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여수문화대전 > 여수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언어와 문학) > 문학 > 문예지∙문학작품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아동문학회에서 발행하였던 아동문학 동인지. 여수아동문학회는 1965년 2월 당시 여수시 내 초등학교에서 직접 아동 교육을 담당하던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창립되었다. 당시 회장은 곽진용, 부회장은 박수빈, 총무는 박종현·최경자, 출판은 정형수, 연구는 최청정·유재만, 섭외는 이환희, 감사는 김용빈·이선기 등이 맡았다. 『아기섬』은 황무지와도 같은 여수 지역 아동문...
-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에서 1981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문학 동인지. 1967년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는 동인지인 『간솔』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이후 회원 상호 간 문예 창작력을 제고하고, 지역 문학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1981년 기관지 『여수문학』을 창간하였다. 창간호에는 박보운, 유홍석, 송명진, 김성영, 최성균, 양동초, 최경자, 진명화, 김정현 등의 회원 작품이 수록되었다. 『...
-
여수수필문학회에서 1987년 창간한 동인지. 수필을 사랑하는 작가들의 모임인 여수수필문학회 회원들의 작품집으로 지역 수필 문학의 위상을 제고하고 회원 상호 간의 문예 창작력을 드높이기 위하여 1987년 9월 창간하였다. 『여수수필』은 국판 변형이다. 『여수수필』 창간호에는 발간사와 축사에 이어 곽진용, 류홍석, 강기영, 조정현, 문정희, 박순덕, 조성훈, 양명순 등 회원의 수필 작...
-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에서 발간했던 여수학생백일장 작품집. 『여수학생문예』는 한국문인협회 여수지부에서 주관하는 여수학생백일장 입상 작품을 수록하여 학생들의 문학 동기를 유발시키고, 지역 문학 인재들을 조기에 발굴 육성하기 위해 창간되었다. 판형은 국판 변형이다. 『여수학생문예』 창간호에는 발간사와 함께 여수학생백일장에서 입상한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와 산문이 실려 있고, 끝에는...
-
1955년 전라남도 여수시 관문동에 있는 여향문학회에서 발간한 동인지. 전라남도 여수시의 문화 및 문학의 활성화와 회원들의 문학 창작력을 도모하기 위해 1955년 박보운, 엄심호, 김용태 등에 의해 창간되었다. 국판의 변형판이다. 회원들의 시와 수필을 게재하고 있다. 『여향』1집만 발행되고 이후에 『역우』 동인으로 합류되면서 폐간되었다 여수 지역 종합지로 『여수문학』 등 문학지의...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활동했던 한파문학회가 발간한 동인지. 1957년 여수문학의 산파역할을 한 한파문학회 회원들의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지역 문학 정서 함양과 회원들의 창작력을 드높이기 위해 창간되었다. 국판 변형판에 필사본이다. 회원들의 시와 수필을 게재하고 있다. 1957년 한파문학회가 동인지 『한파』1집을 발간한 후 1960년 한파문학회가 해산되고 문학동인 역우로 합류됨에 따라...
-
1587년(선조 20) 정기명이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도 해상에서 왜구와의 전투 중 순절한 이대원을 애도하며 지은 한시. 이대원(李大源)[1566~1587] 장군이 고흥 녹도만호(鹿島萬戶)로 있을 때인 1587년(선조 20) 2월, 남해안에 왜구가 나타나 양민을 괴롭히자 그들과 일전을 벌였다. 이대원 장군은 적장을 사로잡아 전라좌수사 심암(沈巖)에게 넘겼다. 그러나 전공을 자...
-
대가야의 가실왕 때 우륵이 작곡한 여수의 노래. 우륵의 12곡은 대가야의 가실왕이 궁정악사인 우륵에게 명하여 가야금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작곡한 12개의 곡이다. 각 곡은 가야의 각 지방의 지명에서 이름을 따 왔는데 네 번째 노래인 달이(達已)는 상다리와 하다리로 나뉘며, 각각 지금의 여수시의 육지 쪽과 여수시 돌산읍을 포함한 도서 쪽을 가리킨다. 우륵이 지었다는 12곡의 이름은...
-
고려시대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유행했던 가요의 하나. 고려가요 「동동」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아박(牙拍)과 함께 연주되었으며, 나례(儺禮) 뒤에는 처용희(處容戱) 속에 동동무(動動舞)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중종 때에 이르러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정읍사」와 함께 폐지된다. 「동동」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원문이 실려 전하고, 『고려사(高麗史)』, 『증보문헌비고(增...
-
고려시대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유행했던 가요. 『고려사』 권71 「악지(樂志)」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에 「장생포」의 창작 경위에 관해 기록되어 있다. 또 이밖에 『동국통감』,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운부군옥』, 『승평지』, 『성호선생문집』, 『강남악부』 등에도 전한다. 『고려사』에 의하면 왜적이 장생포를 침범했다가 위엄을 겸비한 시중(侍中) 유탁(柳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