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300823 |
---|---|
한자 | 母子-傳說 |
영어의미역 | Folktale of Mojabawi Rock |
이칭/별칭 | 「수리망대 전설」,「초도 모자바위」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
집필자 | 김준옥 |
성격 | 설화|전설 |
---|---|
주요 등장인물 | 어부|모자(母子) |
관련지명 | 모자바위[수리망대] |
모티프 유형 | 임진왜란 예견과 명칭 유래의 복합 유형 |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초도리 대동마을 뒷산에 있는 모자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초도는 임진왜란 당시 군마의 마초를 공급해 주던 지역으로 임진왜란과 관련된 전설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모자바위 전설」은 삼산면 초도리 대동마을 북동쪽 예미마을에서 북쪽 약 500m 지점에 있는 일명 수리망대라고도 하는 모자바위와 독수리에 관한 전설이다.
[채록/수집상황]
「모자바위 전설」은 1998년 발간된 『삼산면지』에 실려 있다.
[내용]
옛날 대동마을에 살던 한 어부가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왜구들에게 잡혔는데, 그 사실을 알지 못하던 어머니와 아들은 어부가 돌아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다. 그러나 끝내 어부가 돌아오지 않자 모자는 지친 나머지 죽어 바위로 변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당시 이 바위에 커다란 독수리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독수리는 왜적이 멀리서 쳐들어오는 것을 먼저 알아보고 괴성을 지르며 공중을 선회하였다. 독수리를 보고 왜적의 침입을 미리 알아차린 아군은 이를 이용하여 승전하였다. 그 후 사람들은 아버지를 왜구들에게 빼앗긴 아들의 영혼이 독수리가 되어 이 바위에 앉아 왜구가 쳐들어오는지 망을 봐준다고 하여 이 바위를 수리망대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여수에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전설이 많이 전해지고 있는데, 「모자바위 전설」도 그 중 하나로, 전쟁에 대한 독수리의 예견과 모자바위의 명칭 유래가 복합되어 하나의 줄거리를 형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