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도 새벽 일찍 바다로 나가는 길이었어. 달이 남아서 밤이라도 밝았는데, ‘신지께여’ 있는 데서 달빛에 반사되는 뭔가를 보았지. 검게 보이는 머리를 풀어헤치고 사람피부처럼 반짝였는데 아래는 고기처럼 생겼어! 무섭기도 했지만 호기심에 가까이 다가갔는데 물속으로 들어가 버렸어!…… 그 뒤에도 멀찌감치서 한 번 더 본 적이 있었지. 거문도 사람은 ‘신지께’를 다 알아. ‘...
바닷가 마을의 돌담이야 대부분 비슷비슷하겠지만 서도리마을의 돌담은 유난히 높게 느껴진다. 바닷가의 돌담은 대개가 파도에 닳아서 모나지 않은 둥근 돌담이 많지만 서도리의 돌담은 네모반듯하게 깨어지는 이 지역 바윗돌의 특성 때문에 반듯반듯한 게 특징이다. 바람 때문에 높은 돌담은 쌓았지만 대문은 만들지 않았던 과거에는 동남쪽 무넹이가 바라다보이는 사립문 쪽을 바라보면 항상 선바위가 기...
서도리의 남서쪽에 있는 음달산[237m]에서 서쪽으로 500여 미터 해안으로 내려가면 ‘용내이’라고 부르는 바위언덕을 만나게 된다.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주변의 절벽 사이에 서쪽 바다로 나가는 형상을 하고 있는 해발 22m의 낮은 언덕 위에는 작은 연못이 형성되어 있다. 80여 미터의 둘레에 6m의 깊이로 알려진 이 연못을 서도리 사람들은 ‘용물통’이라고 부르는데 ‘용내...
뽁쥐굴은 박쥐굴의 거문도 방언이다. 서도리의 북쪽 바다로 돌출된 사슴뿔을 닮은 녹산 해변에 있는 동굴로 해안의 큰 바위와 바위들이 엉키면서 만들어졌다. 거문도 팔경 중 하나인 ‘녹문노조(鹿門怒潮)’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녹산 지역을 서도리 사람들은 ‘녹쌔이’라고 한다. 녹쌔이 북쪽 해안에는 집채만한 크기의 바위들이 비슷비슷한 모양으로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어...
서도리마을의 옛 이름은 ‘장작리(長作里)’ 또는 ‘장촌(長村)’이라 하였다. 장작리는 마을 앞 해변이 긴 자갈밭으로 이루어져 ‘진작지’라고 부르던 우리말 땅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부르게 된 마을의 이름이다. 1899년 돌산군수 서병수가 편찬한 『여산지』에는 마을 이름을 장작리로 표기하고 있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행정구역 통폐합 시에는 마을 이름을 지금의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