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집터를 지키는 일을 맡은 가택신. 터주신은 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으로, 일명 토주(土主)·대주(垈主)·터줏대감·후토주임(后土主任)이라고도 한다. 터주신은 집안의 액운을 걷어 주고 재복(財福)도 점지하는 일을 맡고 있다. 신체는 벼를 담고 뚜껑을 덮은 서너 되 들이의 옹기나 질그릇 단지이다. 신체는 원추형 모양으로 엮은 짚더미를 단지 위에 덮어서 뒤뜰 장독대 옆...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집터를 지키는 일을 맡은 가택신. 터주신은 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으로, 일명 토주(土主)·대주(垈主)·터줏대감·후토주임(后土主任)이라고도 한다. 터주신은 집안의 액운을 걷어 주고 재복(財福)도 점지하는 일을 맡고 있다. 신체는 벼를 담고 뚜껑을 덮은 서너 되 들이의 옹기나 질그릇 단지이다. 신체는 원추형 모양으로 엮은 짚더미를 단지 위에 덮어서 뒤뜰 장독대 옆...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발굴된 진흙으로 빚어 구워서 만든 용기. 재료·제법이 토기와 비슷한 용기류에 도기(陶器)와 자기(磁器)가 있다. 도기는 진흙 태토를 원료로 하는 점에서는 토기와 같으나, 토기보다 훨씬 고열로 굽고 기체(器體) 표면에 인위적으로 유약(釉藥)을 발라서 물의 흡수를 많이 줄인 점이 다르다. 또 자기는 원료부터 토기와는 달리 진흙이 아닌 돌가루를 쓰며, 고열로 구워서...
-
전라남도 여수시 선원동 테미산에 있는 백제시대 산성. 테미산성의 명칭은 토미산성, 선원동산성 등으로 불리고 있다. 테미산성은 토미산 또는 테미산으로 불리는 산 정상에 있는데 테미산은 산의 고어인 미에 테가 둘러진 산성이란 의미로 테뫼식 산성[산정식산성]이 있는 산을 통칭한다. 토미산은 테를 한자로 표기가 어려워 토(兎)로 표기한 것이다. 선원동산성은 테미 또는 토미 등 혼란스런 표...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와 순천시 해룡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 자세한 명칭유래는 알 수 없으나, 한자어의 의미로 보아 산 모양이 토끼 형상을 닮은 데서 비롯된 지명으로 추정된다. 산의 북동, 남서 사면은 경사가 가파르나 북서, 남동 사면은 완만하다. 토봉산의 동쪽과 남쪽으로 연화천이 흐르면서 가장평야를 적시며 여자만으로 유입된다. 이 산은 평촌 뒷산으로, 평촌은 간척지를 의미...
-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화가들의 동호회. 전시회를 통해 지역 사회의 시민과 학생들에게 미술에 대한 관심과 소양을 높임으로서 미술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회원 간의 정보 교환과 창작 활동을 함으로서 개인의 발전을 꾀함은 물론 지역 사회 미술인들과 더불어 미술을 대중화시키고 한층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토상회는 1988년에 창립되었다. 이 해는 서울올림픽이 열리고 국...
-
전라남도 여수 지역의 지표면에 퇴적되어 있는 물질. 토양은 지각의 가장 윗부분을 차지하는 암석의 풍화 산물과 동식물의 유체(遺體)로 이루어졌다. 토양은 암석의 풍화 산물과 이에 분해되는 유기물이 섞이고 기후·생물 등의 작용을 받아 변화된다. 그 변화는 환경 조건과 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항상 계속된다. 토양은 엷은 층으로 지구 표면을 덮고 있으며, 알맞은 양의 공기와 물이 들어 있을...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집터를 지키는 일을 맡은 가택신. 터주신은 터를 지키는 지신(地神)으로, 일명 토주(土主)·대주(垈主)·터줏대감·후토주임(后土主任)이라고도 한다. 터주신은 집안의 액운을 걷어 주고 재복(財福)도 점지하는 일을 맡고 있다. 신체는 벼를 담고 뚜껑을 덮은 서너 되 들이의 옹기나 질그릇 단지이다. 신체는 원추형 모양으로 엮은 짚더미를 단지 위에 덮어서 뒤뜰 장독대 옆...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해상교통 수단과 고기잡이용으로 이용한 선박. 통구미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아마도 덴마가 만들어진 이후가 아닐까 추측된다. 통구미는 통나무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초기에는 해상교통 수단으로 덴마와 통구미가 있었는데, 덴마는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등 가까운 거리에, 통구미는 여수시 남면·화정면·삼산면 등 먼 바다의 해상교통 수단...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해상교통 수단과 고기잡이용으로 이용한 선박. 통구미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아마도 덴마가 만들어진 이후가 아닐까 추측된다. 통구미는 통나무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초기에는 해상교통 수단으로 덴마와 통구미가 있었는데, 덴마는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등 가까운 거리에, 통구미는 여수시 남면·화정면·삼산면 등 먼 바다의 해상교통 수단...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해상교통 수단과 고기잡이용으로 이용한 선박. 