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마을
-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 때 해외로 갔던 동포들이 여수로 귀환하면서전라남도 여수시 덕충동 일대에 만들어진 정착촌. 1945년 광복이 되자 일본 등 외국에서 돌아온 동포들 중 오갈 데 없던 사람들이 판잣집을 짓고 마을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귀환촌 또는 귀환정(歸還町)이라 하였다. 귀환촌은 일본을 비롯한 만주나 해외에서 많은 귀환동포들이 쏟아져 들어와 여수건국준비위원회에서는 구항 부두에 귀...
-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에 있는 자연마을. 여수시 웅천동에 있는 자연마을로 충무공 이순신 어머니 기거지 등 유서가 깊은 지역이었다. 송현마을은 마을 주위에 소나무 숲이 무성하다하여 솔개, 솔고개 또는 솔곡이라 했다고 전해진다. 솔개는 소나무가 있는 포구란 뜻으로 바다를 기준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솔고개 또는 솔곡은 송림의 재(峙) 즉 산마루나 성(城), 읍(邑), 동(洞), 리(里)...
-
전라남도 여수시 시전동에 있는 자연마을. 조선시대 순천부 선소가 위치했던 자연마을이다. 선소(船所)라는 문자의 의미는 배가 있는 곳 또는 배를 만들었거나 만드는 곳이란 의미이지만, 주로 수군진(水軍鎭)의 군선(軍船)이나 행정 관아의 배를 두는 곳을 선소라 표기했다. 여수시 시전동의 시목, 기전, 선소 3개의 자연마을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마을로 마을의 동편인 계곡을 따라 바닷가에...
-
전라남도 여수시 경호동 관내의 대경도에 있는 자연마을. 구봉산에서 봉황 9마리 중 5마리가 현 오복마을 뒤 성산(成山)에 날아왔다고 하여 오봉(五鳳)이라 하였는데 약 70여년 전부터 오복(五福)으로 바뀌었다 한다. 본래 돌산군 경호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경도(大鯨島)·소경도(小鯨島)·가장도(加長島)·야도(冶島)를 병합하여 여수군 돌산면 경호리(鏡湖里)가 되...
지명
-
전라남도 여수시 고소동에 있던 전래 지명. 여수시 고소동 지역으로 옛 고소장대 동쪽 골짜기의 이름이다. 시가지 형성 전에 동물의 사체를 버리면서 개장골이라 불렀다. 개장골이란 말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는데 개나 짐승의 사체를 버리면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온다. 개의 송장을 버리는 골짜기라는 의미로 개장골이라 하였다고 한다. 전라좌수영 시절 공동묘지가 있었으며 지금은 시가지가 형성...
-
전라남도 여수시 주삼동 주동마을에 있던 옛 지명. 옛 쌍봉면 지역으로 현재 여천초등학교와 여수시 농업기술센터가 있는 지역이다. 주동은 거무골을 한자로 기록한 이름으로서 거무는 거미의 방언이다. 주동마을을 에워싸고 있는 산세가 거미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온다. 고려 말에 여수현령 오흠인이 석보창 부근에 거주하면서 주동마을에 있는 주동천의 우물을 이용했다고 전해온다....
-
전라남도 여수시 동산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여수시 청년회관 뒷골목으로 보광사와 구 세무서 사이에 있던 꾸리샘이란 우물 이름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꾸리샘 골목 등으로 불리며 우물이 깊어 실타래 한 꾸러미(꾸리)가 다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땅이름이다. 물이 맑고 좋아서 모기가 없었다고 전해온다. 우물은 없어지고 지금은 새 도로명 사업으로 이 일대가 골샘골길로 도로명이 부여되었...
-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신월동의 한국화약 여수공장이 들어선 부지의 바닷가 이름이다. 1940년대 초 일제는 이 지역에 있던 신근정마을, 봉양마을, 물꾸미마을을 강제로 이주하고 일본 해군의 수상비행장을 건설하였다. 비행장이 건설된 이 지역을 넙너리로 불렀다. 어원은 파도가 닿는 해변이란 뜻의 해안지명 너리와 넓다는 뜻이 결합된 말로 너븐너리가 줄어 넙너리가 되...
-
전라남도 여수시 남산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당머리는 남산동 남쪽 해안으로 예암산 자락이 닭머리 모양으로 뻗어 내린 지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이곳에 영당이 있어 수산업을 주업으로 하던 어부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당굿이 자주 열렸으며, 당집머리가 줄어 당머리가 되었다는 유래도 전해온다. 같은 의미의 당머리 지명이 율촌면 여흥리, 화양면 나진리, 화양면 세포리에도 전해오며 닭의...
