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관습적으로 꺼려서 금하거나 피하는 일. 금기에는 행동과 언어적 표현이 있다. 금기를 설정하는 이유는 생활상의 위험 요소를 막거나, 공포감·불안·불쾌감을 주는 말을 피하기 위함이다. 금기어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단어를 금기에 의힌 대용어(代用語)라고 하는데, 대용어는 언어의 신앙성이나 주술성에 의해 금기되는 것은 아니지만 넓은 의미로는 금기어에 포함할...
-
조선시대 청양을 중심으로 충청도 서부 지역과 연결된 역도. 금정도(金井道)는 조선 세종 때부터 충청우도에 편성된 역도(驛道)였으며, 관할 범위는 대흥(大興)-청양(靑陽)-결성(結城)-홍주(洪州)-보령(保寧)-해미(海美)-서산(瑞山)-태안(泰安) 등의 지역으로 연결된다. 조선 후기에는 전기부터 편제되었던 시흥도가 폐지되면서 시흥도 소속의 8역이 금정도 관할 하에 편제되었다...
-
고려와 조선시대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지역에 설치되었던 역. 급천역(汲泉驛)은 덕산현 대조지면[현재 예산군 삽교읍 역리]에 있었다. 덕산, 홍주, 해미, 당진, 예산, 대흥, 청양 등의 지역으로 연결되는 곳에 있었으며, 위의 지역을 여행하는 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였다. 급천역은 관할 역도가 금정도-시흥도-금정도로 바뀌었다. 역(驛)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공문의 전달과 사...
-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미래에 다가올 긍정적 조짐을 관습적으로 표현하는 말. 예산 지역에서 쓰는 길조어는 오랜 전통과 관습에서 생성된 민속 언어이며 예산 지역의 전통적인 생활·문화·사상을 담아낸 언어이다. ‘첫날밤에 눈이 오면 길하다.’처럼 ‘~하면 ~하다’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근거나 조건을 바탕으로 미래의 상황을 예언하며, 대략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농사를 지을 때 사용했던 기구. 농기구는 농사일에 사용되는 도구나 기구를 총칭하는 말로, 주로 인력용과 축력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손발의 연장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았다. 각기 다른 자연환경에 따라 농업의 형태, 작물의 종류, 경지와 지역의 특색 등에 따라 다양한 농기구들이 발달하였는데, 농업의 근대화가 추진되면서 농기구도 점차 기계화되어 재래식 농기...
-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려고 마을 단위로 둔 조직. 두레는 옛날 공동체 사회로부터 전승되어 온 자연부락 단위의 조직으로, 논농사 지대에서 마을 성년 남자들이 협력하여 농사를 짓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공동 노동 조직체였다. 예산 지역에서 두레는 농경의 생산성을 높이고 부락의 협동심을 다지는 구실을 했으며, 마을 성년 남자들이 모두 참가한다는 특징...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원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박신흥의 정려. 박신흥 정려는 조선 후기에 예산군에 살며 부모에 대한 효도와 임금에 대한 충성을 다하였다는 박신흥의 행적과 포상에 대한 내용이 있는 정려이다. 박신흥은 본관이 밀양으로 어려서부터 효성스러웠다고 한다. 병석에 누운 어머니가 물고기가 먹고 싶다고 하자 물고기가 튀어 올라 어머니를 봉양하였다고...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지역에서 고기잡이에 사용하던 도구. 살메는 예산군 오가면 지역에서 사용하던 독특한 형태의 어획 도구로, 여름철 개울물이 불어 흐를 때 설치하여 물고기를 잡았던 특수한 어획 도구이다. 특히 신원1리 사람들이 제일 흔히 사용하였던 방식이다. 예산군 오가면 사람들은 ‘살메 고기잡이’라 하여 살메로 주로 참게, 숭어 등과 같은 어종을...
-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간결한 비유의 방식으로 삶의 지혜나 풍자를 담아낸 관용어구. 속담은 오랜 옛날부터 내려오는 풍자와 교훈성을 지닌 짧은 표현으로 이언(俚諺)이나 속언(俗諺)이라고도 불리며, 경전에서 유래한 금언(金言)이나 격언(格言), 금기어(禁忌語)와 수수께끼 따위를 포함한다. 대체로 예산군의 속담으로는 예산 지역에 사는 민간 속에서 발생한 속담과 전국에 퍼져 있...