통구미가 처음 만들어진 시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아마도 덴마가 만들어진 이후가 아닐까 추측된다. 통구미는 통나무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초기에는 해상교통 수단으로 덴마와 통구미가 있었는데, 덴마는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등 가까운 거리에, 통구미는 여수시 남면·화정면·삼산면 등 먼 바다의 해상교통 수단...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꽃게를 잡는 데 사용한 그물로 만든 어구. 원통형 틀에 그물을 씌우고 양 옆에 2~3개의 입구를 만든 통발에 미끼를 넣어 꽃게 등을 유인하여 잡는 어구(漁具)이다. 대 통발(Bamboo basket)과 나무 통발(Wooden basket) 등을 개발하여 꽃게를 잡는 데 사용하였다. 그러나 파손되거나 부식되기 쉽고, 수중에서 물을 흡수하여 무거워지는 데다가, 물의...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인간의 의사·지식·감정 또는 각종 자료를 포함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주고받는 작용이나 현상 또는 그 수단이나 기술의 총칭. 넓은 뜻으로는 통신은 인체나 재화(財貨)의 위치적 또는 공간적 이동을 의미하는 운수(transportation)에 대응해서, 서신을 대상으로 하는 우편, 전류나 전파를 매체로 하는 전기 통신, 공간과 수중을 통한 음향 통신, 빛·연기·수기(手...
-
전라남도 여수시에 학동에 있었던 통일교육기관. 지난 반세기 민족의 분단이 가져온 남한·북한의 대립과 이질화로 인해 남북 사이에 평화공존과 화해협력을 이루어 가는 과정에 대하여 다양한 견해가 도출됨에 따라 사회 내부의 다양한 논의를 수렴하고, 북한의 언어와 풍습 등을 이해하기 위해 통일에 대비한 대국민 통일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데 기여하였다. 대 국민 통일교육 활동을 통한 국론...
-
전라남도 여수시 고소동에 있는 조선 중기 이순신 장군의 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 여수 통제이공 수군대첩비는 일제강점기에 여수경찰서장 마쓰키[松木]가 1942년 봄 우리 민족의 정기를 말살하기 위하여 대첩 비각을 헐고 대첩비와 타루비를 반출했던 것을 1946년 경복궁 뜰에서 김수평이 발견하여 1948년 5월 24일 여수에 복구하였다. 1973년 5월 4일 보물 제571호로 지...
-
1999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여수시가 삼여통합 1주년을 기념하여 매설한 타임캡슐. 삼여 행정 기구를 합하여 하나의 통합 행정 기구를 만들기 위해 통합여수시설치준비단이라는 한시 기구를 1997년 12월 24일 발족시켰다. 마침내 「전라남도 여수시 도농 복합 형태의 시 설치에 관한 법률」 부칙 제1조에 의해 1998년 4월 1일 통합 여수시가 개청되었다. 통합 여수시가 발족됨에...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 수암산에 있는 조선 중기 석축 산성. 죽암산성에 대한 축조연대나 성의 규모 등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그 연대를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투구봉 전설과 관련하여 임진왜란 때 침입한 왜구를 격파하기 위해 수암산 투구봉을 중심으로 성을 축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리 4호 가마터의 오른쪽으로 난 작은 길을 통해 10분 정도 올라가다 보면 수암산 가...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특별히 생산되는 물품. 특산물은 어떤 지역에서 생산·판매되는 우수하고 특별한 산물로 농산물, 수산물, 임산물, 수공업 제품 등 다양한 종류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전라남도 여수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는 돌산갓과 돌산갓김치를 비롯하여 멸치, 키조개, 양념 젓갈, 꼬막, 화훼류, 쑥, 방풍, 갯장어 등을 들 수 있다. 1. 돌산갓 전라남도 여수시에서는 갓(...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관광호텔.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건립된 비앤비치관광호텔은 여수시 학동 선소 해변 앞 용기공원 인근에 확 트인 가막만과, 주변 야간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를 앞두고 박람회지원시설로서 국·내외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설립하였다. 2007년 12월 관광호텔 사업이 승인되었고, 2008...
-
전라남도 여수시 학동에 있는 관광호텔.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건립된 비앤비치관광호텔은 여수시 학동 선소 해변 앞 용기공원 인근에 확 트인 가막만과, 주변 야간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를 앞두고 박람회지원시설로서 국·내외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설립하였다. 2007년 12월 관광호텔 사업이 승인되었고,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