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풍속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행해지는 주기적·관습적·의례적으로 전승되어 온 전통적이고 특별한 생활 행위. 원시 농경사회로부터 인간은 주기적·관습적·의례적으로 일정한 때에 특별한 생활 행위를 계속해 왔다. 즉, 세시풍속은 일 년을 주기로 하여 계절의 변화 시점, 생업활동의 변화 시점, 기념일 등에 행해지는 풍속을 가리킨다. 이를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등으로도...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정월에 파래로 그 해 풍흉을 점치는 습속. 예부터 여수 해안 지역에서는 파래로 점을 쳤는데, 정초에 바닷가에 파래가 파랗게 무성하면 그 해는 바람이 세차게 불어 갯일도 어렵고 농사도 어렵다고 한다. 때문에 정월에 생파래가 무성해도 이를 뜯어다 무쳐먹지 않았다. 어장뿐만 아니라 농사까지 망치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현천리 오룡마을에서 정초에 집집마다 마당을 밟으며 한 해의 안녕과 태평을 비는 풍물. 마당밟이굿은 굿패들이 풍물을 치며 마을 수호신인 당신을 모시고 마을의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이는 집돌이 의식이다. 답정굿이라 부르기도 한다. 풍물을 치면서 집안 구석구석을 누비면 ‘터를 누른다’하여, 지신을 진정시키고 잡귀가 물러가며 가신의 축복을 받는다고 한다. 오룡...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정월대보름에 지내는 명절. 대보름은 설·추석과 함께 우리 겨레가 즐겨온 큰 명절이다. 이날은 새해 첫 만월(滿月)로 인해 한 해의 시작을 의미한다는 뜻에서 절식을 장만하고, 의례를 행하며 놀이로서 즐긴다. 차례는 찹쌀을 주원료로 하고, 감·대추·밤과 기타 조미료를 넣어서 찐 약식으로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전라남도 여수시에서의 차례 절차는 각 가정에서 차...
-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동 온동마을에서 달집을 태우며 놀이를 벌이는 정월 대보름 행사. 1995년 1월 10일 마을회관 노인당에서 정영주[남, 85세]·방선주[남, 74세]·방화실[남, 71세] 등이 제보한 바에 의하면, 달집태우기는 정월 보름날 저녁에 달이 떠오르기 전에 미리 불을 붙이며 노는 큰 축제였다. 이 놀이의 참여자들은 주로 마을의 총각들이다. 준비부터 달집태우기까지 전 과...
-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서 홍교를 밟으며 노는 정월 대보름 풍속. 다리밟기는 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를 밟으면 일 년 동안 다리 병을 막을 수 있고, 12개 다리를 밟으면 일 년 열두 달 모두 액을 물리칠 수 있다고 전해져 왔던 놀이다. 또한 사람들은 자기 나이만큼 다리를 오가면 무병장수한다고 믿었다. 보편적으로 강이나 시내 위에 놓인 다리가 튼튼하므로, 이를 밟으면 같은...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3월 3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삼월삼질이라고도 부르는 삼짇날은 한자어로 상사(上巳)·원사(元巳)·중삼(重三)·상제(上除)라고도 한다. 이 날 강남 갔던 제비가 날아오고 나비가 날아들며, 진달래가 만발한다고 하여 이와 관련된 풍습이 있다. 삼짇날은 양(陽)의 수가 두 번 겹치는 날에서 유래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부터 삼짇날을 길일(吉日)로 여기고 명절처...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석가모니 탄생일에 행해지는 풍속. 음력 4월 8일은 불교의 연중 기념일 가운데 가장 큰 부처님오신날이다. 석가모니는 B.C. 563년 4월 8일(음력) 해가 뜰 무렵 북인도 카필라왕국(지금의 네팔 지방)의 국왕 슈도다나(uddhodāna)와 왕비 마야(Māyā)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우리나라에서는 음력 4월 8일을 ‘초파일’이라 하여 명절처럼 기념하고 있...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5월 5일 지내는 명절. 『열양세시기』에서는 수뢰일(水賴日)이라고 표기하고, 이 날은 굴원(屈原)을 제사지내는 데서 유래했다고 밝히고 있다. 굴원은 중국 초나라 회왕(懷王) 때의 신하로,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汨羅水)에 투신자살하였다. 그가 자살한 날이 음력 5월 5일이어서 해마다 굴원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게...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준말로, 음력 6월 보름을 가리킨다. 이날은 복중(伏中)에 들어 있으며 유두일·유두절·유둣날이라고도 한다. 『동국세시기』에는 『김극기집(金克己集)』, 『김거사집(金居士集)』의 내용을 들어, 유두는 신라 때부터 전해지는 풍습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동쪽으로 흐르는 맑은 물에 머리를 감아 상서롭지 않은...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초복·중복·말복의 세 절기에 행하는 세시풍속. 더위는 태양의 기울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삼복 역시 절기로 보자면 태음력이 아닌 태양력에 따라 정해진다. 