達成徐氏), 율촌면 가장리 가장마을의 문화유씨(文化柳氏), 율촌면 반월리 삼산마을의 전주이씨(全州李氏), 율촌면 반월마을의 밀양박씨(密陽朴氏), 화양면 이목리 벌가마을의 밀양박씨, 화양면 이천리 오천마을진주강씨(晉州姜氏), 화양면 이천리 이천마을남평문씨(南平文氏), 여수시 남면 화태리 화태마을의 밀양박씨, 남면 연도리 연도마을김해김씨(金海金氏),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백야마을의 장흥고씨(長興高氏), 화정면 적금리 적금마을고령신씨(高靈申氏) 등도 있다.

여수의 집성촌은 주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난을 피하거나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17세기 중반 경에 입향하여 강한 결속력을 과시해왔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현재는 문중 사업과 활동이 크게 위축되었으며 동조 의식이나 결속력도 많이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문중이 가지고 있는 경제력이 많이 축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표성을 나타내거나 구심점을 형성할만한 중심인물이 없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위와 같은 집성촌은 그 마을의 유래와 흔적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근대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많이 해체되어 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타 지역의 집성촌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래도 여수에서는 아직까지도 집성촌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는 마을을 발견할 수 있는데, 송현마을, 호명마을, 마산마을, 봉두마을, 구암마을, 벌가마을, 오천마을, 화태마을, 백야마을 등이 대표적인 마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