-
전라남도 여수시 관문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독은 돌의 방언으로 독다리는 돌로 만든 다리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여수에는 동문독다리와 서문독다리 두 곳이 알려져 온다. 동문독다리는 지방기념물인 여수청년회관 부근에 있던 돌다리로 지금은 골목길로 변하였다. 동문독다리는 좌수영의 동문이 있던 지금의 관문동 여수청년회관 부근이며 서문독다리는 이비당골이라는 골목길 입구로 전라좌수영의 서문...
-
전라남도 여수시 종화동에 있던 옛 지명. 바닷가에 거친 바윗돌이 많아서 부르게 되었다. 좌수영 시절 종포마을이 있던 지역으로 마을 앞 바닷가 일부에 전해오던 지명이다. 1980년대까지도 어민이 많았던 종화동 지역은 수산 자원의 고갈로 어업이 쇠퇴하면서 어가와 어선도 감소되었으나 2012여수세계박람회 이후 여수권 관광이 활성화 되면서 카페와 펜션 거리가 되었다. 야경이 아름답고 풍광...
-
전라남도 여수시 국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조선시대 국동과 봉산동 사이는 굴강 형태의 만을 이루고 있었으며 목덕골, 목대 등으로 불러왔던 이곳은 만의 서쪽을 감싸는 반달 모양의 돌출형 지형이 시작되는 목에 해당되는 지역이어서 붙여진 지명이다. 1970년대 어항단지와 수산물 가공단지의 조성으로 매립되어 지금은 그 형태를 알기가 어렵게 변하였다. 일제강점기를 지나 광복 후인 1960...
-
전라남도 여수시 관문동에 있던 옛 지명. 전라좌수영의 연못인 덕지(德池)가 있어서 유래된 지명이며, 덕지가 있던 동문 부근이 언덕형의 등성이를 이루고 있어 연못이 있는 등성이의 뜻으로 못등으로 부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좌수영성을 허물게 되자 여수청년회 회원들이 이 연못을 사들여서 매립을 하여 여수청년회관이 만들어졌다. 이곳에서 여수청년회 활동인 맞돕회가 결성되어 활동하였으며,...
-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 오동도에 있는 해안지형. 삐달구통은 오동도에 전해오는 통의 이름으로 비둘기가 많이 서식하고 있어서 지어진 이름이다. 통은 해안 절벽이 둘로 갈라져서 사람이 건널 수 없는 바위 해안을 말하는 해안 지명으로 삐달구는 비둘기의 여수 지역 방언이다. 수정동에 있는 오동도에 있는 해안으로 관광객의 이용 편의를 위해 관람을 할 수 있는 보행로가 조성되어 있다. 여수시...
-
조선시대 전라남도 여수시 봉산동을 부르던 지명. 새철은 전라남도 여수시 봉산동에 전해 오는 전래지명으로, 사철소가 있어 사철(沙鐵)이라 부르게 된 것이 새철 또는 쇠철로 그 음이 변하여 전해진 것으로 본다. 사철소는 조선시대 전라좌수영의 수군 무기를 제작하던 제련소이다. 사철소(沙鐵所)는 조선시대의 전라좌수영의 수군 무기를 제작하던 제련소이다. 봉산동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이...
-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 한국화약 공장 부근에 있던 생끼미는 해안에 샘이 있는 기미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일제강점기에 신근정마을 주민이 이곳으로 강제 이주되면서 주변에 마을을 형성하였고, 생끼미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생금(生金)마을이 되었다. 본래의 생끼미는 신월동과 국동 사이에 있던 해변으로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지역이었으나 1940년대 일제의 수상비...
-
전라남도 여수시 관문동에 있던 옛 지명. 여수시 관문동에 전해 내려오는 지명으로 지금의 여수여자중학교와 여수여자고등학교 부근을 이르는 이름이다. 전라좌수영의 수군이 훈련하던 활터의 과녁이 있었던 연유로 활을 쏜다 하여 ‘쏠탕’이라는 명칭이 유래되었고, ‘솔탕’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사례로, 방답진이 있던 돌산읍 군내리 ‘솔통’도 활터의 과녁이 있던 곳이라고 한다. 일제...
-
전라남도 여수시 덕충동에 전해 내려오는 전래 지명. 여수시 동산동과 덕충동 사이의 산등성이 이름으로, 생긴 모양이 수박처럼 둥글게 생겨서 수박등이라 하였다. 1786년에 만들어진 전라좌수영 전도에도 표기되어 있는 지명이다. 여수시 덕충동 종고산 동쪽 산등성이로 옛날에는 여수 충민사 입구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비탈이 심한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충민로를 끼고 주택지가 되었다. 여수시 덕...
-
전라남도 여수시 공화동에 있던 옛 지명.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으로, 해안가에 숭어가 많이 드나든 데서 유래되었다. 전라좌수영성지의 동북쪽 해안 지역으로, 1930년대에 여수역 청사가 들어섰다.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위해 새로운 여수역이 2009년 말에 완공되어 덕충동으로 이전되었다. 여수역이 있었던 전라남도 여수시 공화동 1번지 일대이다....