태양력에 따른 24절기 중에서 복날을 정하는 기준은 하지와 입추이다.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다. 그래서 삼복을 삼경일(三庚日)이라고...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7월 7일에 행하는 세시풍속. 칠석은 견우와 직녀의 애틋한 전설에서 유래된 중국 주나라의 속절(俗節)이 고려에 유입된 것이며, 조선시대에는 궁중과 민간에서 절일(節日)로 여기고 절식(節食)과 의례를 행하였다. 여수의 칠석 절식으로는 주로 밀가루나 보릿가루를 걸쭉하게 반죽하여 밥 위에 찐 개떡과 나물이 있었다. 이를 장독대나 우물가 옆에 만든 단에 진설하고...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행해지는 보름 명절의 하나. 백중은 음력 7월 15일을 말한다. 원래는 백종(百種)이었고, 중원(中元) 혹은 망혼일(亡魂日)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백종은 이 무렵에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이때는 달과 태양과 지구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있으면서 달과 지구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놓이게...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팔월 보름에 행하는 세시풍속. 추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가배(嘉俳)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곧, 서기 32년(유리왕 9) 신라 6부의 부녀자들이 두 패로 나누어 7월 16일부터 8월 보름까지 길쌈 내기를 해서 진 쪽에서 이긴 쪽을 대접하도록 하여 궁궐이나 민가 할 것 없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질탕하게 놀았는데 이를 가배(嘉俳)라 하였는...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사돈끼리 양가의 중간 되는 곳에서 만나 서로의 안부를 주고받는 일. 반보기는 중로(中路) 보기, 중로상봉(中路相逢) 등으로도 부른다. 전통 사회에서 부녀자들은 자유롭게 외출을 할 수 없었다. 특히 출가외인의 신분으로서 친정에 다녀오는 일은 더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그래서 여수에서도 농번기를 피해 한여름이나 겨울철 하루를 택하거나 추석 같은 명절에 안사돈끼리,...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음력 10월에 행하는 세시풍속. 음력 10월을 상달이라고 하며, 10월 보름은 하원(下元)이라 한다.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는 상달을 일 년 내 농사가 마무리되고 햇곡식과 햇과일을 수확하여 하늘과 조상께 감사의 예를 올리는 기간으로, 풍성한 수확과 더불어 신과 인간이 함께 즐기게 되므로 열두 달 가운데 으뜸가는 달이라 설명하고 있다. 이는 고대 국가 행사인...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24절기 가운데 하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고대인들은 양력 12월 22일 경인 동지를 태양 운행의 시발로 여기고, 태양신에 제사를 올리며 축제를 벌였다고 전한다. 설 다음가는 큰 명절로 여겼던 것이다. 전라남도 여수시에서도 동짓날 시식(時食)은 팥죽이었다. 팥죽의 붉은색에 축귀력(逐鬼力)이 있다 하여,...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동지로부터 세 번째 미일(未日)에 행하는 세시풍속. 납일(臘日)은 원래 중국에서 시작된 풍속으로 중국에서는 세 번째 술일(戌日), 또는 진일(辰日) 등으로 시대마다 달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에는 12월 인일(寅日)이었다. 고려 문종 때는 술일로 납일을 정했으나 이후 대체로 대한(大寒) 전후 진일로 납일을 삼았는데, 납일이 보편화된 조선시대에 와서 동지 뒤...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서 섣달 그믐날 중선배에 오색기를 달고 매구를 치는 놀이. 여수시 삼산면의 손죽도에는 중선(仲船) 배를 이용하여 안강망(鮟鱇網) 어업이 성행했던 섬이다. 어업 활동이 주업이었던 손죽도 주민들은 섣달 그믐날 중선배를 가지고 풍어를 비는 제의를 하였다. 선주(船主)와 선원 그리고 그들 가족들이 모두 나서서 제의에 참여했으나 해방 후부터는 이런 행사를 하지...
평생의례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1~7세의 아동들이 건강하게 자랐음을 경축하고 장차 장수하고 유복하기를 기원하면서 벌이는 마을 잔치. 진세는 여수를 중심으로 주로 칠석날에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행했다. 이날 음식을 장만하여 잔칫상을 봐두고 ‘진세턱’으로 마을 어른들을 대접하며 하루를 즐겁게 논다. 유아의 사망률이 높았던 시기에 이렇게 함으로서 그 아이가 비로소 세상에 나아가 무병장수한다고...
-
전라남도 여수시 봉계동 봉강마을에서 유아기를 넘긴 아이가 있는 집에서 베푸는 마을 잔치. 매년 칠월칠석이면 유아기를 무사히 넘긴 가정에서 음식을 장만하여 마을의 어른들은 대접하는 ‘진세턱’을 냈다. 진세놀이의 연원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나 전라남도 여수시 봉계동 봉강마을에서는 매년 칠월칠석날 점심 무렵에 해왔다. 진세놀이를 “진세 꼬리를 밟는다.”라고도 한다. 이는 “진세 꼬리를 잘...
