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0831
한자 三山-
영어의미역 Folktale of Malbawi of Samsan Vill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반월리
집필자 김준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 등장인물 스님|주인영감
관련지명 삼산마을
모티프 유형 인간의 허황된 욕심에 대한 경계|교훈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반월리 삼산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말처럼 생긴 바위에 관한 이야기.

[개설]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반월리의 삼산마을은 마을 뒤로 세 개의 산이 우뚝 솟아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국사봉 중턱에 용미암이라는 바위가 있고, 그 아래에 장군바위가 있다. 그 사이에 또 하나의 바위가 있는데 이를 ‘삼산 말바위’라 한다.

[채록/수집상황]

여수·여천향토지편찬위원회가 1992년 발간한 『여수·여천향토지』와 여천군이 1993년 발간한 『지명유래지』에 실려 있고, 『율촌면지』에는 두 편의 설화가 실려 있다.

[내용]

『율촌면지』에 실려 있는 두 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어느 날 한 스님이 삼산마을에서 제일가는 부잣집을 찾아가 시주를 부탁했다. 욕심이 많고 인정 없는 주인영감은 그 스님의 함지박을 빼앗고 물벼락까지 퍼부으며 내쳐 버렸다. 심지어는 머슴들에게 몰매까지 가하도록 했다. 느닷없이 봉변을 당한 스님은 돌아 나오면서 혼자말로 “부처님께 공양미 한 섬만 시주하고 뒷산에 있는 바위를 부숴버리면 자자손손 정승이 날 텐데….”하고 중얼거리며 나가는 것이었다.

욕심 많은 주인 영감이 그 소리를 들었다. 다음날 석수장이를 데리고 뒷산으로 올라간 영감은 바위를 깨뜨리기 시작했다. 그러기를 닷새째 되던 날, 석수장이가 망치를 들고 내려치는 순간 꽝하는 소리와 함께 바위가 깨지며 영감과 석수장이가 그 자리에서 그만 숨지고 말았다.

그날 밤이었다. 뒷산에서 슬피 우는 말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이를 이상하게 생각한 마을 사람들은 다음날 아침 뒷산으로 올라가 보았다. 그 곳에는 옛 바위의 형상은 오간데 없고 말이 하늘을 향해 울부짖는 것 같은 모습의 바위가 우뚝 서 있었다. 그런 일이 있고난 후부터 마을에는 재앙이 끊이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은 스님을 박대한 영감 때문이라 생각하여 인심을 후하게 쓰게 되었고, 마을은 차츰 안정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2) 옛날부터 삼산마을은 다른 마을에 비해 잘 살았다. 그래서 마을 뒷산 절간에서 스님이 자주 시주를 얻으러 왔다. 이를 아주 못마땅하게 여긴 마을 사람들은 마을에 나타나는 스님을 홀대하기 시작했다. 심지어는 스님을 구박까지 했다. 이렇게 몇 해가 지난 어느 겨울이었다. 허연 수염을 한 스님이 마을에 나타났다. 그 스님은 “뒷산 당신네 조상들의 묘소에 가보시오. 그곳에는 바위가 있을 것이고, 그 바위를 깨뜨리면 당신네들 집안에서 아주 훌륭한 사람이 태어날 것이요.”라고 말한 뒤 사라져 버렸다.

이 말을 듣고 난 마을사람들은 그 바위를 찾아가 깨뜨리기 시작했다. 반쯤 깨뜨렸을 때였다. 갑자기 진한 핏빛 물이 솟아오르면서 꽝하는 소리가 났다. 돌을 깨던 사람들은 깜작 놀라 뒤로 주저앉고 말았다. 그 순간 흰 말 두 마리가 하늘로 치솟더니 한 마리는 시야에서 사라져 버렸고, 다른 한 마리는 뒷산 절간으로 달려가 버렸다.

겨우 정신을 차린 마을사람들은 석수장이 한 사람이 숨져 있고 산 위에는 말 같은 바위가 우둑 솟아 있는 것을 보았다. 마을 사람들은 이후 그 바위를 가리켜 ‘말바위’라 부르게 되었고, 뒷산 스님에게도 후한 시주를 하게 되었다. 마을은 차츰 좋은 일이 생기게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삼산 말바위」는 욕심 많고 인정미 없는 사람이 스님을 박대하여 봉변을 당한다는 이야기로, 스님은 인과응보의 필연적 사건으로 이끌어가는 역할과 함께 예언가로 등장하고 있다. 반면에 주인영감과 마을 사람들은 탐욕 많은 세간의 인간으로 등장하고 있다. 곧, 두 상반된 주인공을 대비하여 인간의 허황된 욕심에 대한 경계를 모티프로 형성된 설화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