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301242
한자 高麗時代
영어의미역 Goryeo Period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여수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병호

[정의]

936년 후백제 멸망 이후부터 1392년까지 고려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전라남도 여수시의 역사.

[개설]

개성 지역의 호족 세력으로 발전한 왕건(王建)은 918년 고려를 건국하였다. 935년 신라의 투항을 받아들인 후, 936년 후백제를 멸망시켜 후삼국을 완전히 통합하였다.

[변천]

940년(태조 23) 전국의 행정 구역을 주(州)·부(府)·군(郡)·현(縣)으로 개편하였다. 이에 통일신라시대에 해읍현(海邑縣)[여수]과 여산현(廬山縣)[돌산]으로 불리던 여수 지역의 이름도 각각 여수현(麗水縣)돌산현(突山縣)으로 바뀌었다. 이때 처음으로 여수(麗水)라는 이름이 나오게 되나 모두 승평군(昇平郡)[순천]의 속현이었다.

고려 초기에도 여전히 지방에는 군사력을 갖고 있는 세력이 더러 남아 있었다. 성종 때에 이르러 전국이 중앙 집권 체제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 이전에 서경·대도호부·진(鎭)을 제외한 일반 주·부·군·현에는 상주하는 지방관이 중앙으로부터 파견되지 않았다. 다만, 향호로 조직된 반자치기구에 일임하는 한편, 수시로 금유(今有)와 조장(租藏)이라는 조세 징수관과 징수된 조세를 중앙으로 전달하는 전운사(轉運使)와 같은 관원이 중앙에서 파견되어 순회했을 뿐이다.

지방에 상주하는 지방관은 983년(성종 2) 지방에 12목(牧)을 설치한 후부터 본격적으로 파견되었다. 상주관인 목사(牧使)는 12목이 설치된 광주(廣州)·양주·충주·청주·공주·진주·상주·전주·나주·황주·해주 등 12개 주에 파견되어 소관 주와 현 내의 향직(鄕職)을 감독하였다. 당시 12목의 관할 구역이나 향직 단체의 수효는 알 수 없다. 전라남도 지역은 통일신라의 9주의 하나였던 무주(武州)[일명 무진주]가 사라진 대신 나주와 승주(昇州)[순천]가 12목의 일부로 되었다. 이때 여수는 승주 관할하에 있었다.

995년(성종 14) 다시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전국이 4도호부와 10도로 나뉘고, 12주목이 12주절도사로 바뀌었다. 10도는 관내(關內)·중원(中原)·하남(河南)·강남(江南)·해양(海陽)·영남(嶺南)·영동(嶺東)·산남(山南)·삭방(朔方)·패서(浿西) 등이었다. 전라남도 지역은 해양도에 해당되었으며, 여수는 12주절도사의 하나인 승주절도사가 관할하는 여수현돌산현이었다.

1018년(현종 9) 또다시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전국이 4대도호부, 8목(광주·충주·청주·진주·상주·전주·나주·황주), 56주지군사, 28진장(鎭將), 20현령으로 바뀌었다. 이 개편으로 전라남도 지역의 나주가 8목의 하나가 되었으며, 이때 여수현돌산현은 나주의 승평군에 속하여 대체로 고려 말까지 계속되었다. 돌산현은 한동안 폐현되기도 하였다. 고려 말 1350년(충정왕 2)에 처음으로 현령을 둠에 따라 주읍으로 승격되어 순천부와 분리되어 독립된 행정 단위가 되어 조선 초 1396년(태조 5)까지 47년간 계속되었다. 한편 고려시대에 여수 지역에는 여수현돌산현 외에 삼일포향, 정방향, 진례부곡, 소라포부곡 등이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