-
전라남도 여수시 안산동 장성마을에서 세 살 된 아이가 있는 집에서 베푸는 마을 잔치. 다른 지방에서는 나이 어린 하인들이나 머슴들에게 치르던 성인 의식을 진세(進歲)라 했으나 여수 지역에서는 세 살 되는 아이를 ‘진세’라 하였다. 여수 지역에서는 어린아이가 세 살이 되면 주인집이 음식을 장만하여 동네 사람들을 대접하였다. 이는 세 살이 지나야 비로소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다는 믿...
-
전라남도 여수시 여천동 내동마을에서 3~5세 된 아이가 있는 집에서 베푸는 마을 잔치. 다른 지방에서는 나이 어린 하인들이나 머슴들에게 치르던 성인 의식을 진세(進歲)라 했으나 여수 지역에서는 세 살 되는 아이를 ‘진세’라 하였다. 여수 지역에서는 어린아이가 세 살이 되면 주인집이 음식을 장만하여 동네 사람들을 대접하였다. 이는 세 살이 지나야 비로소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다는...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남자 아이가 커서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해 주는 성년 의례. 관례는 우리나라에서 965년(광종 16) 왕자에게 원나라 복장의 예를 행한 이래, 주로 상층 계급에서 행해져 왔다. 『가례(家禮)』에 의하면, 남자의 관례는 15~20세가 되면 올리는 게 보통이었으나 일찍 혼인할 때는 앞당겨 행하고, 집안 상중(喪中)에는 늦추어 행하였다. 여수에서는 17세가 되는 칠월...
-
전라남도 여수 지역에서 소동들이 어른으로 인정받기 위해 또는 농사에 필요한 힘을 기르기 위해 들었던 돌. 들돌은 정월 대보름·유두·칠석·백중·추석 등의 명절 때 사용되었다. 주로 마을 앞 당산나무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노두목·당집·정자·장자집 마당 등에서 볼 수 있다. 각 마을마다 들돌은 보통 1~3개가 있으나 많은 곳은 5~7개도 있다. 1인력(一人力) 들돌을 넘기면 어른의 품...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혼인 때 행하는 의례. 혼례는 장성한 남녀가 결합하여 부부의 인연을 맺고 가족을 이루며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절차이다. 여수 지역에서 치러진 전통 혼례는 우리나라 전통 혼례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1. 의혼(議婚)과 간선 자식이 결혼할 나이가 차면 부모들은 자식들을 내놓고 혼인할 상대를 고른다. 이를 의혼이라고 한다. 나이가 15세에서 20세 전후로 차야...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현천리 오룡마을에 전해오던 신행맞이 때 벌이는 가무극 형태의 놀이. 신행맞이는 신부가 신랑집에 도착하여 행하는 의식이다. 조리박주벅놀이는 신행맞이, 「걸메당소리」, 조리박주벅놀이, 여흥풀이 순으로 진행한다. 처음 신랑집에 당도한 신부가 예를 마치면 그 마당에서 잔치가 벌어진다. 이 때 마을 사람들과 시부모가 함께 「걸메당 소리」[일명 「가마 소리」]를 하면서...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임종부터 탈상까지 행하는 모든 의례. 인지가 발달하지 않고 종교적 신앙 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사회에서 인간이 죽더라도 그 영혼은 다른 세상에 존재한다고 믿었다. 상례에서는 그러한 관념들을 기반으로 각종 행위가 진행된다. 옛날 여수에서의 장례는 유교식 전통 상례를 따르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보통 전통 상례라면 초종-염습-성복과 문상-발인-흉제의 과정을 밟는...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묘를 쓰려고 처음으로 땅을 팔 때 토지신에게 지내는 제사. 전라남도 여수시의 장례 절차는 남도의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아, 유교식 장례 절차에 따라 진행되어 왔다. 개토제의 신체는 토지신이며, 신체의 형태는 따로 없다. 묘 자리를 파는 것을 천광(穿壙)이라고 하는데, 이 일을 하기 전에 산일을 하는 일꾼들이 간단한 제찬으로 제상을 차리고, 예의를 갖춘 후...
-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지내는 제사의 방법이나 의식. 예서(禮書)에 따른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제례는 사당제(祠堂祭)·사시제(四時祭)·이제·기일제(忌日祭)·묘제(墓祭)의 다섯 가지가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관행되고 있는 제례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기제(忌祭)·시제(時祭)·차례(茶禮)로 나누고 있는데, 여수에서도 또한 이와 같다. 기제는 오늘날에는 보통 제사라 한다. 곧, 운명한 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