-
전라남도 여수시 관문동에 있던 옛 지명.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지명으로, 숲이 우거진 곳에서 길이 여러 갈래 나누어진 데서 유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여수읍 동정(東町)에 속하였다. 1930년대 이전에 이미 시가지로 조성되었으며, 지금도 대로변의 상가 건물이 있는 지역이다. 지금의 동문로에서 흙산로가 갈라지는 부근이다. 1980년대 이 부근에 귀거래다방이 있었다. 전라남도 여수...
-
전라남도 여수시 신월동에 전해 내려오는 전래 지명. 여수시 신월동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신근정이란 이름의 유래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신근정은 현재 한국화약 공장이 들어선 신월동에 일제강점기 이전에 있던 마을 이름이다. 당시 봉양·물구미·신근정 등 3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졌으며, 1940년 당시 239호에 인구는 1,339명으로 동정과 서정 그리고 봉산리 다음가는 큰 마을이었다...
-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에 있던 옛 지명. 일제강점기 여수 최초의 예배당이 세워진 군자동 골목을 이르는 지명이다. 예배당이 있다 하여 예배당골이라 불렀으며 점차 이비당골로 변하였다. 여수예배당은 1906년 김암우(金岩于)가 군자동 꼭대기에 방을 빌려 예배를 하다 1910년 조의환 전도사가 파견되어 4칸짜리 초가를 사들여 문을 열었다. 이 예배당이 있던 군자동 골목을 이비당골이라 불렀...
-
전라남도 여수시 연등동에서 전해지는 옛 지명. 잉구부는 연등동 중앙을 관통하는 도로의 옛 이름이다. 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 오림동부터 이어진 도로는 반달 모양으로 크게 휘어져 있다.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하여 왼구부라고 하였는데, 여수 지방에서는 ‘왼’이란 뜻은 ‘인’으로 발음하여 왼구부를 ‘잉(인)구부’로 하였다.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인’을 음이 비슷한 ‘연’으로, ‘구부’...
-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에 전해오는 옛 지명. 군자동·충무동·교동이 갈라지는 지점에 위치한 큰샘골은 마을에서 사용하던 큰 우물이 있어서 전해오는 지명이다. 지금도 콘크리트로 주변을 막은 큰 우물은 전해오지만, 식수로 사용을 하지는 못한다. 큰샘골[大井]은 전라좌수영이 설치된 이후에 사용하던 마을의 공동 우물로, 1970년대까지 식수로 사용했었다. 큰샘골은 큰샘 지역 주변 골목 전체를...
-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동 허문마을에 전해오는 옛 지명. 문수동에 전해오는 전래 지명인 허문쟁이는 허문마을의 본래 이름이다. 마을 주변의 지형이 험해서 생긴 말이지만, 후에는 허씨와 문씨가 많이 살아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뜻이 변하였다. 허문쟁이는 본래 농촌 마을이었으나, 1980년대 도시가 확장되면서 택지 지구가 되어 지금은 아파트와 주택지로 변하였다.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동 허문마을...
-
전라남도 여수시 군자동 여수향교에 전해지는 옛 지명. 1897년 여수군이 설립된 뒤 여수향교가 만들어지자 향교 앞에 홍살문이 만들어지면서 부르게 된 지명이다. 홍살문[紅箭門]이란 능(陵)·원(園)·묘(廟)·궁전(宮殿)·관아(官衙) 등의 입구나 충신·효자·열녀들을 표창하여 임금이 그 집이나 마을 앞에 세우도록 한 붉은 문이다. 여수향교는 1897년 여수군이 처음 설치되면서 세워져,...
-
전라남도 여수시 관문동에 있는 골목길. 히파리마치는 관문동에 있는 골목 이름으로, 옛 여수극장 앞의 도로를 말한다. 여수시 동산동과 관문동의 경계이며, 도로명은 관문서3길이다. 일제강점기에 발달한 여수의 대표적 홍등가로서, 오가는 행인들을 윤락녀들이 끌어당기며 호객행위를 했기 때문에 끌어당기는 동네라는 뜻의 일본어에서 히파리마치라 하였다. 히파리마치라는 명칭은 끌어당기는 동네라는...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의 자연마을. 힛도는 바다 지명이 육지의 지명으로 바뀐 대표적인 예이다. 힛도는 원래 백야도[화정면 백야리]와 화양반도 사이 좁은 해협을 지칭하는 이름이었다. ‘흰섬’이라고도 불렸는데 해양 지명 중 도진(渡津)[나루터를 중심으로 발달한 취락]의 대표적인 예이다. ‘힛’은 백야도가 하얗게 보였기 때문에 붙여진 접두사이며, ‘도’는 명량(鳴梁)이나 노량(露...