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1028 |
---|---|
한자 | 粉靑沙器全羅道名- |
이칭/별칭 | 분청사기조화모란문호(粉靑沙器彫花牧丹文壺)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배재훈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8년 2월 12일 - 분청사기전라도(전라도)명항아리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3호 지정 |
---|---|
현 소장처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 |
성격 | 분청사기 |
양식(문양) | 모란문 |
재질 | 도토[흙] |
크기(높이) | 43.4㎝ |
소유자 | 광주광역시 |
관리자 | 광주광역시 역사민속박물관 |
문화재 지정 번호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3호 |
[정의]
광주광역시 충효동 요지 생산품으로 추정되는 '전라도'라는 글자가 음각으로 새겨진 분청사기 항아리.
[개설]
조선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로 어깨 부분에는 변형된 연화문, 몸체에는 주 장식 요소인 모란문, 몸체 상단에는 전라도라 추정되는 글자를 조화 기법으로 새겼다. 전반적으로 날씬한 모습의 도자기 형태, 살짝 외반된 구연, 직립한 목, 어깨 부분에서 팽창하여 최대폭을 이룬 모습 등이 이 분청사기의 조형적인 특징이며, 기형은 우수한 편이다. 반면, 삼각의 거치문에 가까운 상단 연화문이나 단순화된 선으로 표현된 모란 등 문양적 요소는 매우 뒤떨어진다. 구연을 비롯한 상단부는 청자색이 그런대로 남아 있으나, 나머지 자리에서는 탈색과 박락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단 일부에는 결실이 있어 이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져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다.
[형태]
높이 43.4㎝, 구연부 지름 16㎝로 길고 날씬한 모습이며, 조선 전기 분청사기 항아리의 대표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기형은 대체로 술병이나 물병 등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몸체 상단부에 ‘全ㅅ道’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이는 '전라도(全羅道)'라 추정되며, 제작 혹은 공납을 맡은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분청사기전라도(전라도)명항아리는 상단부에 새겨진 '전라도'라는 글자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유물 자체는 출토품으로 보이지만, 전라도라는 지역 명칭, 조선 전기 이 지역에서 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도자기 형태 등으로 볼 때, 광주광역시 북구의 충효동 요지 등 이 지역 생산품일 것으로 판단된다. 1998년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