-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비유를 통해 어떤 사물의 성질이나 이치를 정의하여 물으면 그것을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문제를 내는 사람과 맞히는 사람이 함께 구연(口演)하여 가는 쌍방식 문답 놀이이다. 인류가 언어를 사용한 먼 옛날부터 사회 속에서 자연 발생한 수수께끼는 은유를 통하여 사물의 특징이나 성질을 간결하게 묻고 상대는 그 사물을 알아맞히는 놀이의 특성...
-
조선시대 예산을 중심으로 충청도 서부 지역으로 연결되었던 역도. 시흥도(時興道)는 조선 세종 때부터 충청우도에 편성된 역도(驛道)였으며, 관할 범위는 평택(平澤)-천안(天安)-아산(牙山)-온양(溫陽)-예산(禮山)-당진(唐津)-태안(泰安) 등의 지역으로 연결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전기부터 편제되었던 시흥도가 폐지되면서 시흥도 소속의 8역이 금정도(金井道) 관할로 통합되었다...
-
고려와 조선시대에 현재의 충청남도 예산군의 교통로상에 세워진 관영 교통 및 통신 시설. 고려와 조선시대에 중앙관청의 공문을 지방관청에 전달하며 외국 사신의 왕래와 관리의 여행 또는 부임 때 마필(馬匹)의 공급, 변방의 군정을 보고하던 곳을 역(驛)이라 하고, 숙식 편의를 제공하던 공공 여관을 원(院)이라 하였다. 역과 원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역원(驛院)이라 통...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신장리에 있는 도로교통공단 산하 운전면허 시험장. 예산운전면허시험장은 1989년 예산군 오가면 신장리에 개장하였으며, 도로교통공단에 속하여 있다. 1989년 12월 1일 충남도청 경찰국 예산운전면허시험장이 개장하였다. 1991년 충남지방경찰청이 발족됨에 따라 예산운전면허시험장은 충남지방경찰청에 속하게 되었다. 1999년 7월 「책임운영기...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있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의 비석군. 오가면 비석군은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시기 관직에 있으면서 선정을 베푼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들을 모아 놓은 곳이다.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있다. 오가면 비석군 가운데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의 선정, 불망비로는 암행어사 홍철주, 이중하, 관...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 사람들이 만들어 먹거나 팔았던 엿. 오가역말엿은 일제강점기 오가면 역탑리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음식이다. 삶의 터전을 강제로 빼앗겨 생계가 막막하였던 마을 사람들이 궁여지책으로 만들어 먹거나 팔기 시작하였다. 오가역말엿은 한때 서울 지역까지 맛이 알려져 유명해지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사라졌다. 역말은 역탑리에 있는 자연 마을 중...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새로운 생각을 펼치는 창의적인 학생[배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나눔], 소질과 적성을 살려 꿈을 가꾸는 학생[꿈]’을 길러서 ‘오롯이 성장하고 가슴으로 느끼는 참 행복 오가 교육’이다. 1922년 4월 1일 오가공립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아 1922년 4월 20일 오가면사무소 임시 교실에서 개교를...
-
고려와 조선시대에 현재의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 지역에 설치되었던 역. 일흥역(日興驛)은 예산현 오원리면(吾元里面) 역리(驛里)[현재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있었다. 충청도 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는 곳에 있었고, 공문의 전달과 사신 및 관리의 여행에 마필(馬匹)을 제공하고 군정을 보고하던 곳이다. 역(驛)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공문의 전달과 사신 및 관리의 여행에...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있는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분원 중 하나로 종자 개량과 보급을 위하여 설치된 연구기관. 식량자급을 위한 우수 벼 종자 보급을 위하여 충청남도 채종장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2015년 잠사곤충사업장과 통합한 이후로는 식량산업의 근간인 벼, 콩, 씨감자 등 식량작물 종자생산과 양잠, 꿀벌 등의 곤충산업 육성을 통한 종자산업의 미래가치를 깊이 인식...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있는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산하 연구기관. 설립 취지는 국화 내환경성 고급 품종 육성과 고품질 저비용 안정 생산 기술 개발에 두고 있다. 고급 품종 육성은 온도에 둔감한 저온 및 조기 신장이 되는 품종 및 흰녹병 저항성 품종의 개발, 내서성 품종[여름], 저온 신장 품종[겨울] 선발 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우량 무병묘 생산기술의 개발,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